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국가경찰위원회 | ||||
경찰청 소속기관 | |||||
국가수사본부 (경찰수사관) | |||||
경찰대학 | 경찰인재개발원 | 중앙경찰학교 | 국립경찰병원 | 경찰수사연수원 | |
소관단체 및 산하기관 | |||||
한국도로교통공단 | 경찰공제회 | 총포화약안전기술협회 | 제주자치경찰단 | 재향경우회 | |
시·도자치경찰위원회 | |||||
시·도경찰청 | |||||
서울특별시경찰청 | 부산광역시경찰청 | 대구광역시경찰청 | 인천광역시경찰청 | 광주광역시경찰청 | |
대전광역시경찰청 | 울산광역시경찰청 | 세종특별자치시경찰청 | 경기도남부경찰청 | 경기도북부경찰청 | |
강원특별자치도경찰청 | 충청북도경찰청 | 충청남도경찰청 | 전북특별자치도경찰청 | 전라남도경찰청 | |
경상북도경찰청 | 경상남도경찰청 | 제주특별자치도경찰청 | |||
세부 조직 | |||||
사이버수사대 | 경찰기동대 | 경찰특공대 | 안보수사대 | 과학수사대 | |
교통경찰 (고속도로 순찰대) (교통정보센터) |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 · 금융범죄수사대) | 형사기동대 | 마약범죄수사대 | ||
국제범죄수사대 | 독도경비대 | 정보경찰 (치안정보국) | 경찰항공대 | 공항경찰대 | |
항만경찰대 | 경호경찰 | 지하철경찰대 | 경찰 해외 주재관 | 수사심의위원회 | |
둘러보기 | |||||
해양경찰청 · 군 사법기관 · 소방조직 |
<colbgcolor=#2350a9>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지하철경찰대 地下鐵警察隊 Subway Police | }}} | |
관할구역 | 지하철 역사 및 지하철 열차 | |||
상급기관 | 각 시·도경찰청 |
|
|
1. 개요
각 시·도경찰청의 직할대나 생활안전과 소속 팀으로 편성되어있는 지하철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 조직이다. 대한민국의 지하철경찰대는 1987년 서울에서 강력계 형사 28명으로 구성된 지하철범죄경찰대를 발족한 것이 시초이다.2. 목록
- 서울특별시경찰청 지하철경찰대(서울 1~9호선, 코레일 관할구간 제외)
- 인천광역시경찰청 지하철경찰대(인천 1~2호선 및 서울 7호선 인천 구간)
- 경기도남부경찰청 지하철경찰대(경기도 남부 지역 소재의 지하철역사 구간을 담당한다.)
- 부산광역시경찰청 지하철경찰대(부산 1~4호선)
- 대구광역시경찰청 지하철경찰대(대구 1~3호선)
- 대전광역시경찰청 지하철경찰대(대전 1호선)[1]
- 광주광역시경찰청 지하철경찰대 (광주 1호선)
3. 미디어
4. 관련 문서
- 철도특별사법경찰대: 기본적인 직무는 유사하지만 국토교통부 소속기관이며, 한국철도공사 및 SR 구간과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전 구간을 관할한다.
- 지하철보안관: 이쪽은 철도 운영사 직원으로 사법경찰권이 없다.
- 광역철도기동팀: 코레일 직원으로 사법경찰권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