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21:01:42

창작대중가극 눈물의 여왕


<colbgcolor=#EBEBE9><colcolor=#000> 창작대중가극
눈물의 여왕
파일:눈물의 여왕_공연 포스터.jpg
원작 차길진의 《애정 산맥》
공연 일정 서울 1998년 3월 27일 ~ 4월 12일
부산 1998년 5월 29일 ~ 5월 31일
각색 및 연출 이윤택
음악감독 정치용
제작 삼성영상사업단
주최 한국방송공사
주관 나이세스, 컬티즌
협찬 SK주식회사, 삼성생명
출연진 이혜영, 전도연, 조민기, 배삼룡 , 이효성, 정규수
공연 수 서울 공연 26회, 부산 공연 5회
총 31회 공연

1. 개요2. 내용3. 공연 일정
3.1. 서울3.2. 부산
4. 등장인물5. 티켓 가격6. 여담
6.1. 작품6.2. 배우
7. 관련 문서

1. 개요

  • 차길진의 소설 '애정산맥'을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1950년대 지리산 일대와 부산을 배경으로 좌우 이념 갈등으로 인한 삶의 고뇌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사랑을 그린 작품.
    IMF 외환 위기 상황에 올려진 창작 가극이다.

2. 내용

  • 작품의 배경은 이땅에서 이데올로기가 가장 치열하게 충돌했던 6·25전쟁. 이데올로기의 대립 속에서 전옥과 그가 이끌던 백조가극단이 겪게 되는 시련과 애환, 그리고 그 속에서 피어나는 숙명적 사랑과 비극이 중심줄거리를 이루어 대사와 독백, 노래와 음악으로 펼쳐지는 대중가극이다.

3. 공연 일정

3.1. 서울

1998 창작대중가극 눈물의 여왕[1]
일정 장소
1998년 3월 27일 (화) 3pm 예술의 전당 오페라극장
1998년 3월 27일 (금) 7:30pm
1998년 3월 28일 (토) 3pm
1998년 3월 28일 (토) 7:30pm
1998년 3월 29일 (일) 3pm
1998년 3월 29일 (일) 7:30pm
1998년 3월 31일 (화) 3pm
1998년 3월 31일 (화) 7:30pm
1998년 4월 1일 (수) 3pm
1998년 4월 1일 (수) 7:30pm
1998년 4월 2일 (목) 7:30pm
1998년 4월 3일 (금) 7:30pm
1998년 4월 4일 (토) 3pm
1998년 4월 4일 (토) 7:30pm
1998년 4월 5일 (일) 3pm
1998년 4월 5일 (일) 7:30pm
1998년 4월 7일 (화) 3pm
1998년 4월 7일 (화) 7:30pm
1998년 4월 8일 (수) 3pm
1998년 4월 8일 (수) 7:30pm
1998년 4월 9일 (목) 7:30pm
1998년 4월 10일 (금) 7:30pm
1998년 4월 11일 (토) 3pm
1998년 4월 11일 (토) 7:30pm
1998년 4월 12일 (일) 3pm
1998년 4월 12일 (일) 7:30pm
서울 공연 26번

평일: 오후 7시 30분
화, 수, 주말, 공휴일: 오후 3시 & 오후 7시 30분 (즉, 2회 공연)
월요일: 공연 없음

3월30일(월), 4월 6일(월) 밤공연 휴관이다.


당시로선 이례적으로 2000석 넘는 극장을 3주 가까이 대관하였다.

3.2. 부산

1998 창작대중가극 눈물의 여왕
일정 장소
1998년 5월 29일 (금) 7:30pm 부산문화회관 대강당
1998년 5월 30일 (토) 3pm
1998년 5월 30일 (토) 7:30pm
1998년 5월 31일 (일) 3pm
1998년 5월 31 (일) 7:30pm
부산 공연 5번
29일 오후 7시30분/ 30, 31일 오후 3시, 7시30분. 출처

4. 등장인물

5. 티켓 가격

1998 창작대중가극 눈물의 여왕
티켓 가격
국가 및 도시 좌석 가격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서울
R석 5만원
S석 4만원
A석 3만원
B석 2만원
특별석 전화예약 한정판매

6. 여담

6.1. 작품

  • 제목 눈물의 여왕은 50년대 최고의 인기를 누린 배우 전옥의 별명으로, 신파극의 대명사였다. 최민수씨의 외할머니이다.
  • 전옥의 실제 수양딸 원희옥이 직접 출연, 어린 시절의 자신을 연기하는 임선애와 신·구 노래대결을 벌인다.
  • 화려한 출연진과 쟁쟁한 스태프는 물론 한국적 뮤지컬의 가능성 찾기라는 점에서 무대 안팎의 시선을 한껏 집중시켰던 작품.

6.2. 배우

  • 접속의 흥행 이후 영화와 드라마의 제의를 거절하고 전도연이 선택한 가극 공연이다.
    • 전도연은 1997년 9월 개봉한 영화 〈접속〉이 흥행하고 수 많은 드라마와 영화, 방송 제의가 왔지만 사양을 하고 굳이 1998년 3월 초연한 〈창작대중가극 눈물의 여왕가극을 택하였다. 한창 주가 상승 중이었기에 의외란 인터뷰에, “연기자라면 한번은 관객하고 직접 만나서 관객들의 반응을 보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요?”라고 답한 일화가 있다.

7. 관련 문서


[1] 1998년 3월 27일 서울 초연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