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01:45:36

초차원로보 다이카이저

1. D 스탠다드
1.1. 개요1.2. 효과1.3. 설명1.4. 수록 팩 일람1.5. 라이드 라인
1.5.1. 차원로보 카이저드1.5.2. 차원로보 카이저그레이더1.5.3. 차원로보 코어카이저
2. V 스탠다드
2.1. 개요2.2. 효과2.3. 설명2.4. 수록 팩 일람
3. P 스탠다드
3.1. 개요3.2. 효과3.3. 설명3.4. 관련 카드
3.4.1. 차원로봇 카이저드3.4.2. 차원로봇 카이저 그레이더3.4.3. 궁극 차원로봇 그레이트 대카이저
3.4.3.1. 진 궁극 차원로봇 그레이트 대카이저3.4.3.2. 초 차원로봇 쉐도우카이저3.4.3.3. 설정

1. D 스탠다드

카드파이트!! 뱅가드 D 스탠다드
라이드 라인
{{{#!wiki style="margin:0 -10px"
{{{#fff {{{#!folding [드래곤 엠파이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천륜성룡 니르바나|
파일:dsd01_001o.png
니르바나]]
[[사진의 옥염 유진|
파일:옥염유진 공식.png
유진]]
[[드래고닉 오버로드|
파일:dbt02_001o.png
오버로드]]
[[조정의 봉염 바브사가라 아크샤이아|
파일:바브사가라 아크샤이아.png
바브사가라]]
[[유원한 밤에 타마유라|
파일:dbt05_061o.png
타마유라]]
[[천륜봉룡 니르바나 지바|
파일:dbt06_001o.png
니르바나 지바]]
[[운수비동 닌귀 성성동자|
파일:앵화난만1.png
성성동자]]
[[비염수룡 간데바|
파일:dbt10_001o.png
간데바]]
[[드래고닉 카이저 버밀리온|
파일:dbt11_002o.png
버밀리온]]
[[마닌룡 시라누이 "농"|
파일:시라누이 임시.jpg
시라누이 "농"]]
[[연철룡왕 제드런스|
파일:제드란스 임시.jpg
제드런스]]
[[굉뢰룡 트라이엄프 드래곤|
파일:트라이엄프.jpg
트라이엄프 드래곤]]
[[무쌍의 운명자 바르가 드라그레스|
파일:바르가.png
바르가]]
[[인용융기 글라이안드라|
파일:글라이안드라.png
글라이안드라]]
[[리라이트더스타 버질루아|
파일:버질루아.png
버질루아]]
[[열화주룡 코티블레이즈|
파일:코티블레이즈.png
코티블레이즈]]
[[천칭의 숙명자 아르그리브라|
파일:아르그리브라 공식.png
아르그리브라]]
[[업염룡 빌베일 드래곤|
파일:빌베일 임시.jpg
빌베일]]
[[사룡 시빌트|
파일:시빌트.jpg
시빌트]]
}}}}}}}}}}}} ||
{{{#!wiki style="margin:0 -10px"
{{{#fff {{{#!folding [다크 스테이츠]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디아블로스 "비아맨스" 블루스|
파일:dbt09_005o.png
블루스]]
[[천의괴붕 바로우마그네스|
파일:천우괴붕.png
바로우마그네스]]
[[강욕마룡 그리돈|
파일:dbt03_003o.png
그리돈]]
[[다가오는 송곳니 케이오스|
파일:dbt05_066o.jpg
케이오스]]
[[마보룡 드라주얼드|
파일:dbt07_005o.png
드라주얼드]]
[[크로노제트 드래곤|
파일:크로노제트_임시.png
크로노제트]]
[[마옥룡대제 파브르닐 라인고르트|
파일:파브르닐 라인고르트.png
파브르닐]]
[[실버쏜 드래곤테이머 루키에|
파일:루키에_임시.jpg
루키에]]
[[쌍성각희 아스트로아=바이코 스텔라|
파일:바이코 스텔라.png
아스트로아]]
[[흉안룡 아마나그루지오|
파일:dbt12_004i.png
아마나그루지오]]
[[참렬의 수마왕 오셀라제스트|
파일:오세라제스트.jpg
오셀라제스트]]
[[다이아풀 돌 마스터 앤드롤드|앤드롤드]]
[[제로의 운명자 브래그드마이어|
파일:브래그드마이어.png
브래그드마이어]]
[[의식을 관장하는 자 새크리파이스 글라스|
파일:글래스_2.png
새크리파이스 글라스]]
[[마스크 매지션 하리|
파일:하리 임시.jpg
하리]]
[[시간의 숙명자 리엘=오디움|
파일:오디움 공식.png
리엘숙명자]]
[[과자같은 이상한 유원지 하트루루|
파일:하트루루.jpg
하트루루]]
}}}}}}}}}}}} ||
{{{#!wiki style="margin:0 -10px"
{{{#fff {{{#!folding [브랜트 게이트]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극광전희 세라스 화이트|
파일:dsd05_001o.png
세라스]]
[[카디널 도미나스 오르피스트 레기스|
파일:dss02_005o.png
오르피스트]]
[[그래비디아 넬트링거|
파일:dbt03_005o.png
넬트링거]]
[[지혜의 샘 에바|
파일:dbt05_072o.jpg
에바]]
[[은하영용 스테이틀리 클로저드|
파일:스테이틀리 클로저드.jpg
영용]]
[[길잡이의 운명자 벨스트라 "블리츠 암즈"|
파일:벨스트라.png
벨스트라]]
[[괴수는 낙원을 파괴한다 아르키테|
파일:이노센트.png
아르키테]]
[[장공사단 "열공신" 아바가르다|
파일:dbt09_007o.png
아바가르다]]
[[얼터에고 메사이어|메사이어]]
[[기간트암즈 실루엣|
파일:dbt11_007i.png
실루엣]]
[[블리츠기가모빌 아슈트룸|
파일:아슈토룸.png
아슈트룸]]
[[그란젤 로트바이저|
파일:로트바이저.png
로트바이저]]
[[초차원로보 다이유샤|
파일:다이유샤.png
다이유샤]]
[[능가의 숙명자 인발디오|
파일:인발디오 공식.png
인발디오]]
[[달의 문지기 베이즈루그|
파일:베이즈루그 공식.png
베이즈루그]]
[[초차원로보 다이카이저|
파일:다이카이저.png
다이카이저]]
}}}}}}}}}}}} ||
{{{#!wiki style="margin:0 -10px"
{{{#fff {{{#!folding [케테르 생츄어리]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만민의 검 바스티온 어코드|
파일:dbt12_010i.png
