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3 06:05:22

지구연합제국/정치


파일:스타시티즌 가로형 로고 svg.sv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95%><colcolor=#ffffff><colbgcolor=#000000><width=15%><tablebordercolor=#000000> 게임 개발 ||<(><colbgcolor=#ffffff><colcolor=#000000> 개발현황 | 스타 엔진 | 시티즌콘 ||
세계관 지구연합제국 (정치 | 역사 | 도시 | 행정 | 외교)
지구연합제국군 (육군 | 해군 | 해병대 | 민방위군)
종족 | 기업 | 길드
지역 행성계 (스탠튼 | 파이로)
콘텐츠 플레이어 | 함선 | 장비 | 모비글라스 | 임무

1. 개요2. 주권3. 정부 형태4. 상원
4.1. 회의장
5. 황제
5.1. 현 황제5.2. 전 황제
6. 정당7. 지방 정부
7.1. 상원 대표가 있는 지방 정부
7.1.1. 주지사 협의회7.1.2. 주지사
7.2. 상원 대표가 없는 지방 정부

1. 개요

게임 스타 시티즌에 등장하는 가공의 국가인 지구연합제국의 정치에 관해 설명하는 문서이다.

지구연합제국민주주의, 공화정체제이며, 국가 원수는 황제지만 혈통으로 잇는 것이 아닌 UEE 시민이라면 누구나 될 수 있고, 국민들이 투표를 통해 결정하기 때문에 사실상 이름만 황제이지 대통령이나 다름 없다. 현실의 고대 로마의 공화정과 매우 흡사하다.

2. 주권

UEE의 기본 구성원은 민간인(Civilian)들이다. UEE에서 태어나거나 망명 등으로 이민들어온 자는 기본적으로 민간인의 지위를 갖게 된다. 이들은 납세의 의무를 지니고 사유 재산권 등 모든 기본적인 권리를 보장받으며 각 행성에 존재하는 지방정부에 대한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가진다.[1]

UEE의 시민(Citizen)은 특수 지위로서, UEE의 모든 민간인이라면 특정 조건 하에 이 시민권을 습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UEE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헌신했음을 증명해야하는데, 군 복무나 지역사회 봉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UEE 중앙정부는 이 시민들이 선출하는 황제와 상원의원, 고위장관, 대변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행성계 기업을 설립 또는 소유하거나 다른 종족과 무역하기 위해서는 시민권이 필요하다. 즉 굳이 중앙 정계나 관료계에 진입할 목적이 있거나 거대 상회를 차릴 것이 아니라면 꼭 시민권이 필요하지는 않다는 소리이다. 한편, UEE의 이익에 큰 해를 끼치는 일을 저지른다면 시민권이 박탈당할 수도 있다.

3. 정부 형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구연합제국/국가행정조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구연합제국/국가행정조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구연합제국/국가행정조직#|]][[지구연합제국/국가행정조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0adef><colcolor=#ffffff> 파일:UEE 정당.jpg
UEE의 정부 구조

지구연합제국의 황제(Imperator)는 행정부와 군부 모두의 최고 권한을 지닌 인물로, 정부 수반이자 총사령관(commander-in-chief)의 역할을 겸한다. 황제는 고등서기(High-Secretary), 최고사령부(High-Command), 최고법무관(High-Advocate)의 자문을 받는다.

고등서기(High-Secretary)는 UEE 영토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구조적·행정적 사안의 최고 집행 책임자다. 고등서기는 심판원(Tribunal)의 당연직 위원이기도 하며, 주요 관할 분야는 통신, 교통, 하수, 에너지, 농업, 그리고 각종 법안 및 입법 등이다.[2]

의회(Congress)에서 통과된 각종 법들은 고등서기가 행정처리하며, 이후 이를 임페라토르에게 상신한다. 입법부를 담당하는 의회(Congress)는 지구연합제국 상원의회(The Senate of the United Empire of Earth)라 불리우며, UEE의 시민들이 선출하는 상원의원들로 구성된다.

최고사령부(High Command)는 군을 지휘하는 조직으로, 궁극적으로는 임페라토르를 보좌하며 그에게 복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군의 세 주요 부문(해군, 해병대, 육군) 각각은 레가투스(Legatus)라 불리는 참모총장들을 두고 있으며, 이들은 각 군의 사령부를 대표하는 최고 지휘관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레가투스는 보좌 인력을 포함한 전체 지휘 참모단을 통칭하여 해당 군종의 최고사령부로 여겨진다.

