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1 22:01:20

조반니 인베르니치(1963)

이탈리아의 前 축구감독
파일:Giovanni_Invernizzi(1963).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조반니 인베르니치
Giovanni Invernizzi
출생 1963년 8월 22일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코모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5cm
직업 축구 선수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칼초 코모 (1954~1960)
레지나 칼초 (1982~1984 / 임대)
UC 삼프도리아 (1989~1997)
감독 UC 삼프도리아 U-17 (1997~2001)
UC 삼프도리아 U-19 (2003~2005)
볼리아스코 달베르티스 (2009~2012)
UC 삼프도리아 U-19 (2015)
행정 볼리아스코 달베르티스 (2005~2009 / 유소년 기술 총괄)
UC 삼프도리아 (2018)
스페치아 칼초 (2020~2021 / 유소년 기술 총괄)
UC 삼프도리아 (2021~ / 유소년 기술 총괄)
국가대표 없음
1. 개요2. 경력
2.1. 선수 경력2.2. 감독 및 행정가 경력
3. 여담

1. 개요

이탈리아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 코모 출신으로 삼프도리아에서 주로 활약한 미드필더이다. 코모 출신으로 삼프도리아에서 주로 활약한 미드필더이다. 선수 시절에는 삼프도리아의 중원을 책임지며 클럽의 황금기를 이끄는 데 기여했다. 1990-91 시즌 세리에 A 우승, 1989-90 UEFA 컵위너스컵 우승, 1993-94 코파 이탈리아 우승, 1991-92 유러피언컵 준우승 등 구단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시기를 함께했다. 1997년 선수 은퇴 후에는 삼프도리아의 유소년 감독으로 전환하여 구단의 젊은 선수 육성에 힘썼으며, 이후 보글리아스코의 감독을 역임하기도 했다. 현재는 삼프도리아의 유소년 기술 총괄로 활동하고 있다.

2. 경력

2.1. 선수 경력

코모에서 태어난 인베르니치는 고향 팀인 코모의 유스팀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1981-82 시즌 세리에 A에서 데뷔전을 치렀으나, 경험을 쌓기 위해 다음 시즌에는 레지나로 임대되어 세리에 B세리에 C1에서 두 시즌 동안 주전으로 활약했다. 1984-85 시즌에 코모로 복귀한 그는 이후 5시즌 동안 주전으로 자리매김했다. 코모에서 그는 총 106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했다. 코모가 강등된 후, 야심찬 삼프도리아가 1989-90 시즌을 앞두고 그를 영입했다. 이는 거의 10년 동안 지속될 중요한 경험의 시작이었으며, 삼프도리아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시기와 일치했다.

다음 시즌부터 그는 팀의 핵심 미드필더이자 상징이 되었다. 삼프도리아의 영원한 에이스 로베르토 만치니, 핵심 공격수 잔루카 비알리, 핵심 수비수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 핵심 미드필더 토니뉴 세레주를 필두로 인베르니치의 입단 동기인 스레츠코 카타네츠아틸리오 롬바르도 등과 함께 제노바의 팀을 이끌며 1989-90 유러피언컵위너스컵 결승에 진출해서 RSC 안데를레흐트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이를 기점으로 1990-91 시즌에는 인베르니치가 체세나를 상대로 시즌 첫 골을 기록하는 등 팀의 핵심 미드필더이자 상징이 되었고, 그의 활약에 힘입어 삼프도리아는 스쿠데토를 차지했다. 그리고 그 다음 시즌에는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우승을 차지했고, 1991-92 시즌 유러피언컵 결승에도 진출[1]했으며, 1993-94 시즌에는 코파 이탈리아에서도 우승했다. 1997년 삼프도리아에서 선수 생활을 마감할 때까지 그는 세리에 A에서 총 13시즌을 뛰며 6골을 기록했다.

2.2. 감독 및 행정가 경력

선수 생활을 마친 후 인베르니치는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삼프도리아의 청소년팀 감독으로 남았다. 이후 2003년까지 유소년 부문 책임자로 일했으며, 2003년부터 2004-05 시즌까지 U-19팀 프리마베라를 이끌었다.

다음 시즌에는 볼리아스코 달베르티스의 유소년 부문 책임자로 자리를 옮겼다. 2009년 6월 15일, 그는 지역 리그인 엑셀렌자(Eccellenza)에서 볼리아스코의 1군 감독이 되었다. 2011년 5월 1일, ASD 카이레세를 3-0으로 꺾으며 한 경기를 남기고 세리에 D로의 승격을 확정지었다. 다음 시즌에는 볼리아스코를 이끌어 여러 라운드를 앞두고 안전한 순위를 확보하며 시즌 목표를 달성했다.

2012년 4월 11일, 인베르니치가 2012-13 시즌부터 비르투스 엔텔라의 유소년 부문 책임자로 일할 가능성에 대한 언론 보도로 인해 구단은 그와의 계약을 해지했다.

2012년 7월 4일 삼프도리아는 인베르니치가 거의 10년 만에 유소년 부문 기술 책임자 역할을 맡게 되었다고 발표했다. 2015년 9월 2일에는 발테르 쳉가의 수석 코치로 1군에 합류한 프란체스코 페도네의 자리를 이어받아 프리마베라 감독 역할도 맡았다. 10월 5일에는 마르코 마시에게 감독직을 넘겼다. 2018년 12월 28일에는 클럽 이사회 구성원이 되었다.

2020년 9월, 삼프도리아에서 자리를 잃은 후 그는 세리에 A로 새롭게 승격한 스페치아의 유소년 부문 책임자가 되었다. 2021년 6월 30일 계약을 해지한 후 7월 20일 2년 계약으로 삼프도리아로 복귀했다. 삼프도리아의 클럽 매니저 역할을 한 후, 2025년 4월 8일 로베르토 만치니의 아들인 안드레아 만치니 신임 스포츠 디렉터와 함께 기술 영역 코디네이터로 임명되었다.

3. 여담

인터 밀란의 감독이었던 1931년생 조반니 인베르니치와는 동명이인인데, 이 1931년생 조반니 인베르니치가 현역 시절 칼초 코모에서 뛰었을 때 1963년생인 인베르니치가 태어났음을 고려하면 부자 관계로 생각이 되지만 공식적인 자료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추측에 불과하다.
[1] 결승전에서 로날드 쿠만에게 프리킥으로 실점하여 0-1로 패했는데, 하필이면 파울로 이 프리킥을 내준 선수가 인베르니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