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8 11:38:40

청머리오리

청머리오리
Falcated duck, Falcated teal
파일:Anas_falcata_male.jpg
학명 Mareca falcata
Georgi, 1775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닭기러기상목(Galloanserae)
기러기목(Anseriformes)
오리과(Anatidae)
아과 오리아과(Anatinae)
오리족(Anatini)
홍머리오리속(Mareca)
청머리오리(M. falcata)
멸종 위기 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생태

1. 개요

오리과 홍머리오리속에 속하는 조류.

2. 생태

몸길이 46~53cm, 익장 71~91cm, 체중 422~770g로 보통 아수 모두 크기는 비슷하나, 수컷이 암컷보다 조금 더 무거운 경향이 있다.

수컷은 이름답게 머리가 청색이지만 적갈색도 섞여있으며, 날개깃이 낫 모양으로 뒤를 향해 길게 늘어진다. 수컷은 그 외형이 매우 특이해 다른 종과 혼동이 없다. 암컷은 전체적으로 갈색 몸통에 회갈색 무늬가 섞인 외형이다.

러시아의 하바롭스크, 프리모르스키, 아무르, 치타, 부랴티아, 이르쿠츠크, 투바, 크라스노야르스크 동부, 사하 중부와 남부, 사할린, 쿠릴 열도, 북한 북동부, 중국내몽골 북동부, 헤이룽장 북부, 일본홋카이도, 아오모리애서 번식하며, 인도우타르프라데시, 비하르, 아삼, 하리아나 동부, 방글라데시 북부, 미얀마 북부와 중부, 라오스 북부, 베트남 북부, 중국하이난, 윈난, 광시, 광둥, 푸젠, 장시, 후난 북부, 후베이, 저장, 안후이, 장쑤, 산둥, 허베이 남부, 산서, 섬서 북부, 대만에서 겨울을 난다. 대한민국에서는 10월 초부터 도래하는 겨울철새로서 겨울이 되면 전국의 강, 습지 등지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낮에는 강, 호수, 습지 등지에서 자맥질하여 수서곤충을 먹거나 낮잠을 자며, 저녁이 되면 농경지로 가 낱알들을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