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01년 대만의 체인지 엔터테인먼트 (체인지 소프트)에서 개발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2] 대한민국에서는 신성엔터테인먼트라는 회사가 유통을 맡았다. 국내 정발명은 징기스칸이며, 원제는 成吉思汗-大漠英雄傳 (칭기즈 칸: 대막영웅전).이름대로 칭기즈 칸의 일대기를 소재로 다루고 있으며 동시대에 활약한 여러 국가들을 플레이할 수 있다.
코에이가 제작한 푸른 늑대와 흰 사슴 2탄의 정발명이 징기스칸이기 때문에, 코에이의 징기스칸과 구분하기 위해 신성 징기스칸이라고도 부른다. 운동화를 사면 번들로 나눠주는 경우도 있었다. #
2. 상세
삼국지 2000 시리즈의 외전 격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며, 따라서 장수 일러스트나 여러 에셋들이 삼국지 2000에서 따 온 것들이 많다.싱글 플레이와 멀티 플레이를 지원하며, 싱글 플레이의 경우 다음 모드로 나뉜다.
- 고비사막 영웅전 (캠페인): 칭기즈 칸의 어린 시절부터 대칸 즉위, 호라즘 정복, 칼가강 전투, 말년까지의 일생을 징기스칸(테무진)을 주인공으로 하여 플레이할 수 있는 캠페인 모드. 단 정사를 완전히 따라가는 것은 아니고, 약간의 각색이 들어가 있다.[스포일러]
- 통일천하: 삼국지 시리즈의 영웅집결 모드처럼 여러 세력 중 하나를 골라 플레이할 수 있는 모드로, 1182년 몽골 고원, 1204년 아시아 지역, 1221년 유라시아 지역 중 하나를 골라 플레이할 수 있다.
- 등장 세력
고려의 경우 칭기즈 칸 시대와 비슷한 시대인 무신 정권 시대의 무장들이 주로 등장한다. 군주인 명종 외에 최충헌, 김경손, 효심(??) 등이 주요 장수로 등장하며 '부대기'라는 장수가 등장하는데, 제작사 측에서 이름을 잘못 넣은 것인지, 임의로 가공의 장수를 만든 것인지, 유통사의 오역인지는 불명.
징기스칸은 초상화가 3가지다. 어린 시절의 테무진, 청년 시절의 테무진, 그리고 칸 즉위 후의 징기스칸. 필생의 라이벌인 자무카(자무하)도 초상화가 2개인데, 구르칸 시절의 자무하 초상화와 소년 시절의 자무하 초상화를 비교해보면 정말 역변 그 자체다. 자무하 (악)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타락했음을 표현하고자 한 모양. 징기스칸의 동생들인 카사르, 벨구테이(베르구타이)도 어린 시절 초상화가 따로 있다.
2.1. 번역
유통사를 통해 한국어로 번역된 버전으로 출시되었으나 번역의 질이 영 좋지 않으며, '이동' 명령 버튼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다 댔더니 '공격' 명령 버튼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 등 코딩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는지 기술적 문제도 존재한다.어색한 번역체 문장은 말할 것도 없고, 코드 상의 문제로 띄어쓰기가 되지 않은 문장들도 여럿 나온다. 특히 국가, 지역명, 인명의 경우 원어를 찾아보지 않고 중국어 (대만 표준어)로 음역된 이름을 중역한 것으로 보인다. 징기스칸, 카사르, 베르구타이 (벨구타이) 등 몽골, 금나라 등 아시아 쪽 인명은 나름대로 원래 이름을 알아볼 수 있게 번역해놨으나 타국의 인명, 지명으로 갈수록 발번역의 심각성이 돋보인다. 중역으로 일반적 표기와 다르게 표기된 인지명을 대표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편 글자가 5글자 이상을 넘어가면 잘리는 현상도 있다. 대표적으로 베르구타이(벨구테이).