바스티온]]
[[육각보주의 여마술사 "남옥"|
파일:dbt10_011o.png
여마술사]]
[[팬텀 블래스터 드래곤|
파일:dbt02_008i.png
팬텀 블래스터]]
[[마제스티 로드 블래스터|
파일:dbt05_004o.png
마제스티]]
[[테그리아|테그리아]]
[[유스베르크 "스카이폴 암즈 리빌드"|
파일:유스베르크 리빌드.png
유스베르크]]
[[전지의 신기 미네르바|
파일:미네르바_임시.jpg
미네르바]]
[[검성기룡황 그램그레이스 지크|
파일:그램그레이스 지크.png
그램그레이스]]
[[천도의 대현자 솔레아론|
파일:dbt10_010o.png
솔레아론]]
[[작열의 사자 블론드에이젤|
파일:dbt11_011o.png
에이젤]]
[[천양을 잇는 검 올덴|
파일:dbt13_011o.png
올덴]]
[[드래그하트 루아드|
파일:루아드 임시.jpg
루아드]]
[[혼성하는 가드 루안|
파일:dss_030i.png
루안]]
[[구익천사 자레브사엘|
파일:자레브사엘.jpg
자레브사엘]]
[[기적의 운명자 레자엘|
파일:레자엘.png
레자엘]]
[[시간의 운명자 리엘=아모르타|
파일:리엘_공식.png
리엘운명자]]
[[침묵의 독기사 영잠자 모달리온|
파일:모달리온_2.png
모달리온]]
[[섬신요단 아오이|
파일:아오이 임시.png
아오이]]
[[기사왕 알프레드|
파일:알프레드 임시.png
알프레드]]
[[청황한 성무기사작 세리우스|
파일:세리우스.jpg
세리우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ff {{{#!folding [스토이케이아]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수각수황 매그놀리아 파트리아크|
파일:매그놀리아 파트리아크.png
매그놀리아]]
[[금기의 운명자 졸가 네이달|
파일:졸가.png
졸가]]
[[기함룡 플래그버그 드래곤|
파일:dbt03_009o.png
플래그버그]]
[[시공을 초월한 두 개의 마음 로로와|
파일:시공 로로와.png
로로와]]
[[만개의 대행진 리아논|
파일:dbt06_013o.png
리아논]]
[[창람룡 메일스트롬|
파일:메일스트롬_임시.jpg
메일스트롬]]
[[라비앙 로드 그랜피아|
파일:dbt09_013o.png
그랜피아]]
[[수상환수 루루스줄|
파일:dbt11_013i.png
수상환수]]
[[대해의 수장 크리스티아노스|
파일:크리스티아노스.jpg
크리스티아노스]]
[[몽인의 검희 라스카리아 베레노|
파일:라스카리아_공식.png
라스카리아]]
[[위엄자 스토이라자|
파일:스토이레쟈.png
스토이라자]]
[[무한의 숙명자 레비드라스|
파일:레비드라스 공식.png
레비드라스]]
[[밤안개의 흡혈희 나이트로제|
파일:나이트로제 임시.jpg
나이트로제]]
[[창주의 가희 칼리오페이아|
파일:칼리오페이아 임시.png
칼리오페이아]]
[[질구의 전설 에스타시온|
파일:에스타시온 임시.png
에스타시온]]
[[베르그 더 스카이룰러|
파일:베르그.jpg
베르그]]
[[낙원으로 인도하는 자 나나크릴|
파일:나나크릴 임시.jpg
나나크릴]]
}}}}}}}}}}}} ||
{{{#!wiki style="margin:0 -10px"
{{{#fff {{{#!folding [리리컬 모나스테리오]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Astesice△Live 카이리|
파일:트라이앵그라이브 카이리.jpg
카이리]]
[[성란제실행위원장 클라리사|
파일:dss05_010i.png
클라리사]]
[[축복의 성천사 아레스티엘|
파일:dss05_011i.png
아레스티엘]]
[[싱 위드 미 로로네롤|
파일:dss05_012i.png
로로네롤]]
[[페스티마지카 윌리스타|
파일:dss05_013i.png
윌리스타]]
[[천만월의 론도 펠티로자|
파일:dss05_014i.png
펠티로자]]
[[엔들링 뷰티 에르미니아|
파일:dlbt04_001i.jpg
에르미니아]]
[[MiMish 포르티아|
파일:dlbt04_008i.jpg
포르티아]]
[[PhosphorescenceStream 하제리트|
파일:하제리트_드레스업.png
하제리트]]
[[그리모 에투알 루테시아|
파일:dlbt03_002i.png
루테시아]]
[[브라이티스트 드리머 릴파|
파일:릴파_드레스업.png
릴파]]
[[컨스티레이트 솔러스 메디엘|
파일:메디엘_드레스업.png
메디엘]]
[[\#Make_A_Wish!! 쿄우카|
파일:쿄우카_드레스업.png
쿄우카]]
[[꿈을 향해 제일 먼저 도착! 미츄|
파일:미츄o.png
미츄]]
[[고르곤 아이즈 시아나|
파일:dlbt04_002i.png
시아나]]
[[톱 아이돌 퍼시피카|
파일:퍼시피카 임시.jpg
퍼시피카]]
[[Tr!ple×Tr!ck 페넬|
파일:dlbt04_005i.png
페넬]]
[[PR♥ISM-P 래브라돌|
파일:래브라도 임시.jpg
래브라돌]]
[[LèVre♡SœurS 샤르모트|
파일:dlbt04_009i.png
샤르모트]]
[[러브콜 마릴렌|
파일:마릴렌.jpg
마릴렌]]
[[만화의 운명자 크리스레인|
파일:크리스레인.png
크리스레인]]
[[FL∀MMe-G 로지아|
파일:로지아.jpg
로지아]]
[[Absolute Zero 사지타|
파일:사지타.png
사지타]]
[[오로라스타 코랄|
파일:코랄_임시.jpg
코랄]]
[[PR♥ISM-I 베르|
파일:베르_임시.jpg
베르]]
[[지고의 숙명자 리시아펠|
파일:리시아펠 공식.png
리시아펠]]
[[PolyPhonicOverDrive 아르티사리아|
파일:아르티사리아 공식.png
아르티사리아]]
}}}}}}}}}}}} ||
{{{#!wiki style="margin:0 -10px"
{{{#fff {{{#!folding [국가 없음]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식멸의 용수 그리포기라|
파일:dbt09_016i.png
그리포기라]]
[[강탄의 용수 제피로기라|
파일:제피로기라.png
제피로기라]]
}}}}}}}}}}}} ||