고등법무관(High-Advocate)은 법 집행 감독을 주된 임무로 한다. 고등법무관은 심판원(Tribunal)의 당연직 위원이기도 하다. 고등법무관의 핵심 업무 중 하나는 UEE의 법률이 각 지역 UEE 정부에 의해 제대로 시행되도록 조율하고 감독하는 것이다. 이는 연방 차원의 법 집행이 지역 단위에서도 일관되게 이뤄지도록 보장하기 위한 역할이다.[3] 또한 고등법무관은 UEE 법무국(UEE Advocacy)의 최고 책임자로, 법무국장의 보고를 받는다. UEE 법무국은 성간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 조직으로, 제국 내에서의 법 집행 및 사법 업무 전반을 책임진다.

지구연합제국의 심판원(Tribunal)은 고등서기와 최고 사령부, 고등법무관으로 구성되는 삼두 정치 기관으로, 본래 지구연합행성(UPE)에서 행정 및 집행기구의 역할을 하던 기구이다. 그러나 2546년 이바 메서(Ivar Messer) 최고 사령관이 삼두 정치를 종막시키고 자신이 최고 권력자, 즉 황제가 되며 지구연합제국이 들어서게 되었다. 메서 정권이 몰락하고 민주정이 들어선 후, 심판원이 복구 되었으며, 황제에 대한 탄핵권을 지닌 위원회로 거듭났다.

4. 상원

<colbgcolor=#00adef><colcolor=#ffffff> 파일:UEE 상원.png
UEE 상원
"나, 에드워드 하비에르 에밀(Edward Javier Aemile)은 지구연합제국에 대한 진정한 신뢰와 충성을 가진 마음으로 적들로부터 제국을 지지 및 방어하며, 불의를 법 안에 두지 않고, 법과 이성, 연민을 통해 변화를 추구할 것이며, 나에게 부여된 이 권한을 사용하여 최선을 다해서 모든 인류의 이익을 위해 봉사할 것이고, 맡게 될 직무의 의무를 착실하게 수행할 것을 엄숙히 선서합니다."
- 아레미스(Aremis)[4] 임시 상원 의원 에드워드 하비에르 에밀(Edward Javier Aemile) 2946 -
지구연합제국의 상원은 UEE 내의 입법기관이다. 본부는 태양계 지구 뉴욕시에 위치해 있으며, 상원은 상원의원과 그들이 뽑은 상원의장으로 구성된다. 상원의장은 입법부의 수장 자격으로 이를 대표하며 사무를 집행하고, 상원의원은 행성행성계를 기반으로 입법을 대표한다. 그리고 종족과 상관 없이 오직 UEE 시민만이 상원의원 선거에 참여할 수 있고, 상원의원 후보가 될 수 있다.[5]

상원은 현실의 국회, 상원의장은 현실의 국회의장 상원의원은 현실의 국회의원과 같은 포지션이다.

UEE는 거대한 성간 제국인 만큼, 행성의 테라포밍과 식민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뉴욕에 있는 UEE 상원에 상원의원을 보내려면 행성이 하나의 지방정부가 되어야 하고 이 정부는 황제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 A 행성의 상원의원은 A 행성의 시민들에 의해 투표로 선출된다. 일부 행성에는 상원에서 두 명 이상의 의석(한 명 이상의 상원의원)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가령 지구의 경우에는 5석이 배정되어있다.

상원은 법안을 통과시키고 UEE와 UEE 군대의 예산에 대해 논의하며, 외교 정책 문제에 대해 황제에게 조언한다. 상원 의원은 '소위원회' 라고 불리는 여러 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메서 왕조의 전제군주제 시절 당시 상원의 결의안은 황제에게 구속력이 없었지만 메서 왕조가 몰락하고 민주주의 공화정이 들어서면서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

상원의원은 임기는 5년(1개의 입법 기간)이며, 임기 횟수에 제한이 없다. 한마디로 재선이 가능하다. 아츠키 에반(Atsuki Evan)은 최소 60년(14 번 또는 15 번의 임기, 최소 72~75년)동안 상원의원을 맡았으며 2946년 은퇴했다.

