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20:16:5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후보군]]{{{#!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8px"
사전투표일 : KST 2022년 5월 27일(금)~2022년 5월 28일(토) 오전 6시~오후 6시
투표일 : KST 2022년 6월 1일(수) 오전 6시~오후 6시
선거 이전
변수 · 지역별 상황 · 정당별 상황 · 세대별 상황 · 선거구 · 선거구 획정 · 여론조사
선거 진행
선거 일정 · 참여 정당 · 출마 선언 · 공약 · TV 토론회 · 선거 방송 · 출구조사
개표
결과 분석
기타 세대별 결과 · 국회의원 보궐선거
관련 문서
민선 8기 (민선 8기 지방자치단체장 · 민선 8기 광역의회의원 · 민선 8기 기초의회의원) · 이야깃거리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1. 개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 선거의 진행 상황과 개표 결과를 모은 문서.

2. 후보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후보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후보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후보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후보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개표 결과

교육감 개표 결과
진보 보수 중도
9 7 1
서울 인천 광주 울산 세종 충남 전북 전남 경남 부산 대구 경기 강원 충북 경북 제주 대전
조희연 도성훈 이정선 노옥희 최교진 김지철 서거석 김대중 박종훈 하윤수 강은희 임태희 신경호 윤건영 임종식 김광수 설동호
파일: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교육감 결과.png
진보 성향의 후보가 9명, 보수 성향의 후보가 7명, 중도 성향의 후보가 1명 당선되었다.[1][2]

3.1. 서울특별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특별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특별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특별시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서울특별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강신만(姜信晩) 사퇴[3]
[[진보주의|
진보
]]
박선영(朴宣映) 978,935 3위
[[보수주의|
보수
]]
23.10% 낙선
윤호상(尹昊相) 226,563 5위
[[보수주의|
보수
]]
5.34% 낙선
조영달(曺永達) 281,090 4위
[[보수주의|
보수
]]
6.63% 낙선
조전혁(趙全赫) 995,518 2위
[[보수주의|
보수
]]
23.49% 낙선
조희연(曺喜昖) 1,614,514 1위
[[진보주의|
진보
]]
38.10% 당선
최보선(崔普善) 140,031 6위
[[진보주의|
진보
]]
3.30% 낙선
선거인 수 8,378,337 투표율
53.16%
투표 수 4,454,150
무효표 수 217,449

3.2. 부산광역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광역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산광역시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산광역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 부산광역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석준(金錫俊) 683,210 2위
[[진보주의|
진보
]]
49.17% 낙선
하윤수(河潤秀) 706,152 1위
[[보수주의|
보수
]]
50.82% 당선
선거인 수 2,916,831 투표율
49.09%
투표 수 1,432,081
무효표 수 42,719

3.3. 대구광역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광역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광역시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대구광역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강은희(姜恩姬) 530,235 1위
[[보수주의|
보수
]]
61.61% 당선
엄창옥(嚴昌玉) 330,319 2위
[[진보주의|
진보
]]
38.38% 낙선
선거인 수 2,044,579 투표율
43.19%
투표 수 883,093
무효표 수 22,539

3.4. 인천광역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광역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천광역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천광역시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인천광역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도성훈(都成勳) 494,366 1위
[[진보주의|
진보
]]
41.46% 당선
서정호(徐正鎬) 226,953 3위
[[중도주의|
중도
]]
19.03% 낙선
최계운(崔桂澐) 470,870 2위
[[보수주의|
보수
]]
39.49% 낙선
허훈(許勳) 사퇴
[[보수주의|
보수
]]
선거인 수 2,534,337 투표율
48.94%
투표 수 1,240,324
무효표 수 48,135

3.5. 광주광역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광역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광주광역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광주광역시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주광역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강동완(姜東完) 37,167 5위
[[진보주의|
진보
]]
8.42% 낙선
박혜자(朴惠子) 100,297 2위
[[진보주의|
진보
]]
22.72% 낙선
이정선(李廷先) 154,068 1위
[[진보주의|
진보
]]
34.91% 당선
이정재(李正宰) 53,303 4위
[[진보주의|
진보
]]
12.07% 낙선
정성홍(鄭性洪) 96,491 3위
[[진보주의|
진보
]]
21.86% 낙선
선거인 수 1,206,886 투표율
37.66%
투표 수 454,475
무효표 수 13,149

3.6. 대전광역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광역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전광역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전광역시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대전광역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동석(金東錫) 65,954 4위
[[중도주의|
중도
]]
11.07% 낙선
설동호(薛東浩) 247,077 1위
[[중도주의|
중도
]]
41.50% 당선
성광진(成光鎭) 178,958 2위
[[진보주의|
진보
]]
30.05% 낙선
정상신(鄭相信) 103,363 3위
[[중도주의|
중도
]]
17.36% 낙선
선거인 수 1,233,556 투표율
49.65%
투표 수 612,581
무효표 수 17,229

3.7. 울산광역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울산광역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울산광역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울산광역시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울산광역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주홍(金周洪) 217,863 2위
[[보수주의|
보수
]]
44.96% 낙선
노옥희(盧玉姬) 266,647 1위
[[진보주의|
진보
]]
55.03% 당선
선거인 수 941,188 투표율
52.26%
투표 수 491,851
무효표 수 7,341

3.8.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강미애(姜美愛) 28,117 2위
[[보수주의|
보수
]]
19.30% 낙선
사진숙(史鎭淑) 18,489 4위
[[진보주의|
진보
]]
12.69% 낙선
이길주(李吉周) 17,677 5위
[[보수주의|
보수
]]
12.13% 낙선
최교진(崔敎振) 44,905 1위
[[진보주의|
진보
]]
30.83% 당선
최정수(崔正洙) 10,242 6위
[[진보주의|
진보
]]
7.03% 낙선
최태호(崔台鎬) 26,217 3위
[[보수주의|
보수
]]
18.00% 낙선
선거인 수 292,259 투표율
51.14%
투표 수 149,472
무효표 수 4,095

