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0 12:21:31

채혈기


의료기기 및 의료 관련 제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혈압계 · 청진기 · 양압기 · 인공호흡기 · 수액 · 주사기 · MRI · 완전균형영양식 · X-ray · CT · 가운 · 간호사복 · 안경 · 보청기 · 휠체어 · 반창고 · 환자복 · 틀니 · 생리식염수 · 링거 · 인공눈물 · 안약 · 깁스 · 붕대 · 인공자궁 · 초음파 · 영양제 · 건강기능식품 · 환자식 · 목발 · 연고 · 지팡이 · 치약 · 에크모 · 심장충격기 · 심전도 · 내시경 · 메스 · 콘택트 렌즈 · 콘돔 · 페미돔 · 지혈대 · 큐렛 · 스텐트 · 서클렌즈 · 카데터 · 인바디 · 인공장기 · 인큐베이터 · 임신테스트기 · 의족 · 루비 레이저 · 환자감시장치 · 드림렌즈 · 네블라이저 · 습윤밴드 · 치간칫솔 · 칫솔 · 가글 · 의안 · 치실 · 채혈기 · 부목
}}}}}}}}} ||

1. 개요2. 구조3. 주의점4. 레이저 채혈기

1. 개요

파일:채혈기.png

채혈기()란 채혈을 하기 위해 쓰이는 의료기기로 보통 소량의 혈액을 추출할 때 쓰인다.[1] 주로 당뇨병 환자들이 혈당 측정을 위해 많이 가지고 다니며, 민간요법으로서 급체 등의 체증이 있을 경우 손가락 따기를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2. 구조

파일:채혈기 구조.png

보통의 채혈기의 구조는 채혈침(採血)을 안에 넣고 쓰는 방식이며, 실수로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장전 손잡이가 있다.

3. 주의점

채혈기를 쓰고 난 후 사용한 채혈침은 다른 사람과 공유하지 않고 반드시 버려야 한다. 전염병의 감염 경로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채혈기로 동맥 등의 민감하고 중요한 혈관을 건드려서는 안된다.

4. 레이저 채혈기

채혈침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채혈기와 다르게, 레이저를 쏘아 채혈을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위생적이다. 다만, 상당히 고가[2]이며, 사용할 때 렌즈 오염 방지용 일회용 캡을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1] 주로 손가락 끝에 사용한다.[2] (다나와 기준)최저가가 263,950원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