1.1. 개요

1.2. 효과

한글판 명칭초차원로보 다이카이저
일본판 명칭[ruby(超次元, ruby=ちょうじげん)]ロボ ダイカイザー
노멀 유닛
그레이드 파워 실드 수치 국가 종족 크리티컬 클랜
3(트윈 드라이브!!) 13000 - 브랜트 게이트 배틀로이드 1 디멘션 폴리스
【자동】【뱅가드 서클】 : 【D-레기온】「초차원로보 다이유샤(상대의 뱅가드가 그레이드 3 이상이라면, 이 유닛은 1번만 드롭존에서, 힐과 오버 이외의 트리거 유닛 2장까지와 트리거 유닛 이외의 카드를 합계 4장 선택하여, 덱으로 되돌리고, 덱에서 특정 카드를 찾고, D-레기온가능하여, D-레기온하고 있다면, 그것은 페르소나 라이드 아이콘을 상실한다)
【자동】【뱅가드 서클】【턴1회】 : 이 유닛이 어택했을때, 이 배틀에서 부스트받지 않았다면, 【코스트】[【에너지 블래스트】(3)]하는 것으로, 그 배틀 중, 이 유닛은 자동뱅가드 서클】 : 자신의 드라이브 스텝 개시시, 오버 이외의 상대의 가디언을 1장 선택하여, 퇴각시킨다.』를 얻고, 자신의 바인드존에 「차원로보 코어카이저」가 없다면, 다시 【코스트】[소울에서 「차원로보 코어카이저」를 1장 바인드함]으로, 자동뱅가드 서클】 : 상대의 유닛이 이 유닛의 능력으로 가디언 서클에서 퇴각했을때, 그 유닛의 『히트되지 않는다』를 포함한 능력 전부를 무효로 한다.』를 얻는다.