3.9. 경기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기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기도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성기선(成基善) 2,541,864 2위
[[진보주의|
진보
]]
45.20% 낙선
임태희(任太熙) 3,081,100 1위
[[보수주의|
보수
]]
54.79% 당선
선거인 수 11,479,203 투표율
50.69%
투표 수 5,819,746
무효표 수 196,761

3.10. 강원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원특별자치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원특별자치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원특별자치도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강원특별자치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강원도 휘장_White.svg 강원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강삼영(姜三泳) 163,816 2위
[[진보주의|
진보
]]
22.96% 낙선
민성숙(閔成淑) 46,851 6위
[[보수주의|
보수
]]
6.56% 낙선
문태호(文泰鎬) 87,286 4위
[[진보주의|
진보
]]
12.23% 낙선
신경호(申慶浩) 210,523 1위
[[보수주의|
보수
]]
29.51% 당선
원병관(元炳寬) 사퇴
[[보수주의|
보수
]]
유대균(劉大均) 149,906 3위
[[보수주의|
보수
]]
21.01% 낙선
조백송(趙栢松) 54,951 5위
[[보수주의|
보수
]]
7.70% 낙선
선거인 수 1,336,080 투표율
57.81%
투표 수 772,388
무효표 수 59,055

3.11. 충청북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충청북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충청북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충청북도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충청북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충청북도 휘장(1998-2023)_White.svg 충청북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병우(金炳佑) 295,375 2위
[[진보주의|
진보
]]
44.04% 낙선
김진균(金鎭均) 사퇴[4]
[[보수주의|
보수
]]
윤건영(尹建榮) 375,295 1위
[[보수주의|
보수
]]
55.95% 당선
선거인 수 1,368,779 투표율
50.58%
투표 수 692,287
무효표 수 21,617

3.12. 충청남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충청남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충청남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충청남도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충청남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영춘(金泳春) 139,869 4위
[[중도주의|
중도
]]
16.43% 낙선
김지철(金知哲) 287,639 1위
[[진보주의|
진보
]]
33.79% 당선
이병학(李炳學) 232,368 2위
[[보수주의|
보수
]]
27.29% 낙선
조영종(曺永鍾) 191,360 3위
[[보수주의|
보수
]]
22.48% 낙선
선거인 수 1,803,096 투표율
49.82%
투표 수 898,258
무효표 수 47,022

3.13. 전라북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라북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윤태(金允泰) 116,813 3위
[[진보주의|
진보
]]
16.38% 낙선
서거석(徐巨錫) 310,247 1위
[[진보주의|
진보
]]
43.52% 당선
천호성(千鎬誠) 285,753 2위
[[진보주의|
진보
]]
40.08% 낙선
선거인 수 1,532,133 투표율
48.64%
투표 수 745,299
무효표 수 32,486

3.14. 전라남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라남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라남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라남도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전라남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대중(金大中) 393,462 1위
[[진보주의|
진보
]]
45.08% 당선
김동환(金東煥) 155,884 3위
[[진보주의|
진보
]]
17.86% 낙선
장석웅(張錫雄) 323,364 2위
[[진보주의|
진보
]]
37.05% 낙선
선거인 수 1,580,095 투표율
58.43%
투표 수 923,277
무효표 수 50,567

3.15. 경상북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상북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상북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상북도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상북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마숙자(馬淑子) 312,755 2위
[[보수주의|
보수
]]
27.73% 낙선
임종식(林宗植) 561,389 1위
[[보수주의|
보수
]]
49.77% 당선
임준희(林俊熙) 253,709 3위
[[보수주의|
보수
]]
22.49% 낙선
선거인 수 2,268,699 투표율
52.65%
투표 수 1,194,539
무효표 수 66,686

3.16. 경상남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상남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상남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상남도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상남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상권(金相權) 720,970 2위
[[보수주의|
보수
]]
49.76% 낙선
박종훈(朴鍾勛) 727,720 1위
[[진보주의|
진보
]]
50.23% 당선
선거인 수 2,804,287 투표율
53.39%
투표 수 1,497,284
무효표 수 48,594

3.17.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성향 득표율 비고
김광수(金光洙) 168,019 1위
[[보수주의|
보수
]]
57.47% 당선
이석문(李碩文) 124,322 2위
[[진보주의|
진보
]]
42.52% 낙선
선거인 수 565,084 투표율
53.11%
투표 수 300,124
무효표 수 7,783

[1] 다만, 교육감 선거는 타 선거와는 달리 정당을 달고 치러지는 선거가 아닌지라 몇몇 후보들에 대해서는 언론사마다 성향 분류가 다르다. 예를 들어 대전광역시의 설동호 당선인이나 광주광역시의 이정선 당선인, 전라북도의 서거석 당선인 같은 경우 언론사에 따라서는 중도로 분류되기도 했으며, 특히 이정선 당선인의 경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에는 중도로 분류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실제로 이정선 당선인의 경우 0교시야간자율학습 금지 지침을 폐지하자 전교조로부터 고소를 당한 사례도 있다. 이 외에 부산광역시의 하윤수 당선인과 경상남도의 김상권 후보는 본인이 직접 중도보수를 표방하기도 했으며, 실제로 언론사에 따라서는 중도보수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었다.[2] 중도로 분류된 설동호의 경우, 중도를 포함하지 않는 진보/보수 2분법으로는 보수로 분류되는 경향이 있다.[3] 조희연 후보 지지.[4] 윤건영 후보 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