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23:51:02

조민혁(프로게이머)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조민혁(프로게이머)"><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102a3><tablebgcolor=#1102a3> 파일:DRX 로고(화이트).svgDRX Academy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1102a3><colcolor=#fff> 코치 [[정진명|정진명
OD
]]
로스터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하(2007)|김동하
ZynX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태희(프로게이머)|윤태희
Flicker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윤호(프로게이머)|송윤호
AwayK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나하준|나하준
Atha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호용(프로게이머)|김호용
yon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민혁(프로게이머)|조민혁
Flashback
]]
VALORANT Challengers Korea 참가팀 로스터}}}}}}}}}

파일:DRX_Flashback_2025_Kickoff.png
<colbgcolor=#1102a3><colcolor=#ffffff> DRX Academy
Flashback
조민혁 (Cho Min-Hyuk)
출생 2005년 11월 15일 ([age(2005-11-15)]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경력 상금 $31,486.65 USD
(₩42,083,009.76)[1]
소속 DRX[]DRX Prospect
(2023.07.27 ~ 2023.12.12)][3]
(2023.07.27 ~ 2025.04.23)

DRX Academy
(2025.04.23 ~)
파일:SOOP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장비 및 세팅4. 주요 경력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DRX 소속 대한민국발로란트 프로게이머.

2. 플레이 스타일

데뷔 당시에는 전략가를 맡았으나, 24시즌 DRX의 리빌딩과 함께 감시자로 포지션을 변경하였다. 25시즌 퍼시픽 킥오프와 마스터스 방콕까지 감시자를 맡았지만, 25년 퍼시픽 스테이지 1에서부터 DRX가 투엔트리 조합을 중용하면서 네온, 요루 등 타격대를 플레이하기도 했다.

DRX가 리빌딩 과정에서 에임이 좋은 신인 위주의 로스터를 꾸리며 팀의 중심축이 되었는데, 이후 1부 리그 경험이 없던 free1ng HYUNMIN이 리그에 빠르게 적응하면서 25킥오프 우승을 차지했다.

데뷔 시즌에는 신인답지 않은 뛰어난 왼손 무빙을 보여주며 에이스를 기록하는 등 잠재력을 보여주며 stax BuZz의 이탈을 어느 정도 커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어린 선수다운 빠른 반응속도와 신인답지 않은 노련한 왼손 무빙이 큰 장점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Flashback 본인은 오히려 큰 기복이 발목을 잡아 다소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감시자는 특히나 선수 개인의 뇌지컬에 따라 극단적으로 갈리는 포지션인데 무력 위주의 Flashback에게 다소 애매한 지점이 있었고 25시즌 스테이지 1에서 2선 엔트리로 자리를 옮기고 공석이 된 감시자를 Mako가 바이퍼를 플레이하거나, free1ng이 사이퍼를 플레이하는 등의 방식으로 대체하였다. 엔트리를 잡은 후에는 감시자보다는 저점이 확실히 높아진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좀처럼 고점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 스테이지1 진행 중 DRX가 갑작스럽게 Flashback을 빼고 베인을 기용하게 되었는데, 놀랍게도 선수 본인이 경기 이틀 전에 갑작스럽게 요청했다고 한다. 선수를 탓하는 언행을 좀처럼 하지 않는 편선호 감독이 인터뷰에서 이런 상황에 대한 불쾌감을 숨기지 않았을 정도로 Flashback의 워크에식에 대한 문제가 만천하에 공개되었고, 결국 4월 24일 2군으로 샌드다운 되었다.

3. 장비 및 세팅

<rowcolor=#ffffff> 마우스 설정
(Mouse Settings)
<rowcolor=#ffffff> 마우스 eDPI DPI 폴링레이트 감도 조준감도1
Razer Viper V3 Pro Gengar Edition[T] 160 400 4000 Hz 0.4[5] 1
<rowcolor=#ffffff> 최종 업데이트 '[dday(2025-03-19)]1일 지남.[A]
<rowcolor=#ffffff> 장비
(Hardware)
<rowcolor=#ffffff> 마우스 마우스패드
Razer Viper V3 Pro Gengar Edition[T] Artisan Hien Soft XL WindRed[8]
<rowcolor=#ffffff> 모니터 주사율 인게임 해상도
ZOWIE XL2566K[9] 360hz 1920x1080
<rowcolor=#ffffff> 키보드 이어폰
Razer Huntsman V3 Pro Mini[10] Shure SE215
<rowcolor=#ffffff> 최종 업데이트 [dday(2025-02-12)]일 지남.[A]

4. 주요 경력

우승 경력
2025 VCT Pacific Kickoff 우승
Gen.G DRX 미정
준우승 경력
TEN 2023 발로란트 글로벌 인비테이셔널 준우승
대회 출범 DRX Talon Esports
2024 VCT Pacific Stage 2 준우승
Gen.G DRX T1

5. 여담

  • 발로란트 경쟁전 아시아 서버 1등을 찍은 적이 있다.
  • 팬들과 소통하는걸 부끄러워 한다.
  • 4월 4일 개인적인 이슈로 1군 로스터에서 제외됐다.
  • 게임할 때 의자의 팔걸이를 사용하며 손목만 걸치고 게임하고 아빠다리를 한다고 한다.
  • 중졸이다.
  • 어머니가 중국인이다.[12]
  • 금발을 상당히 자주한다.
  • 잦은 경기 불참으로 2군으로 샌드다운 되었다.

6. 둘러보기

조민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D2D7,#01D2D7><tablebgcolor=#01D2D7,#01D2D7> 파일:VCT Pacific 로고 화이트.svgVCT Pacific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373a3c> 시즌 우승팀 선수
2023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d4v41 · something · f0rsakeN · Benkai · Jinggg · mindfreak · cgrs
2024 Kickoff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Meteor · t3xture · Lakia · Munchkin · Karon
2024 Stage 1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d4v41 · something · f0rsakeN · Jinggg · mindfreak · Monyet
2024 Stage 2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Meteor · t3xture · Lakia · Munchkin · Karon
2025 Kickoff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MaKo · Flashback · HYUNMIN · free1ng · BeYN
}}}}}}}}} ||

[1] Flashback 경력 상금.[] [3] 비활성화: 2024.04.04 ~ 2024.05.30[T] 이전에는 Viper V2 PRO를 사용했다.[5] 감도를 자주 바꾼다.[A] prosettings.net 기준.[T] [8] 패드 또한 자주 바꾸는 편이다. 이전에는 Artisan Hayate Otsu XSoft XL Wine Red를 오래 사용했다.[9] 모니터 설정은 정해놓은 것 없이 아무렇게나 쓴다고 한다.[10] 입력지점 1.0, 떼는지점 0.2 (래피드 트리거 기능은 WASD, Ctrl에만 적용)[A] prosettings.net 기준.[12] 본인은 중국어를 잘 못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