1.3. 설명

초용폭렬에 수록된 다이카이저 해후.

기존의 레기온을 약화시킨 D-레기온을 갖고 나왔다. D-레기온은 기존 레기온과 동일하게 상대가 G3 이상어야하고, 드롭에서 4장을 덱에 되돌려야 하지만, 기존과 다르게 오버 트리거와 힐트리거를 덱으로 되돌릴 수 없으며, 트리거는 2장까지만 돌릴 수 있다. D-레기온 상태가 되면 페르소나 아이콘이 사라져서 페르소나 라이드를 할 수 없게 된다.

자동 능력은 기존의 다이카이저가 갖고 있던 가드 브레이크 능력. 가드 브레이크 능력을 확정으로 발동할 수 있게 되었으나 수호자를 퇴각시켜도 수호자의 능력은 적용된다. 코어카이저가 바인드되어 있지 않다면 코어카이저를 바인드하는 것으로 히트되지 않는다를 포함한 능력을 무효로 해버려 수호자를 퇴각시키면서 무력화시킬 수 있다. 다이유샤와 마찬가지로 사실상 1번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다만 오버트리거는 제거가 안되고 단순히 가드치가 높은거라 무력하며 가디언으로 나오는 게 아닌 엘리멘탈리아 생크티튜드에도 얄짤없다.

레기온하는 초차원로보 다이유샤의 스킬도 쓸 수 있기에 다른 카드들의 펌핑을 통해 페르소나 라이드 불가를 보완하면서 뱅스탠이 가능하다. 다만 추가 체크는 페르소나 라이드 봉인 때문에 불가능하다.

다이카이저+다이유샤 레기온으로 기본 26000, 다이유샤의 1스킬로 파워 +10000(다이카이저와 다이유샤는 다른 이름인 유닛이기에 둘을 지정할 수 있다.) 첫번째 어택은 노부스트 36000이지만 가드 브레이크로 수호자도 1번 무효화하며 두번째 어택은 노드라이브지만 카이저드의 부스트를 받고 카이저드도 다이유샤 1스킬로 15000부스트가 되기에 51000으로 날린다.

1.4.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초용폭렬 DZ-BT09/008 RRR 일본 세계 최초 수록

1.5. 라이드 라인

1.5.1. 차원로보 카이저드

한글판 명칭차원로보 카이저드
일본판 명칭[ruby(次元, ruby=じげん)]ロボ カイザード
노멀 유닛
그레이드 파워 실드 수치 국가 종족 크리티컬 클랜
2(인터셉트) 10000 5000 브랜트 게이트 배틀로이드 1 디멘션 폴리스
【기동】【뱅가드 서클】턴1회 : 상대의 뱅가드가 그레이드 2 이상이라면, 【코스트】[패를 1장 버림]으로, 자신의 라이드덱에서 「초차원로보 다이카이저」를 1장까지 선택하여, 【스탠드】로 라이드한다. 라이드했다면, 그 파이트 중, 자신은 「차원로보」를 포함하지 않은 카드에 라이드할 수 없다.
【자동】 : 이 유닛이 「다이카이저」를 포함한 그레이드 3에 라이드되었을때, 이 카드를 리어가드 서클에 콜한다.
【영속】【리어가드 서클】 : 자신의 뱅가드가 「다이카이저」를 포함한 그레이드 3이상이라면, 이 유닛은 『부스트』를 얻는다.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초용폭렬 DZ-BT08/027 RR 일본 세계 최초 수록

1.5.2. 차원로보 카이저그레이더

한글판 명칭차원로보 카이저그레이더(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ruby(次元, ruby=じげん)]ロボ カイザーグレーダー
노멀 유닛
그레이드 파워 실드 수치 국가 종족 크리티컬 클랜
1(부스트) 8000 5000 브랜트 게이트 배틀로이드 1 디멘션 폴리스
【자동】 : 이 유닛이 뱅가드 서클에 등장했을 때, 자신의 덱에서 기지 카드를 1장까지 찾고, 공개하여 패에 추가하고, 덱을 셔플한다.
【자동】 : 이 유닛이 자신 카드의 능력으로 소울에서 리어가드 서클에 등장했을 때, 자신의 뱅가드가 「다이카이저」를 포함한 그레이드 3 이상이라면, 그 턴 중, 자신 뱅가드 전부와 이 유닛의 파워+5000.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초용폭렬 DZ-BT08/086 C 일본 세계 최초 수록

1.5.3. 차원로보 코어카이저

한글판 명칭차원로보 코어카이저(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ruby(次元, ruby=じげん)]ロボ コアカイザー
노멀 유닛
그레이드 파워 실드 수치 국가 종족 크리티컬 클랜
0(부스트) 6000 5000 브랜트 게이트 배틀로이드 1 디멘션 폴리스
【자동】 : 이 유닛이 라이드되었을 때, 자신이 후공이라면, 1장 드로우한다.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초용폭렬 DZ-BT08/088 C 일본 세계 최초 수록

2. V 스탠다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차원로봇(V 시즌)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2.1. 개요

