|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견통령 · 대구 매일신문 테러 사건 | |
| 언론윤리위원회법 파동 · 긴급조치 · 동아일보 백지광고 사태 | ||
| K공작계획 · 언론통폐합 · 보도지침(폭로 사건) · 땡전뉴스 | ||
| 오홍근 테러 사건 · 1990년 KBS 사태 | ||
| 기자실 통폐합 | ||
| 언론장악 논란 · 정연주 한국방송공사 사장 위법 해임 사건 · 방송장악 블랙리스트 · 공영방송 총파업 | ||
| 언론장악 논란 · MBC 블랙리스트 사태 · 공영방송 총파업 | ||
| 고대영 한국방송공사 사장 불법 해임 사건 · 남북고위급회담 탈북기자 배제 논란 · TV조선 재승인 점수 조작 의혹 · 공수처 통신조회 논란 · 최승호의 MBC 제3노조 취재 배제 | ||
| 윤석열 욕설 파동 이후 언론탄압 논란 · 국민의힘 MBC 고발 사건 · MBC 취재진 대통령 전용기 탑승 불허 논란 · 국민의힘 김상훈 MBC 광고 중단 발언 논란 · 정상회담 취재제한 논란 · 공영방송 이사 및 사장 대규모 해임 사건 · 김의철 한국방송공사 사장 위법 해임 사건 · 윤석열 정부 가짜뉴스 심의 · 황상무 언론인 테러사건 언급 협박 논란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김건희 특검법 호칭 제재 논란 · 검찰 통신조회 논란 ·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 ||
| 방송미디어통신심의위원회 국가기구화 논란 · 최민희 언론인 퇴장 지시 논란 · 최민희 방심위 비판 보도 차단 문의 및 사과요구 사건 |
1. 개요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인터넷매체 '고발뉴스'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자신이 '이재명 대통령의 심기를 거슬렸다'는 내용의 보도가 나오자 자신의 피감기관인 방심위 '위원장실'을 통해 자신을 비판한 기사를 삭제 요구했고, 해당 언론사 기자에게도 보도물 ‘즉시 삭제’를 요구해 실제로 해당 유튜브 영상이 비공개 처리된 사실, 나아가 기자에게 사과를 요구했다는 주장이 한겨레를 통해 드러났다.[최초보도]2. 상세
2025년 7월 7일, 고발뉴스티브이에 ‘[단독취재] 이재명 대통령의 의견을 무시했다! 최민희 의원의 방송3법 강행…도대체 왜?’란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고발뉴스 보도에는 KBS 사장을 대통령이 임명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추천제로 하게 하여 '이재명에게 도발'했다는 내용, KBS와 MBC 등 특정 언론사만 타깃했을 뿐 정작 지역MBC와 SBS 등은 언론개혁 대상에 빠져있다는 내용 등이 포함되었다.고발뉴스 원 기사기사 관련 뽐뿌 글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방심위에 연락해 고발뉴스 기사에 접속차단 등 처분이 가능한지를 문의했다. 또 해당 언론사 기자한테는 보도물 ‘즉시 삭제’를 요구해 실제로 해당 유튜브 영상이 비공개 처리되었다.
한겨레에 따르면 고발뉴스는 신문법과 언론중재법의 적용을 받는 인터넷신문으로, 원칙적으로 방심위의 통신심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설령 심의 대상이 된다 해도 방심위의 공식 민원신고 절차를 거쳐야 한다. 그런데도 방심위를 주요 피감기관으로 둔 과방위원장실에서 ‘비공식 통로’를 통해 “이를 어떻게 처리할 수 있느냐”를 물었다. 이는 전례가 없다. 방심위는 과방위의 대표적 피감기관으로, 한겨레는 최 위원장의 권한 남용, 언론 탄압 논란을 제기했다.
이후 10월 30일 열린 국회 과방위 종합감사 과정에서 방심위 홍보팀장이 한겨레에 전화해서 반론을 반영해달라고 했다는 주장이 추가로 제기되면서 최민희 위원장을 두둔하는 내용의 반론을 왜 방심위가 요구하냐는 지적이 나왔다.
