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3 21:23:01

조나단 알렛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074ca1>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 서울 삼성 썬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97 시즌 1997-98 시즌 1998-99 시즌 1999-2000 시즌 2000-01 시즌
<rowcolor=#000,#fff> 킹 파일:미국 국기.svg
비어드 파일:미국 국기.svg
이스트윅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릭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벤자민 파일:미국 국기.svg
싱글톤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싱글톤 파일:미국 국기.svg
헌터 파일:미국 국기.svg
프루 파일:미국 국기.svg
호프 파일:미국 국기.svg
맥클래리 파일:미국 국기.svg
2001-02 시즌 2002-03 시즌 2003-04 시즌 2004-05 시즌 2005-06 시즌
<rowcolor=#000,#fff> 호프 파일:미국 국기.svg
맥클래리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브래포드 파일:미국 국기.svg
스토리 파일:미국 국기.svg
맥컬럼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하니발 파일:미국 국기.svg
페리 파일:미국 국기.svg
해들리 파일:미국 국기.svg
헨드릭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케일 파일:미국 국기.svg
모슬리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클락 파일:미국 국기.svg
오예데지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6-07 시즌 2007-08 시즌 2008-09 시즌 2009-10 시즌 2010-11 시즌
<rowcolor=#000,#fff>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오예데지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토마스 파일:미국 국기.svg
샐리 파일:미국 국기.svg
레더 파일:미국 국기.svg
헤인즈 파일:미국 국기.svg
브락 파일:미국 국기.svg
레더 파일:미국 국기.svg
브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토마스 파일:미국 국기.svg
레더 파일:미국 국기.svg
딕슨 파일:미국 국기.svg
펠릭스 파일:미국 국기.svg
헤인즈 파일:미국 국기.svg
2011-12 시즌 2012-13 시즌 2013-14 시즌 2014-15 시즌 2015-16 시즌
<rowcolor=#000,#fff> 클라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타운스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보우먼 파일:미국 국기.svg
블랭슨 파일:미국 국기.svg
로슨 파일:미국 국기.svg
더니건 파일:미국 국기.svg
해밀턴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온스 파일:미국 국기.svg
엠핌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미국 국기.svg
클랜턴 파일:미국 국기.svg
하워드 파일:미국 국기.svg
라틀리프 파일:미국 국기.svg
와이즈 파일:미국 국기.svg
2016-17 시즌 2017-18 시즌 2018-19 시즌 2019-20 시즌 2020-21 시즌
<rowcolor=#000,#fff> 라틀리프 파일:미국 국기.svg
크레익 파일:미국 국기.svg
라틀리프 파일:미국 국기.svg
커밍스 파일:미국 국기.svg
음발라 파일:카메룬 국기.svg
펠프스 파일:미국 국기.svg
코지 파일:미국 국기.svg
밀러 파일:미국 국기.svg
미네라스 파일:미국 국기.svg
제임스 파일:미국 국기.svg
톰슨 파일:미국 국기.svg
힉스 파일:미국 국기.svg
고반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믹스 파일:미국 국기.svg
2021-22 시즌 2022-23 시즌 2023-24 시즌 2024-25 시즌 2025-26 시즌
<rowcolor=#000,#fff> 힉스 파일:미국 국기.svg
오셰푸 파일:미국 국기.svg
로빈슨 파일:미국 국기.svg
키마이클 파일:미국 국기.svg
테리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데릭슨 파일:미국 국기.svg
알렛지 파일:레바논 국기.svg
모스 파일:미국 국기.svg
코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인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 파일:필리핀 국기.svg(A)
코번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즈 파일:미국 국기.svg
데릭슨 파일:미국 국기.svg
로빈슨 파일:미국 국기.svg
구탕 파일:필리핀 국기.svg(A)
니콜슨 파일:캐나다 국기.svg
칸터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구탕 파일:필리핀 국기.svg(A)
(A) 아시아쿼터제 선수
}}}}}}}}} ||
미국과 레바논의 농구 선수
조나단 알렛지
Jonathan Arledge
출생 1991년 9월 21일 ([age(1991-09-21)]세)
미국 메릴랜드주 실버스프링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레바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레바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신장 204cm|체중 100kg
포지션 파워 포워드, 센터
학력 조지 메이슨 대학교
올드 도미니언 대학교
KBL 입단 2022년 외국인 자유계약 (서울 삼성)
소속
[ KBL 이전 경력 펼치기 · 접기 ]
BC 봉쿠르 (2015~2016 / 스위스)
베나키스타 아시쿠라치오니 라티나 (2016~2017 / 이탈리아)
UCC 아시제코 피아첸차 (2017~2018 / 이탈리아)
BK 벤츠필스 (2018~2019 / 라트비아)
쇼렛 바스켓 (2019~2020 / 프랑스)
페리스테리 아테네 (2020~2021 / 그리스)
FC 포르투 바스켓 (2021~2022 / 포르투갈 )
서울 삼성 썬더스 (2022~2023)
고양 캐롯 점퍼스 (2023)