파일:dvs01_043.png 파일:dvs01_091.png
RRR SP
파일:dvs01_099.png
VSR

2.2. 효과

한글판 명칭초차원로보 다이카이저(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超次元ロボ(ちょうじげんロボ) ダイカイザー
노멀 유닛
그레이드 파워 실드 수치 클랜 종족 크리티컬 국가
3(트윈 드라이브!!) 13000 - 디멘션 폴리스 배틀로이드 1 스타 게이트
이매지너리 기프트
포스
【영속】【뱅가드 서클】 : 이 유닛이 파워 35000 이상이라면, 이 유닛의 크리티컬+1.
【자동】【뱅가드 서클 / 앞열의 리어가드 서클】 : 자신의 드라이브 체크로 그레이드 3이 나온 배틀 종료시, 그 배틀에서 상대가 수호자를 가디언 서클에 합계 1장 콜했다면, 【코스트】[【카운터 블래스트】(1)] 하는 것으로, 상대의 뱅가드를 1장 선택해, 1 데미지. 그 턴 종료시, 이 유닛이 리어가드 서클에 있다면, 이 유닛을 소울에 놓는다.
【자동】 : 이 유닛이 라이드 되었을때, 이 카드를 앞열의 리어가드 서클에 콜하고, 이매지너리 기프트 포스를 1개 얻고, 그 마커를 뱅가드 서클에 놓는다.
『여기서 끝내겠다! 진향일섬! 카이저 블레이드읏!』

2.3. 설명

카드파이트!! 뱅가드/오버드레스 시즌에 나온 V 스탠다드의 초차원로보 다이카이저.
영속 능력은 파워 35000 이상일때 크리티컬+1하는 능력. 8000부스트를 받는다는 가정하에 포스 마커 2개 이상, 그냥 파워로는 포스 마커 3개 이상일때부터 적용된다.
첫번째 자동 능력은 드라이브 체크로 그레이드 3이 나오고 상대방이 수호자를 던졌으면 배틀 종료시에 상대에게 1 데미지를 주는 능력. 리어가드에서도 발동할 수 있다보니 수호자 사용에 부담을 준다. 다만 리어가드에서 발동시에는 소울로 들어가지만 턴 종료시에나 들어가므로 어택순서를 고민할 필요는 없다.
같은 배틀에서 수호자를 2장 이상 던졌다면 효과가 발동되지 않으니, 유의할 것
두번째 자동 능력은 라이드 되었을때, 리어가드 서클에 콜하고, 포스 마커를 추가로 부여하는 능력. G 시즌때의 브레이크 라이드가 모티브로 보인다.

2.4.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V 클랜 컬렉션 Vol.1 D-VS01/043 RRR 일본 세계 최초 수록
V 클랜 컬렉션 Vol.1 D-VS01/SP07 SP 일본 세계 최초 수록
V 클랜 컬렉션 Vol.1 D-VS01/VSR03 VSR 일본 세계 최초 수록

3. P 스탠다드

3.1. 개요

카드파이트!! 뱅가드에 등장하는 카드

파일:attachment/초 차원로봇 대카이저/TD12_001_view.gif

3.2. 효과

한글판 명칭초차원로봇 대 카이저
일본판 명칭超次元ロボ ダイカイザー
노멀 유닛
그레이드 파워 실드 수치 클랜 종족 크리티컬
3 11000 없음 디멘션 폴리스 배틀로이드 1
자동【리미트 브레이크 4】(자신의 대미지가 4장 이상일 때 유효):【카운터 블래스트 1】'디멘션 폴리스'가 이 유닛에 라이드했을 때 코스트를 지불해도 좋다. 지불하면, 자신의 뱅가드를 1장 선택해, 그 턴 중, 파워 +10000 / 크리티컬 +1하고 "자동【뱅가드 서클】: 이 유닛의 드라이브 체크에서 그레이드 3의 '디멘션 폴리스'가 나왔을 때 상대의 가디언을 하나 선택해서 퇴각시키고 그 유닛의 "공격당하지 않는다"를 포함한 모든 효과를 무효로 한다." 를 준다.
자동【뱅가드 서클】: 이 유닛이 '디멘션 폴리스'에 부스트되었을 때, 그 배틀 중, 이 유닛의 파워 +2000
영속【뱅가드 서클/리어가드 서클】: 맹주(공통된 클랜이 없는 자신의 유닛이 있으면 공격할 수 없다)
간다! 초차원합체! 대! 카이!! 저!!!
138화, 미츠사다 켄지[1]

3.3. 설명

디멘션 폴리스 트라이얼 덱 초차원의 용자에 수록되는 그레이드 3 유닛. 일판명은 '초차원로보 다이카이저'. 한판명은 초차원 로봇 대혹성의 전례를 따라 '다이'를 '대'로 번역해 대 카이저가 되었다.