3. 대응
최민희 위원장은 “이 문제제기에 대해 제가 국감 말미 자료를 다 공개하겠다”며 “그리고 이상호 기자가 저에게 사과를 했는데, 그 사과한 내용에 대한 녹취를 찾아서 국감 끝나면 공개하겠다. 지금은 국감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겨레와 언론단체를 통해 이 사과가 최민희 위원장의 갑질이라는 주장이 나왔다.[KBS]4. 반응
4.1. 고발뉴스
- 이상호 기자는 최민희와 관련된 보도를 삭제해달라는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실' 명의의 메일을 7월 10일 받았다며, 한겨레에 “매우 부당하며 언론 탄압이라고 느꼈다”고 밝혔다. 이 기자는 “기사나 영상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할 때 해당 대목을 수정해 달라고 요청하거나 언론중재위원회를 통해 정정·반론 보도를 청구하는 게 일반적”이라며 “아예 영상을 삭제할 것과 그렇지 않을 경우 대응하겠다는 취지의 직접적 요구는 윤석열 정권 때도 받아본 적 없다”고 말했다.[최초보도]
4.2. 언론단체
- 김동찬 언론개혁시민연대 정책위원장은 “과방위원장 쪽에서 방심위에 그런 연락을 했다는 건 사실상 일정한 조치를 요구하는 결과와 다를 바 없다”며 “정상적 절차로 삭제·차단을 요구해도 문제인데, 심지어 이를 비공식 루트를 통해 알아봤다는 건 방심위를 사유화하는 수준에 이른 것”이라고 한겨레에 말했다.[최초보도]
- 같은 언론 비평매체인 미디어스와 미디어오늘, 언론노보에서 일제히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4.3. 최민희
- 최민희 위원장의 선임비서관은 10월 30일 SNS를 통해 "기사에 등장한 의원실 관계자가 저"라며 "방심위 문의는 단순한 절차 확인 문의였고 이 기자에게 보낸 이메일을 정중한 사실 정정 요청이었다"며 "'피감기관에 대한 갑질', '권한남용', '방심위 사유화'로 몰아가는 것은 사실과 전혀 다른 억지주장"이라고 한겨레를 비판했다.[뉴스1]미디어스미디어오늘
- 과방위원장실 관계자는 "'이상호 기자에게 보낸 이메일'은 정중한 사실 정정 요청이었다"며 "'영상 내용 중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어 삭제 또는 편집을 요청드립니다. 가능하시다면 해당 부분만 잘라내어 수정 게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고발뉴스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드립니다'는 문구만 담았을 뿐 여기에는 어떠한 '위협'도, '응하지 않을 시 대응하겠다'는 표현도 없다"고 언론들을 향해 항변했다.뉴데일리
- 그런데 이 응답도 앞뒤가 안맞는 것이, 사건의 초기해명에서, 자신이 이상호 기자에 대한 녹취를 가지고 있고, 심지어 사과까지 받았다고 밝힌바 있다. [KBS] 이 당시에는 기사내용이 허위라는 의미에서 자신이 전화를 하고 압박을 넣어 사과를 받았다는 것을 말한 모양이지만 그게 더 큰 문제라는걸 인지하지 못해서 이런 발언을 했다가 이제는 말을 바꾼 듯 보인다.
- 논란이 거세지자 최민희 위원장이 10월 30일 같은 당 관계자들에게 보도 내용을 직접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매일신문
4.4. 민주당
-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10월 29일 보도 이후 "정 대표가 지난주 최 위원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과방위에서의 증인 퇴장 경위를 묻고 당과 국민의 염려가 있다고 전했다"고 밝혔다.[뉴스1]
- 10월 30일에는 MBC 라디오에 출연해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관계자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비판 보도 접속 차단을 문의했다는 의혹에 대해 "이런 문제를 (제기)하려면 공식 민원 신고 절차를 거쳐서 하게 될 텐데 왜 이렇게 했을까 의아하고 최 위원장이 이 분야 전문가인데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다"면서 경위를 파악해 볼 것이라고 밝혔다.미디어스매일신문(라디오 발언)
-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10월 29일 기자들과 만나 원내에서 최 위원장 자진 사퇴를 논의한 적은 없다면서도 "모든 일에 '절대 그런 일 없다' 이런 것은 없다"고 했다.[뉴스1]
- 10월 30일에는 원내에서 논의된 것은 없다며 "대표실에서 잘 하고 계신다"고 말을 아꼈다.
- 문금주 원내대변인은 10월 30일 기자들과 만나 거취에 관해 "대표가 위원장에게 전화를 듣고 경위를 듣고 했으면 어느 정도 시그널(신호)을 받지 않았겠나 싶다"고 했다.[뉴스1]
- 김남근 의원은 10월 30일 KBS 라디오 <전격시사>를 통해 최 위원장의 입장 표명을 비롯해 "당 차원에서도 사실관계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뉴스1]
4.5. 국민의힘
- 과방위원인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최광호 방미심위 사무총장 직무대행에게 일반 국민들에게도 유튜브에서 비판하는 내용을 삭제할 수 있는지 안내하냐고 국감 종합감사에서 물었다.[KBS]
- 과방위원인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은 최 위원장의 행태를 민주당 을지로위원회에 공식 신고했다면서 “최 위원장이 여러 갑질 논란으로 공분을 사고 있지만 한 번도 사과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KBS]
5. 기타
- 같은 인물의 최민희 언론인 퇴장 지시 논란이 불거진지 1주일도 되지 않아 공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