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17:06:35

철도역 구조 유형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철도역 승강장의 구조}}}에 대한 내용은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철도역 승강장의 구조: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철도역 구조 유형
지상역 선상역 반지하역
선하역 고가역 지하역


1. 지상역2. 선상역3. 반지하역
3.1. 지하역처럼 취급되는 경우3.2. 지상역처럼 취급되는 경우
4. 선하역5. 고가역6. 지하역7. 관련 문서

1. 지상역

파일:밀양역.jpg
지상역인 밀양역 (대한민국)

가장 일반적인 철도역의 형태. 맞이방도 선로도 지상에 위치하며, 보통 승강장은 지상 1층에 존재한다. 다른 플랫폼으로 넘어갈 때는 건널목, 육교 또는 지하도를 이용한다. 경의·중앙선 도농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답역, 수도권 전철 8호선 남위례역, 부산 도시철도 2호선부산대양산캠퍼스역, 두단식 승강장 구조의 경인선 인천역, 호남선 목포역, 전라선 여수엑스포역 등이 좋은 예. 건널목으로 다른 플랫폼으로 넘어갈 때 안전사고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밀양역, 김천역처럼 열차 운행이 빈번한 지상역의 경우 플랫폼으로 가는 육교나 지하도를 놓는다.

두단식 승강장의 경우 모든 플랫폼이, 중간역의 경우 역사와 붙은 플랫폼이 바로타 구조가 된다.

도시철도에서는 지하역과의 상대적 분류로 인해, 고가역을 지상역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엄밀하게는 틀린 분류일 수 있지만 지상구간이라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면 고가역도 지상역이다. 나무위키의 대한민국 도시철도, 광역철도 역명 목록에서 파란 바탕은 지상역과 고가역을 통합해서 이르는 것이다.

2010년대 이후로는 경전철 역이거나 기존에 이미 지상으로 건설된 선로나 차량기지를 개량하여 역을 만드는 경우를 제외하면 새로 생기는 지상역 및 지상구간, 특히 전철역 및 전철노선은 매우 드물다. 예외적인 경우가 진접선에 존재하는 지상구간 정도다.

2. 선상역

파일:attachment/철도역 구조 유형/철도역_구조-선상역.jpg
동대구역 선상역사 (대한민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선상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선상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선상역사#|]][[선상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반지하역

파일:attachment/철도역 구조 유형/철도역_구조-반지하역.jpg
광명역의 자연 채광. (대한민국)

반지하 형태의 역이다. 같은 반지하역이라도 역마다 구조가 다양하다. 보통 선로와 플랫폼은 지하에 있는데 맞이방이 지상에 있거나 또는 맞이방마저 지하에 있더라도 자연채광이 가능한 경우다. 또는 한양대역처럼 역 주변 고저차로 인해 한쪽 방면은 지상역, 다른 쪽 방면은 지하역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승강장에서 자연채광이 가능해도 지상역은커녕 반지하역으로도 취급하지 않는 역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양천구청역이 있다.

지하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는 구간에 역이 설치되어 있고 창문이 없는 등의 구조라면 지하역에 더 가깝고[1], 양쪽 방면으로 역을 빠져나오자마자 지상구간이 나타나는 등의 구조라면 지상역에 더 가깝다고[2] 볼 수 있다. 따라서 반지하역을 굳이 지상역하고 지하역으로 나눌 경우, 역의 구조 등에 따라 지하역으로 취급되는 역과 지상역으로 취급되는 역 둘 다 있다.

반지하역 특성상 보통 지상 1층 또는 지하 1층 구조가 많다. 하지만 예외도 존재하는데, 광명역은 지하 2층 구조, 한양대역은 내선순환 방면은 지상 1층이고 외선순환 방면은 2번 출구(애지문)을 기준으로 했을 때 지하 2층이다.

보통 적어도 한쪽 방면으로는 역을 빠져나오자마자 지상구간이 나타난다. 동원역은 상행 방면은 지하이고, 하행 방면 쪽으로도 승강장이 끝나는 부분부터 지상인 것이 아니라 아주 짧지만 터널 구간이 존재한다. 다만 매우 짧기 때문에 하행 방면으로 햇빛이 들어온다.

경부고속선 광명역, 수서평택고속선 수서역, 서울 지하철 2호선 한양대역[3],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원역,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반여농산물시장역, 동해선 신해운대역이나 경의선 풍산역, 경강선 초월역, 강릉역,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운연역, 수인·분당선 사리역 등이 이에 해당한다.

3.1. 지하역처럼 취급되는 경우

3.2. 지상역처럼 취급되는 경우

4. 선하역

파일:attachment/철도역 구조 유형/철도역_구조-선하역.jpg
서울의 대표적인 선하역사인 남영역 (대한민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선하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선하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선하역사#|]][[선하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고가역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고가역'''{{{#!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일본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코가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코가역#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코가역#|]]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일본의 철도역: }}}[[코가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코가역#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코가역#|]]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대천역사.png
고가역사인 대천역 (대한민국)
선하역의 일종이며 일반적인 선하역과 달리 선로가 지상에 바로 있지 않은 채 고가 위에 놓여있고 맞이방이 고가에 확장 설치되어 있는 경우. 즉 고가철도 위의 역이다. 일반 철도역으로는 경부고속선 천안아산역, 장항선 대천역 등이 이와 같은 모습을 취하고 있다.

고가역 특성상 대부분 지상 2층 이상에 위치한다. 다만 지상 2층 이상에 위치해있다고 해서 모두 고가역은 아니다.

이 분류는 지상역과의 엄밀한 분류이며, 특히 도시철도에서의 고가역은 지상역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 예시 #===
아래는 고가역으로 지어진 도시철도 역의 예시이다.

6. 지하역

파일:attachment/soganguniversitygyeonguijungang.png
일반적인 지하철역인 서강대역 (대한민국)

선로와 맞이방 둘 다 지하에 위치한 경우.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이나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교대역처럼 선로와 맞이방이 같은 층에 있고 반대 방향 환승 통로가 아래층에 있거나,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처럼 맞이방이 선로보다 아래층에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수서평택고속선 동탄역이 고속열차 정차역 중에서 국내 최초로 완전한 지하역으로 들어섰다. 수서평택고속선이 지하 대심도 터널로 지어졌고, 동탄역이 그 터널의 중간에 있기 때문이다.

도시철도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유형이다.

철도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을 때에는 도시철도일지라도 강 통과 구간, 연약지반 등의 구간은 지하로 뚫을 여건이 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지상으로 짓는 경우가 많았지만, 철도 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금은 차량기지 인접 구간 정도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역이 지하로 지어지고 있는 추세다.

7. 관련 문서



[1] 초월역, 동원역, 반여농산물시장역 등이 있다.[2] 풍산역, 사리역 등이 있다.[3] 언덕의 사면을 깎아 건설한 역으로 뚝섬역 방향은 완전한 지상역이고 왕십리역 방향은 언덕의 벽에 해당하여 반지하와 유사한 형태이다. 구조상으로는 반지하 형태이나 명백하게 지상에 있는 역이다.[a] 부분적 고가[a] [a]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