디멘션 폴리스 최초의 브레이크 라이드 유닛으로, 순진의 보석기사 아슈레이의 브레이크 라이드 효과에 덧붙여 카운터 블래스트 1을 소비하는 대신에 드라이브 체크에서 그레이드 3이 나오면 가드 하나를 없애버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무려 절대가드마저도 무력화가 가능한 엄청난 능력. 완전가드를 쓰지 않을 때는 그레이드 3 1장당 파워 +10000이나 마찬가지이며 완전가드는 완전가드 이외에는 내지 않기 때문에 그레이드 3이 나오면 상대의 패 2장을 손실시키고 어택을 확정시키게 된다. 특히 이 효과를 받은 유닛을 사령관 로렐로 스탠드에 성공했다면 아주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물론 그레이드 3을 체크하는 것은 애초에 트리거 보다도 확률이 낮고 이 유닛의 브레이크 라이드를 발동한 순간부터 덱에서 그레이드 3 2장이 없어진거나 마찬가지라 확률은 더 낮다. 또한 크리티컬 트리거가 더 좋을 수도 있으며 완전가드가 떴을 때 그레이드 3을 뽑는다는 보장도 없다, 그러나 완전가드를 뚫을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좋은 것이며 그레이드 3이 체크됐더라도 헛되지 않다는 것도 좋다. 그리고 그레이드 3이 설렁 안 뽑히더라도 그 자체의 효과가 아슈레이와 같기 때문에 손해는 카운터 블래스트 1 정도이니까. 이 때문에 아슈레이와 비교해서 아슈레이를 까는 의견이 많다.

또한 4기 시즌의 용검쌍투에서 등장한 강투기 심버스터와 연계해도 꽤 괜찮은 상황이 나오는데, 심버스터는 레기온 하여 어택할때 파워가 30000 이상을 돌파했다면 상대의 절대가드를 봉쇄해버리기 때문에, 파워와 크리티컬을 올려주는 이 카드와 상성이 좋다. 브레라 타고 레기온 한뒤 1만 부스트인 강투기 블랙 독토르의 부스트를 받는다면 40000 크리 2로 돌진하는데 절가를 못던지고 그레이드 0으로만 가드해야 하며, 만약 드라이브 체크로 그레이드 3을 뽑는다면 그 가드조차 간단하게 돌파할 수 있다. 여기에 강투기 서포트 카드들의 스킬로 추가 파워업까지 노릴수 있다.

설정상 차원로보 카이저드의 피니쉬 폼으로, 카이저드가 "트랜스 디멘션!"의 구호를 외치면 나타나는 거대한 기갑 차량 카이저 그레이더[2] 킹 로더와 초차원합체폼 업하는 것으로 완성되는 더 전투에 특화된 형태로, 파워와 강도가 향상된 카이저 블레이드를 비롯한 많은 무기를 원래 있던 차원의 에너지와 공명시키는 일로 다른 차원에서도 환장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제1차 본부 습격전을 계기로 다이유우샤와 협력하게 되어서 더이상 고독하게 싸우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일러스트레이터는 용자 시리즈에서 메카 디자이너로 유명한 오바리 마사미.

예상치않게 애니메이션에서도 출현. 138화에서 출연해 타락하여 그야말로 악의 황제 포스를 내뿜던 미츠사다가 레온에게 패배하고 제정신을 차린 뒤, 자기 혼자서 다 타락시킨 유리와 SIT 꼬맹이들을 다시 되돌리기 위해 싸울 때 이 녀석을 사용했다. 이때,성우는 사토 타쿠야 [3] 라이드 연출은 카이저드가 카이저 그레이더와 합체한 뒤 바이저만 닫고 클레이를 배경으로 포즈. 그리고 약 10초 후 놀라는 유리의 얼굴을 클로즈업하며 출연 끝. 이후 미츠사다의 파이트가 다시 나온다면 에이스 유닛으로서 재등장 할 수 있을지도....


내가-지금 보고있는게-용자물인가-TCG애니인가.MP4

게다가 일러스트레이터인 오바리 마사미가 친히 작화감독으로 참여해 합체씬을 그렸다!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3f28e93c-s.jpg

그리고 오바리가 그린 138화 엔드 카드.

덕분에 이 화가 방영된 날 뱅가드 유저들 중 용자물&슈퍼로봇 팬들은 그야말로 열광의 도가니에 빠졌다나(...)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ca0c9fb2.jpg
2013년 12월 발매되는 디멘션 폴리스 하지메 세트에 위의 엔드 카드를 일러스트로 한 어나더 일러스트 버전이 동봉되었다.

또한 파이터즈 컬렉션 2014에 이 카드의 강화 버전으로 추측되는 일러스트가 떴으며, 그 유닛의 정체는 바로 이 카드의 크로스 브레이크 라이드 유닛인 궁극 차원로봇 그레이트 대카이저였다! [4] 리미트 브레이크 스킬로 차원로보 에스페셜 카블 2를 지불하는 것으로 그 배틀 중의 드라이브 체크를 1회 더 실행하여 트리플 드라이브 체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유닛의 브레이크 라이드 스킬을 잘 살릴수 있는 효과를 들고 나왔다.