4.1. 회의장

<colbgcolor=#00adef><colcolor=#ffffff> 파일:UEE 상원6.jpg
회의장 자체는 6개 블록(각각 64석)으로 배열된 약 380명의 청중을 수용할 수 있으며 추가 방문자 발코니도 마련되어 있다. 블록은 "별에서 나오는 광선처럼" 중앙 스피커 연단에서 뻗어나가는 통로로 분리된다. 회의실의 초기 디자인은 스타시티즌 로고와 유엔대회당, 프랑스 상원, 미국 상원 회의실에서 영감을 받았다. 오래 전에 지어진 건물의 모습과 느낌을 구현하기 위해 1930 ~ 40년대 아르데코와 미래 건축의 요소를 사용했으며 UN 회의장의 약간 낡은 모습을 모티브로 했다. 실내의 중앙 부분은 연단이다. 그 옆에는 방패와 칼을 들고 있는 두 조각상이 있다. 오른쪽 날개 연단에는 인류의 여정을 나타내는 8개의 벽화 작품이 원형 홀을 따라 전시되어 있으며, 왼쪽에는 인류의 미덕과 진화를 묘사하는 8개의 벽화가 전시되어 있다.

상원 회의소는 베가 II 공격 이후 비숍 제독의 연설 영상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또한 스타시티즌의 싱글 플레이어 게임인 스쿼드론 42의 시작 부분에도 등장할 예정이다.

5. 황제

지구 연합 제국의 황제(Imperators)는 UEE의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며, 제국군의 총사령관이다. 황제는 10년 임기의 UEE 정부 수장으로서 정부의 모든 부서를 감독하고, 외교적 수장 역할을 하며, 상원에서 통과된 법안에 서명하거나 거부권을 행사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황제는 혈연이 아닌 누구나 될 수 있으며 국민들이 원한다면 탄핵도 가능하다. 즉 말만 황제지 현실의 대통령이며, 제국도 실제로는 공화국이다. 사실 1차 테바린 전쟁(2546년) 이후 권력을 얻게 된 이바 메서황제가 UEE를 건국한 후 2792년까지 메서 왕조가 세습 절대군주제로 나라를 지배했으나 역대 황제들의 여러 폭정과 실정, 사건사고로 이어진다. 그래서 결국 군 주도로 혁명이 일어나 메서 왕조를 타도하고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현재의 민주공화정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황제 역시 제국 시민권자만이 후보가 될 수 있으며, '황제 예비선거'라는 과정에서 신청자는 '후보자' 자격을 얻으려면 50,000명의 시민 서명이 필요하다. 예비 선거 후 그 중 10명만이 다음 투표에 후보로 지명된다.

5.1. 현 황제

레일라니 애디슨
Laylani Addison
파일:UEE 황제.jpg
<colbgcolor=#00adef><colcolor=#fff> 출생 2889년 (64세)
Oya lll
성별 여성
국적 파일:UEE.webp 지구연합제국
직업 정치인
과학자
소속 정당 무소속
재임 기간 2951년 1월 1일 ~ 현직[6]
"저는 제가 처음 본 시안의 우주선을 결코 잊지 못할 것입니다. 그 형태는 익숙했지만 이상했고, 그 존재감은 아름답지만 위협적이었습니다. Oya III의 우주 정거장에 경외감을 느낀 어린 소녀로서, 제노 우주선은 저를 불안하면서도 흥분하게 만들었습니다. 불안하면서도 설렘이 가득한 저는 시안의 함선에 관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연구했고, 명백한 차이점 뒤에는 훨씬 더 많은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 깨달음은 연구와 학습이 공감과 이해를 향한 필수적인 단계라는 평생의 믿음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제국 내에서 다양한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 현재의 상황에 대한 흥분과 불안의 혼합을 발견했습니다. 저는 현재 우리가 무자비한 적과의 끔찍한 전쟁 부터 막대한 경제적 불평등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도전에 직면해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연구자이자 과학자로서의 경험 덕분에 저는 두려움이 내 미래를 지배하지 않게하고 우리 앞의 약속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택했습니다. 저는 제국의 문제는 교육혁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저는 UEE 중앙 정부를 개조하여 지식을 양성하고 변화를 일깨우는 기관으로 만들기 위해 싸울 것입니다. 우리가 그것을 창조할 만큼 용감하다면 우리가 바라던 새로운 제국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 것입니다."
- 레일라니 애디슨(Laylani Addison), 2950 -

현재 황제는 무소속 레일라니 애디슨이며 재임기간은 2951년 1월 1일 ~ 2960년 12월 31일이다.