1. 개요2. 선수 경력3. 시즌별 성적4. 관련 문서


1. 개요

레바논 국적의 농구 선수. 포지션은 포워드.

2. 선수 경력

2.1. 서울 삼성 썬더스

삼성의 마커스 데릭슨의 일시 대체 선수로 오게 되었다. 2022년 12월 17일, 전주 KCC 이지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는데, 불과 1분 48초를 뛰고서 개인파울을 4개나 기록하는 최악의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다행히 이후부터는 꾸준히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마커스 데릭슨이 복귀해서 팀에서 퇴단해도 최근 고양 캐롯 점퍼스에서 대체 용병으로 영입한 드미트리우스 트레드웰이 부진하면서 대체 외국인 선수로 유력한 후보에 있다.

한편 2023년 1월 8일 KCC전을 끝으로 삼성과의 계약 기간은 종료됐다.

2.2. 고양 캐롯 점퍼스

2023년 1월 11일, 캐롯 점퍼스에서 드미트리우스 트레드웰 대체 선수로 영입을 발표하였다.#

양궁농구 스타일인 캐롯 특성에 알맞는 외국인 선수라는 평가가 있다. 로슨의 백업용병으로써 확실히 드미트리우스 트레드웰보다 더 나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3년 2뤌10일 수원kt전에서 디드릭 로슨이 22점 9리바운드, 이정현이 16점 5어시스트로 공격을 이끌었고 조나단 알렛지(13점)와 전성현(10점)도 두 자릿수 득점으로 힘을 보탰다.

캐롯은 경기 초반부터 주축 선수들의 결장과 전성현의 야투 난조를 극복하지 못했다. 조나단 알렛지가 18점을 기록했지만 이외의 선수들이 너무나 무기력했다. 이날 패배로 캐롯은 시즌 26승 24패를 기록했다.

2022-2023 SKT 에이닷 프로농구 6강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 고양 캐롯 점퍼스를 86-71로 이겼다. 단기전에서 가장 중요한 1차전을 가져갔다.

게이지 프림이 더블더블(13점 14리바운드)을 직성한 현대모비스는 서명진이 18점 4리바운드 5어시스트로 활약했고, 베테랑 함지훈도 16점 7리바운드를 기록했다. 김태완도 10점 3리바운드로 힘을 보탰다.

캐롯은 디드릭 로슨이 20점 13리바운드, 이정현이 21점 3리바운드를 기록했고 조나단 알렛지도 12점 5리바운드로 활약했다.

3. 시즌별 성적

역대 성적
시즌 소속팀 경기수 2점슛 3점슛 자유투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스틸 블록슛
2022-23 삼성 / 캐롯 33 58/146
(39.73%)
49/128
(38.28%)
66/79
(83.54%)
329 130 31 14 13
KBL 통산
(1시즌)
33 58/146
(39.73%)
49/128
(38.28%)
66/79
(83.54%)
329 130 31 14 13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