게다가 같은 팩에서 나오는 초 차원로봇 쉐도우카이저는 이 카드가 뱅가드일때 리어의 자신을 소울에 넣어 그레이드 대카이저를 슈페리얼 라이드 할 수 있는데, 그레이트 대카이저의 일러를 자세히보면 쉐도우 카이저의 파츠가 일부 섞여있는걸 보면, 쉐도우 카이저와 이 카드가 그레이트 합체를 하여 그레이트 대카이저가 된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그레이트 대카이저의 설정이 공개되면서 대카이저와 쉐도우 카이저가 합체한 카이저드의 얼티밋 폼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강화 형태도 나와서 그런지 172화에서 오랜만에 등장. 138화에도 나왔던 합체씬을 보여주며 등장했으며, 거기다 이번엔 잠깐 나온게 아니라 메카 작감을 일러스트레이터인 오바리 마사미가 맡은지라 다이유우샤와 함께 간지폭풍의 작화를 보여줬다. 이후 미츠사다가 리어에 쉐도우카이저를 콜한뒤 스킬을 발동하여, 궁극 차원로봇 그레이트 대카이저로 슈페리얼 크로스 브레이크 라이드된다.

용자 시리즈에서 모티브를 따온 유닛이긴 하지만, '카이저'라는 이름과 어깨뽕이나 컬러링. 또한 디자이너가 오바리 마사미라는 점을 보면 슈퍼로봇대전컴패터블 카이저에서도 모티브를 따온 듯하다.[5]

3.4. 관련 카드

3.4.1. 차원로봇 카이저드


파일:external/1ad6772e2973f6cfd001fdc23c12070d854d3fb300216444611764626043fd8a.jpg
한글판 명칭차원로봇 카이저드(미발매)
일본판 명칭次元ロボ カイザード
노멀 유닛
그레이드 파워 실드 수치 클랜 종족 크리티컬
2 9000 5000 디멘션 폴리스 배틀로이드 1
자동:'디멘션 폴리스'가 이 유닛에 라이드 했을 때, 자신의 뱅가드를 1체 선택해, 그 턴 중 파워 + 5000

초차원의 용자에 수록된 디멘션 폴리스의 그레이드 2 유닛.

브레이크 라이드와 비슷하게 디멘션 폴리스가 위에 라이드하면 그 유닛의 파워를 노 코스트로 5000 펌핑시켜주는 스킬을 갖고 있다. 브레이크 라이드에 비하면 상승 수치는 적지만 초반에도 발동 가능한데다가 초차원 로봇 대혹성의 경우 이 유닛 위에 라이드만 하는 것 만으로도 크리 2가 된다.

설정에 의하면 다이유우샤를 서포트하라는 임무를 받고 새로이 파견된 차원로보로, 입이 험한게 단점이지만 다이유우샤에 뒤지지 않는 실력을 갖고 있으며 무기는 2정의 권총인 카이저 매그넘. 링크 죠커에 밀리는 다이유우샤 일행을 멸시해, 그를 도우면서도 단독 행동을 하고 있었으나 스타 게이트 최대의 위기인 '제 1차 본부 습격전' 때 다시한번 모습을 드러내 다이카이저가 되어 다이유우샤와 함께 위기를 극복했다 한다. 누구에게도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정의에 따라 움직이며, 강자인 자신이 약자들 몫까지 싸우는걸 당연하게 생각해 약자가 싸우지 않아도 되는 세상을 목표로 싸우는 성격이라고 한다.

애니에서는 138화에서 다이카이저로 라이드 되는 장면에서 살짝 나왔으며, G 19화에도 등장. 이때는 켄지가 탑승했다.

3.4.2. 차원로봇 카이저 그레이더

파일:attachment/초 차원로봇 대카이저/vgd_today.jpg
킹 로더
한글판 명칭차원로봇 카이저 그레이더(미발매)
일본판 명칭次元ロボ カイザーグレーダー
노멀 유닛
그레이드 파워 실드 수치 클랜 종족 크리티컬
1 7000 5000 디멘션 폴리스 배틀로이드 1
기동【리어가드 서클】:【카운터 블래스트 1, 자신의 패에서 그레이드 3 이상의 '디멘션 폴리스'를 1체 골라 버린다. 이 유닛을 소울에 놓는다.】 자신의 뱅가드 서클에 '차원로봇 카이저드'가 있고, 상대의 그레이드 2 이상의 뱅가드가 있다면, 자신의 덱에서 '초 차원로봇 대카이저'를 1장 찾아, '스탠드'로 라이드해, 그 덱을 셔플한다.

월간 부시로드 부록으로 나오는 대카이저의 서포트 유닛.

