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00:03:33

제19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

1. 지난 대회 일람2. 참가팀3. 대회 규칙4. 대회 진행사항
4.1. 28강전
4.1.1. 개막전: 한양대 - 한국외대4.1.2. 2경기: 충북대 - 연세대4.1.3. 3경기: 인하대 - 방송대

1. 지난 대회 일람

제18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

2. 참가팀

16강부터 출전
파일:세한대학교 UI.svg 세한대학교[1]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2]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White).svg 부산대학교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28강부터 출전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파일:서울대학교 로고(화이트).svg 서울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파일:명지나무.svg파일:명지나무_White.svg 명지대학교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심볼.svg 숭실대학교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파일:인천대학교 심벌.svg 인천대학교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심볼.svg 서울시립대학교 파일:성균관대학교 엠블럼.svg파일:성균관대학교 흰색 엠블럼.svg 성균관대학교
파일:홍익대학교_UI_Black.svg파일:홍익대학교_UI_White.svg 홍익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이번 대학동문전에서는 전기보다 2개 대학이 더 늘어난 28개 대학이 출전했다. 특히 인천대학교는 이번이 대학동문전 첫 출전이다.

3. 대회 규칙

  • 28강 토너먼트(승점제)
  • 경기 방식은 1차전 2:2 페어, 2차전 3:3 릴레이로 대국을 하고 만약 1승 1패를 주고 받을 경우 3차전은 1:1 개인전 3판을 동시에 진행한다. 여기서 나온 대국 결과에 따라서 각 경기 마다 배정된 점수를 합산해 승패가 결정되는 승점제로 진행한다.
  • 승점은 1차전 2:2 페어바둑 승리시 2점, 2차전 3:3 릴레이바둑 승리시 3점을 획득하며, 3차전 개인전 대결은 주장전 2점, 2장전 1점, 3장전 1점으로 배정되어있다. 이렇게 하여 총 9점 중 승점 5점 이상을 가져가는 팀이 승리한다. 만약 한 팀이 1차전(페어), 2차전(릴레이)를 모두 가져간 경우 필요 승점인 5점을 채우기 때문에 3차전(개인전 3판)은 열리지 않는다.
  • 시간은 각자 30분 타임아웃제(총 60분)으로 진행한다.[3] 시간초과시 페널티(집 공제)는 1분 미만인 경우 5집, 2분은 10집, 3분은 15집. 3분을 넘을 경우 시간패로 처리된다.
  • 1차전(2:2 페어)은 착수위반 반칙 페널티로 1회 위반시 3집, 2회째는 추가 3집(총 6집)이 공제되며 3회째가 되면 실격패로 처리한다.
  • 2차전(3:3 릴레이)은 양팀 합계 초반 17분, 중반 20분, 종반이 나머지 시간을 사용.
  • 우승상금: 총상금 1500만원에 우승 500만원, 준우승 300만원이 배정되어있음
  • 우승 경험이 있는 팀은 8명, 우승 경험이 없는 팀은 6명이 출전이 가능하다.

4. 대회 진행사항

  • 대국표는 다음과 같으며 괄호에는 학과와 학번을 기재한다. (3차전은 선수명만 기재)
  • 1차전(2:2 페어)의 경우 대국자 옆 괄호에 착수 순번 기재
  • 3차전(1:1 개인전)은 결과가 확인 된 경우(불계승 or 계가결과)에 승리한 선수 쪽에 각주로 결과 표시
경기명 팀1 팀2
1차전(2점)
(2:2 페어)
1~2 - (-)
(-)
- (-)
(-)
3~4 - (-)
(-)
- (-)
(-)
결과 - 대 - 승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 -
(-)
-
(-)
중장 -
(-)
-
(-)
종장 -
(-)
-
(-)
결과 - 대 - 승
3차전
(1:1 개인전)
주장
(2점)
- -
2장
(1점)
- -
3장
(1점)
- -
승점 0 0
  • 이번 대회는 8월 28일부터 매주 목~일 밤 11시 하루 한 판씩 방송한다.
  • 중계: 진행 - 이유민, 심우섭 / 해설 - 장수영 九단, 김만수 八단.