에디슨은 UEE 내의 유일한 시안 주권의 땅의 옆에 있는 Oya III 에서 자랐으며, 인간과 시안들 사이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기 때문에 시안의 수준 높은 과학기술을 두눈으로 보며 자라서 과학의 관심이 많은 인물이다. 실제로 선거 당시 공약 내용을 보면 UEE의 과학기술을 지원하는 친과학정책을 강조하였으며, 너무 성급하게 과학적 변화를 추구하는지라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지만 2950년 10월 10일에 최종 투표가 실시되고 당선되었다. [7]

5.2. 전 황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켈로스 코스티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켈로스 코스티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켈로스 코스티건#|]][[켈로스 코스티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정당

UEE는 거대한 제국으로 수백개의 정당이 있지만 상원의회에는 아래의 3개 정당이 가장 큰 세력을 자랑한다.
  • Universal Party - 우익 성향을 가진 당이다. 정부 권한 확대, 정부 규제 강화, 부유층에 대한 세금 감면, 정부 지출 축소, 자유무역 확대 등을 지지한다. 이 때문에 적지 않은 UEE 민간인들에게 부자와 상류층들을 위한 정당으로 인식된다.
  • Centralist Party - 전통 자유주의적 성향의 정당으로, 정부 규제 폐지, 세금 인하, 개인정보 보호, 군사 지출 감소 등을 지지한다.
  • Transitionalist Party - 진보적인 의제를 촉진하기 위해 비교적 최근에 결성된 좌익 계열의 '민중 정당'이다. 주요 주장 중 하나로는 UEE의 수도를 테라로 천도하자는 것인데, 이 때문에 Universal Party와는 서로 가장 마찰이 잦은 정당이다.

7. 지방 정부

아무래도 UEE가 지배하는 공간은 천문학적 규모이며, 이런 물리적 거리 등으로 인해 다양한 인종과 배경, 신념 체계 등이 존재하는 곳이다. 따라서 한때 지구에서는 각 국가별로 나누어져있던 인류 구성원들의 정체성이, UEE에서는 행성 규모로 구분되어 있고 또한 같은 행성 내에서도 대륙 별로 분화되어있다.

UEE에 소속된 행성들은 '(정치적 지역) 대표가 있는 곳'(Represented)과 '없는 곳'(Unrepresented)으로 구분되며, (정치적 지역) 대표가 있는 곳은 해당 행성에 거주하는 UEE의 민간인들의 민주적 절차로 지방 정부를 구성한다. 해당 지방 정부의 장은 주지사(Governor)로 불리운다. 해당 지방 정부의 입법부는 UEE 법률에 위배되지 않는 한 자체 법률을 제정할 수 있게 된다.

7.1. 상원 대표가 있는 지방 정부

UEE에 공식적으로 소속되는 행성은 공식 명칭을 부여받고 UEE 상원에 자신들의 대표로서 상원의원을 선출, 파견할 수 있게 된다.

7.1.1. 주지사 협의회

하나의 행성에 주지사가 정부 수반으로 있는 지방 정부가 하나일 수도 여러개일 수도 있다. 여러개인 경우에는 해당 행성에서 보내는 상원의원도 여러명이 된다는 의미이다. 또한 해당 행성의 주지사들로 구성된 주지사 협의회(Governors Counsil)이 구성된다. 가령 인구가 적은 어떤 행성은 협의회가 고작 두 명의 주지사로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인구가 밀집된 행성에는 수십 명의 주지사가 있을 수도 있다. 주지사 협의회는 투표를 통해 행성 내부의 분쟁을 해결하고 행성 전체에 공통된 법을 제정하기 위해 소집된다.

