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9:33:43

중앙군사위원회 군사항천부대



파일:중국 인민해방군기.svg
중국 인민해방군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육군기.svg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기.svg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기.svg
육군 해군 공군 로켓군
중앙군사위원회 직속부대
연근보장부대 신식지원부대 망락공간부대 군사항천부대
준군사조직
파일: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기.svg
인민무장경찰부대
* 중국의 군대는 인민해방군, 무장경찰, 민병대로 나뉜다. 즉, 무장경찰은 중국의 군대이지만 인민해방군은 아니다. 다만 인민해방군이 중국의 군대 전체를 뜻하는 통념상 무장경찰을 같이 서술한다.

중앙군사위원회 군사항천부대
중국인민해방군 군사항천부대

中央军事委员会军事航天部队
中国人民解放军军事航天部队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Space Force
?
중앙군사위원회 군사항천부대 심볼
창설년도 2024년 4월 19일
국가
[[중국|]][[틀:국기|]][[틀:국기|]]
소속 중앙군사위원회 직할부대
군종 우주전
규모 부전구급
본부 베이징시 하이뎬구 베이칭로 26호
北京市海淀区北清路26号院
지휘
사령원 중장 하오웨이중 (육군)
정치위원 중장 천후이 (공군)
1. 개요2. 역사
2.1. 편제

[clearfix]

1. 개요

중국 인민해방군우주전을 전담하는 중앙군사위원회 직속 부전구급 부대. 사령원중장.

2. 역사

2024년 4월 19일 중앙군사위원회는 전략지원부대를 폐지하고, 예하 항천계통부(우주)과 망락계통부(사이버)를 각각 군사항천부대와 망락공간부대로 변경하고, 기존 전략지원부대 부서 일부와 타 군종의 정보통신 지원부대를 기반으로 신식지원부대를 부전구급으로 창설하였다.

2.1. 편제

  • 제20시험훈련기지(第20试验训练基地/63600부대): 주취안 위성발사센터(酒泉卫星发射中心).[1] 정군급
  • 제23시험훈련기지(第23试验训练基地/63680부대): 원양항천측량기지(远洋航天测量船基地).원양급 추적선의 모항으로 1978년 창설되었다.[2] 중국의 우주 발사와 대륙간탄도미사일 훈련에 있어 해상 TT&C를 담당한다. 정군급.[3]
  • 제25시험훈련기지(第25试验训练基地/63710부대): 타이위안(太原) 위성발사센터(卫星发射中心). 정군급.
  • 제26시험훈련기지(第26试验训练基地/63750부대): 시안 위성측량통제센터(西安卫星测量控制中心). 1975년 9월 설립.중국 TT&C의 핵심 허브. 중국항공우주 운영통제소와 베이징에어로스페이스 백업비행통제센터. 정군급.[4]
  • 제27시험훈련기지(第27试验训练基地/63790부대): 시창(西昌) 위성발사센터. 정군급.
  • 제29시험훈련기지(第29试验训练基地/63820부대): 중국 공기 동력연구 및 발전센터.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 개발에 관여하는 중국 최대 규모의 공기역학 연구,시험기관이다. 1600명 이상의 과학자와 기술자들이 일하고 있다. 정군급. [5]
  • 제33시험훈련기지(第33试验训练基地/63880부대): 뤄양 전자장비실험센터(洛阳电子装备试验中心). 계측 및 계측기 측정 센터 역할을 한다. 천문지도와 측량도 실시한다. 정군급.
  • 제35기지: 중국해사위성추적및제어부. 부군급
  • 제37기지: 베이징항공우주 비행통제실. 정군급. 미국 우주군 제2우주델타와 제4우주델타를 합친것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자국의 우주물체 식별, 외국 우주물체의 식별 및 탐지 등을 맡는다. 중국 위성이 우주로부터 자연적인 영향을 받는지 혹은 타국으로부터의 간섭을 받는지를 판단하는 역할도 한다.
  • 중국 우주항공제어센터
  • 중국 위치추적 및 통신기술 연구소
  • 우주개발센터
  • 공정설계연구소
  • TV예술센터
  • 중국 인민해방군 전략지원부대 항천공정대학
  • 중국 인민해방군 우주비행사대대
  • 전략지원부대 우주정찰국

[1] 정작 주취안은 여기가 아니다.[2] 항천(航天)은 중국어로 우주비행을 뜻한다.[3] 장쑤성 우시시 장인시(江阴市)[4] 산시성 시안시 시안닝 동로 28번지[5] 쓰촨성 몐양시 안현(四川省 绵阳市 安县)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