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과학과]]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교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교육부 소속 국가공무원인 교사 | |||||
유치원 | 유아교사 | |||||
초등학교 | 초등교사 | |||||
중등학교 | 국어교사 | 영어교사 | 프랑스어교사 | 스페인어교사 | 독일어교사 | |
일본어교사 | 중국어교사 | 한문교사 | 윤리교사 | 종교교사 | ||
지리교사 | 역사교사 | 일반사회교사 | 과학교사 | 환경교사 | ||
물리교사 | 화학교사 | 생물교사 | 지구과학교사 | 수학교사 | ||
기술교사 | 가정교사 | 음악교사 | 미술교사 | 체육교사 | ||
전문교과교사 | ||||||
특수학교 | 유아특수교사 | 초등특수교사 | 중등특수교사 | |||
비교과 | 보건교사 | 사서교사 | 영양교사 | 전문상담교사 | ||
기능대학 및 기술교육대학 공무직 교사 | ||||||
기능대학 |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 |||||
교사로 오해할 수 있는 직업 | ||||||
한국어교원 | 보육교사 | 원어민 강사 | 돌봄전담사 | 영어회화전문강사 | 방과후교사 |
1. 개요
지구과학교사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을 가르치는 교사이다. 이공계열에 물리교사와 함께 남교사의 비율이 좀 더 높고 화학과 생명과학 교사들보다 각 학교 당 배치되는 교사 수가 적은 편이다.[1]2. 기본이수과목
제4조(기본이수과목의 이수) ①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은 동일한 교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하여 모든 교원양성기관에서 기본적으로 이수하여야 할 과목(또는 분야)이다. ② 교사의 자격종별ㆍ표시과목별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는 [별표 3]과 같다. ③ 2급 교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전공과목 50학점 내에 [별표 3]에 따른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 중 21학점 이상(7과목 이상)을 반드시 포함하여 이수하여야 한다. 단, 교육대학원에서 교사자격을 취득하고자 하는 경우 기본이수과목은 14학점 이상(5과목 이상)으로 한다. 유치원 및 초등·중등·특수학교 등의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세부기준 (교육부고시 제2023-14호) |
위 고시의 [별표 3]에 따르면, 지구과학 교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기본이수과목은 "지구과학교육론(또는 과학교육론), 지질학, 천문학, 대기과학, 해양학, 지구물리학, 지구환경과학, 자연재해와에너지자원"이다.
3. 전현직 지구과학교사
- 박용 - 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서인혜 -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지구과학교육전공
- 안성진 -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양은혜 -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지구과학교육전공
- 유성재 - 공주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정영일 -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최사랑 -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지구과학교육전공
- 최선묵 - 학부 미상[2]
- 한성헌 -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