7.1.2. 주지사

주지사는 6년 임기(2임기 제한)의 선출직으로 민간인과 시민 모두 피선거권을 갖는다. 일부 주지사는 임기가 끝난 후 상원의원 출마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주지사 아래에는 100명의 선출된 하원의원이 있으며, 각 의원이 갖는 지역구의 인구 규모에는 따로 정해진 것이 없어, 한명이 백만명을 대표할 수도, 천 명 단위를 대표할 수도 있다. 의원들은 다양한 하위 위원회와 부서에 배속되어 지역 인프라를 감독하고 규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7.2. 상원 대표가 없는 지방 정부


인구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의 삶은 결코 만만치 않다. UEE 감찰단이 해당 행성을 정식 거주 가능 지역으로 인증하면, 보통 가장 먼저 도착하는 이들은 테라포밍 팀 소속 인원들이다. 규모가 작은 테라포밍 기업들은 노동자들을 유인하기 위해 토지 보상을 미끼로 내걸기도 한다.

그 이후에는 측량 전문가들이 몰려오는데, 이들은 이 행성이 향후 인구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을지 판단할 수 있는 요소(희귀 광물 자원, 점프 포인트의 교차 지점 등)를 찾는다. 일종의 도박인 셈이다. 이 행성이 ‘뭔가가 될지’ 아닐지를 걸고 들어오는 것이다. 그들은 '또 다른 테라'의 초기 정착자가 되기를 꿈꾸며 ‘처음부터 참여하는 기회’를 노린다. 이 측량사들은 조사하는 동시에 땅을 사들이며, 수익성 있는 자원이 발견되지 않으면 해당 토지를 되팔고 다음 장소로 이동한다. 그 와중에도, 가난한 이들은 조금씩 행성에 유입된다. 새로운 기회를 찾거나 인생을 다시 시작하기 위해서다. 이들의 이주는 대개 어떤 형태로든 ‘계약 노동’이라는 대가를 치르고 이루어진다.

이러한 행성들은 대개 UEE 군사력의 감시나 보호로부터도 멀리 떨어져 있다. 이는 연방 관세를 회피하고 싶은 상인들에게는 매력적인 조건이지만, 동시에 해적이나 무법자들이 곳곳에 숨어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게다가 반둘의 공격 가능성까지 고려하면, 위험 요소는 셀 수 없이 많다.

이러한 외곽 지역의 정부 체계는 대개 마을 단위로 움직이며, 그 수장은 주지사(Governor)나 시장(Mayor) 같은 선출직 인물이다(호칭은 지역마다 다르다).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인접한 마을들끼리 실질적인 ‘전쟁’을 선포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그다지 드문 일도 아니다. 보통 각 마을에는 최소한의 경찰력이나 민병대가 존재한다. 잘 되어 있는 곳이라면 보안관(Sheriff)이나 연방 보안관(Marshal)이 존재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위기 상황에서 주민들이 직접 무리를 지어 자신들을 지키기도 한다.

이처럼 미대표 행성들의 인구가 점차 증가하면, UEE는 정치 고문단을 파견해 해당 행성의 행정 체계를 구축하도록 조언한다. 이는 상원 대표가 있는 행성들과 유사한 주지사/대표(Representative) 구조를 따르게 된다. 행성 개발 초기에는 시민(Citizen)과 민간인(Civilian)의 구분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모두가 생존을 위해 직접 움직여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양자의 구분이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한다. 초기 지방 선거에서는 시민과 민간인 모두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이후, 해당 행성의 주지사 평의회(Governors Council)가 UEE에 정식 인정을 신청하게 되며, 승인을 받을 경우 상원 대표가 있는 지방 정부로 승격이 되며, 상원의원을 선출할 수 있게 된다. 상원의원 선거에서 투표권은 시민에게만 부여된다.


[1] 하나의 행성에 지방정부가 여러 개가 있을 수 있다. 즉 현실세계 지구 위의 '국가' 개념이 스타시티즌에서는 지방정부의 개념인 것이다.[2] 현실세계의 총리와 유사한 직책이라고 보면 된다.[3] 현실세계의 대법원장과 유사한 직책이라고 보면 된다.[4] Vega ll 즉, 베가성계의 Vega로부터 두번째 궤도에 위치한 행성이다.[5] 가령 UEE에 복속된 테바린들 중 시민권을 가진 이들이 상원의원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갖는다.[6] 2960년 12월 31일 임기 만료[7] 시티즌콘 2949에서 2020년에 후원자들이 직접 새로운 황제를 투표로 뽑는 이벤트를 하겠다고 발표했었다. 한마디로 유저가 뽑은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