- (게임 내 표기) → (일반적 표기)
- 몽골
- 에스게이 → 예수게이 바토르
- 보르태 → 보르테
- 베르구타이 → 벨구테이
- 줄르무 → 젤메(제르메)
- 보구르치 → 보오르추
- 자무하 → 자무카
- 왕칸 → 옹 칸
- 부치로헤 → 부이룩 칸
- 툴리투 → 톡토아 베키
- 추출려 → 쿠출루크
- 후투카 → 쿠두카 (오이라트부의 족장)
- 알라우스 → 알라쿠시 테긴 (옹구트부의 족장)
- 호라즘 (호라즘 제국)
- 마호메드 → 알라 웃 딘 무함마드
- 자란드 → 잘랄 웃 딘 밍부르누
- 투르한 → 테르켄 카툰
- 로커나드 → 루큰 알 딘
- 서요
- 쥐르한 → 야율직로고
- 아유부왕조 → 아이유브 왕조 (아이유브 술탄국)
- 사라드 → 살라흐 앗 딘 유수프(살라딘)
- 다마스커 → 다마스쿠스
- 비잔티움 → 동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6]
- 이사크 → 이사키오스 2세
- 콘스탄스 → 콘스탄티노폴리스
- 안라사 → 러시아 (러시아 공국들)
- 위구르 (고창)
- 이더후 → 이디쿠트 [8]
- 일본(겸창 → 가마쿠라)
- 원뢰조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 원의경 → 미나모토노 요시츠네
- 원범뢰 → 미나모토노 노리요리
- 무장변경 → 무사시보 벤케이
- 등원태형 → 후지와라노 야스히라
- 등원국형 → 후지와라노 쿠니히라
- 나수여일 → 나스노 요이치
- 배조태시 → 호조 야스토키
- 배조의시 → 호조 요시토키
- 배조시정 → 호조 도키마사
- 전산중충 → 하타케야마 시게타다
- 대강광원 → 오에노 히로모토
- 웅고직실 → 구마가이 나오자네
3. 기타
- 캠페인 최후반부에 곽아정이라는 한족 장수가 등장한다. "툴루이와 어려서부터 함께 놀았다"는 등의 설정이나 마지막 미션에서의 행적으로 보아 사조영웅전의 곽정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추정.
- 주얼판 CD 자켓은 뜬금없이 삼국지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다. #
- 치트키가 존재한다
xmap 지도 밝히기
xfood 성의 식량 5000증가
xgold 성의 금 1000증가
xsoldier 성의 징병치 충전
xall 캠페인인 고비사막영웅전을 클리어하지 않고도 개방한다
xitem 해당 성에서 성의 보물과 장수들의 보물을 각 1개씩 추가한다
wargame을 치고 엔터를 누른 후
F11 아군무적
F8 지도 밝히기(xmap과 동일)
H 승리
U 게임상 시간정지(년월일), 다시 U를 누를시 시간정지해제
F5 적의 유닛이나 성을 클릭하여 정보를 볼 수 있게 됨
[1] 대막 (大漠)은 '넓은 사막'을 뜻하며, 중국어권에서는 일반적으로 고비 사막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2] 삼국지 2000을 개발한 회사다.[스포일러] 마지막 미션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징기스칸이 정사대로 죽지 않고 장수하며, 금나라와 남송을 친정하여 정복하는 미션이 해금된다.[4] 키예프 공국 등 여러 공국들을 뭉뚱그려 러시아(안라사)라고 해놓았다. 참고로 '러시아'를 음역한 명칭은 일반적으로 '아라사'라고 한다.[5] '카를룩왕조'라고 되어 있으나, 지야스(기야스 웃 딘 무함마드)가 군주인 것으로 보아 고르 왕조.[6] 비잔티움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이스탄불의 옛 이름이다.[7] 칼가강 전투 캠페인에서 무력화시키면 아군으로 귀순하는데, 정사에서는 살려는 주겠지 싶던 본인의 기대와는 달리 끔살당한다.[8] 이더후는 장수로 나오는데, 이더후로 오역된 '이디쿠트'는 당시 위구르의 지도자를 가리키는 보통명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