4.1. 28강전

4.1.1. 개막전: 한양대 - 한국외대

  • 1차전 - 8월 28일 방송 / 2차전 - 8월 29일 방송
  • 진행 - 심우섭 / 해설 - 김만수
28강 1경기 한양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1차전(2점)
(2:2 페어)
1~2 안병운 (2)
(영문과 81)
최준 (1)
(경영 81)
3~4 김홍태 (4)
(법학 86)
박윤서 (3)
(이란어 73)
결과 한양대 백 2집반승[4]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 강병두
(법학 78)
최현수
(영문 08)
중장 이재윤
(법학 08)
이영남
(스페인어 87)
종장 김남헌
(중어중문 19)
한이덕
(영어 87)
결과 한양대 흑 16집반승[5]
승점 5 0
  • 1차전은 착수 위반 하나로 승패가 갈렸다. 계가 결과는 흑 47집, 백 40집으로 원래는 한국외대의 반집승이었으나 최준 선수의 착수위반 반칙으로 인해 3집 공제를 당하면서 한국외대의 흑 반집승이 한양대의 백 2집반승으로 뒤바뀌고 말았다. 더군다나 한국외대는 2차전에선 매우 우세했던 바둑을 자충 한 방에 역전 당하면서 결국 1회전에서 허무하게 탈락했다.

4.1.2. 2경기: 충북대 - 연세대

  • 1차전 - 8월 30일 방송 / 2차전 - 8월 31일 방송 / 3차전 - 9월 4일 방송
  • 진행 - 이유민 / 해설 - 장수영
28강 2경기 충북대학교 연세대학교
1차전(2점)
(2:2 페어)
1~2 동대완 (2)
(토목공학 90)
이승훈 (1)
(컴퓨터과학 12)
3~4 유이상 (4)
(국제경영 95)
김태영 (3)
(전기전자공학 15)
결과 연세대 흑 5집반승[6]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 조경운
(불어불문 82)
조용석
(의학 86)
중장 김근영
(토목공학 23)
윤권호
(철학 91)
종장 전준혁
(행정 12)
정재웅
(경제 82)
결과 충북대 흑 불계승
3차전
(1:1 개인전)
주장
(2점)
최계성[7] X O 이대권[8]
2장
(1점)
동대완 O X 김헌근
3장
(1점)
전준혁 X O 김정우
승점 4 5

4.1.3. 3경기: 인하대 - 방송대

  • 1차전 - 9월 5일 방송 / 2차전 - 9월 6일 방송 / 3차전 - 9월 7일 방송
  • 진행 - 이유민 / 해설 - 장수영
28강 3경기 인하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차전(2점)
(2:2 페어)
1~2 장규환 (2)
(기계공학과 88)
김영모 (1)
(문화교양 20)
3~4 장혁구 (4)
(건축공학 99)
박철구 (3)
(법학 90)
결과 인하대 백 불계승[9]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 -
(-)
-
(-)
중장 -
(-)
-
(-)
종장 -
(-)
-
(-)
결과 - 대 - 승
3차전
(1:1 개인전)
주장
(2점)
- -
2장
(1점)
- -
3장
(1점)
- -
승점 2 0




[1] 전기 우승팀[2] 전기 준우승팀[3] 계시기에는 시간페널티 포함 33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번 대회도 계시원 없이 한국기원에서 쓰는 전자계시기를 사용하여 선수들이 직접 버튼을 누른다. 그래서 대국 시작, 시간 페널티 공제는 제작진에서 안내방송 멘트로 한다.[4] 한국외대 반칙 1회(3집 공제), 3번 박윤서 선수가 둘 차례에 1번 최준 선수가 착수하는 착수 위반 반칙을 저질렀다.[5] 한양대 시간 페널티 1회(5집 공제)[6] 충북대 반칙 1회(3집 공제), 동대완 선수가 착수할 차례에 유이상 선수가 착수를 하는 반칙을 저질렀다.[7] 시간 페널티 1회(5집 공제)가 적용되자마자 돌을 거뒀다.[8] 백 불계승[9] 방송대 시간 페널티 1회(5집 공제), 바둑은 인하대가 방송대의 흑 대마를 잡은 상황이라 얼마지나지 않아 돌을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