대카이저의 설정에도 언급되어 있던 기갑 차량 '카이저 그레이더'가 카드로 나온 것으로, 카이저드와 합체해서 대카이저가 된다는 설정을 카드 스킬로 구현해, 카이저드가 뱅일때 카블 1과 패의 G3을 코스트로 자신을 소울에 넣어 대카이저로 합체 슈페리얼 라이드 할 수 있는 스킬을 갖고 있다. 또한 이렇게 대카이저를 슈페라하면 카이저드의 스킬로 파워업이 가능하다. 코스트와 조건이 좀 까다롭지만, 잘하면 후공일지라도 G3에 먼저 라이드 할 수 있는데다가, 대카이저를 미리 라이드해 브레이크 라이드의 조건을 맞출수 있다는 점에선 쓸만하다.

애니에서는 G 19화에서 처음 등장. 가이가 탑승했다.

3.4.3. 궁극 차원로봇 그레이트 대카이저

대카이저의 크로스 브레이크 라이드 형태. 자세한건 항목 참조.
3.4.3.1. 진 궁극 차원로봇 그레이트 대카이저
궁극 차원로봇 그레이트 대혹성과 레기온하는 리메이크 버전.
3.4.3.2. 초 차원로봇 쉐도우카이저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FC02-016_%28Sample%29.jpg
한글판 명칭초 차원로봇 쉐도우카이저(미확정)
일본판 명칭超次元ロボ シャドウカイザー
노멀 유닛
그레이드 파워 실드 수치 클랜 종족 크리티컬
3 11000 없음 디멘션 폴리스 배틀로이드 1
자동【뱅가드 서클】【리미트 브레이크 4】(자신의 대미지가 4장 이상일 때 유효): 이 유닛이 뱅가드에게 어택했을 때, 그 배틀 중, 이 유닛의 파워 + 5000.
기동【리어가드 서클】: 【카운터 블라스트 1, 이 유닛을 소울에 넣는다.】자신의 뱅가드 서클에 '초 차원로봇 대카이저'가 있다면, 자신의 덱에서 '궁극 차원로봇 그레이트 대카이저'를 1장 찾아, '스탠드'로 라이드해, 그 덱을 셔플한다.

파이터즈 컬렉션 2014에서 나오는 대카이저의 서포트 유닛.

리밋브로 어택시 5000이 오른다는 무난한 스킬을 갖고 있지만 이 유닛의 진가는 바로 뱅가드가 대카이저일 경우 카블 1로 리어의 자신을 소울에 넣는 것으로 대카이저의 크로스 브레이크 라이드 형태인 그레이트 대카이저를 슈페리얼 라이드 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 덕분에 그레이트 대카이저의 크로스 브레이크 라이드를 더욱 쉽게 시전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상으로도 이 카드와 대카이저가 그레이트 합체하여 그레이트 대카이저가 되었다고 하며, 그레이트 대카이저의 일러스트를 잘 보면 대카이저의 바디에 이 유닛의 파츠가 합체된 듯한 모습이다.

애니에서는 172화에 등장. 뱅가드가 대카이저일때 리어에 콜되어 스킬을 발동. 그레이트 대카이저를 그레이트 합체슈페리얼 크로스 브레이크 라이드했다. 또한 이때는 설정으로 언급된 비행 형태인 잔버드로 변신하기도 했다.

그리고 G 19화에서는 유리가 탑승했다.
3.4.3.3. 설정
우주의 평화를 지키는 사명을 띤 다른 차원의 용사.

원래는 전투보다 적지에 잠입 수사 등에 특화된 은밀한 전사이며. 고풍스런 표현을 선호한다. "카이저드 "와는 오랜 친구이기도 하며, 동료를 경계해서 누구에게도 마음을 허락하지 않았던 그가 유일하게 인정한 둘도 없는 친구이자 형과 같은 존재.

"고 이글"과 마찬가지로 과거의 싸움에서 치명적인 상처를 입었으며, 한때 전선을 이탈했으나 초차원 로봇 형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는 최신식의 보디를 얻어 클레이에 도착했다.

새로운 몸통과 친화성이 높았기 때문인지, 상정을 훨씬 웃도는 잠재력을 자랑하며 특히 육지의 이동 속도는 차원 로보 중에서도 최고 속도. 또한 비행 형태인 대형 전투기 "잔버드"로 변형하는 것으로 하늘에서도 놀라운 속도를 발휘할 수 있다.

붉은 외포를 펄럭이며 은밀한 용사가 땅을 달린다. 바람같이 ― ― 아니, 번개같이.

머나먼 차원의 저편에서 들려온, 친구의 외침에 답하기 위해서.


[1] 외칠 때 이 유닛이 스스로 함께 외쳤다.[2] 사족으로 일러스트레이터인 오바리 마사미는 이미 카이저 그레이더의 디자인도 끝내놓은 상태라 한다. 그리고 결국 이 카이저 그레이더도 카드로 나왔다![3] 카이 토시키 성우이다...[4] 마침 오바리 마사미는 2013년 뱅가드 관계자 트위터 망년회때 "내년에는 제발 다이카이저씨가 그레이트 합체를 할 수 있기를..."이라고 언급한적이 있었는데, 결국 이게 현실이 되었다(...)[5] 또한 크로스 라이드인 그레이트 대카이저는 플레이버 텍스트에서 'G 대카이저'라고도 표기하는 걸 보면 여러모로 노린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