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유엔 기후변화 협약 당사국 총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P1 | COP2 | COP3 | COP4 | COP5 |
1995 베를린 | 1996 제네바 | 1997 교토 | 1998 아르헨티나 | 1999 본 | |
COP6 | COP7 | COP8 | COP9 | ||
2000 헤이그 | 2001 본 | 2001 마라케시 | 2002 뉴델리 | 2003 밀라노 | |
COP10 | COP11 | COP12 | COP13 | COP14 | |
2004 부에노스아이레스 | 2005 몬트리올 | 2006 나이로비 | 2007 발리 | 2008 포즈난 | |
COP15 | COP16 | COP17 | COP18 | COP19 | |
2009 코펜하겐 | 2010 칸쿤 | 2011 더반 | 2012 도하 | 2013 바르샤바 | |
COP20 | COP21 | COP22 | COP23 | COP24 | |
2014 리마 | 2015 파리 | 2016 마라케시 | 2017 본 | 2018 카토비체 | |
COP25 | COP26 | COP27 | COP28 | COP29 | |
2019 마드리드 | 2021 글래스고 | 2022 샤름엘셰이크 | 2023 두바이 | 2024 바쿠 | |
COP30 | COP31 | COP32 | COP33 | COP34 | |
2025 벨렝 | 2026 미정 (서유럽) | 2027 미정 (아프리카) | 2028 미정 (아시아태평양) | 2029 미정 (동유럽) | |
■ 리우 회의 체제 ■ 교토의정서 체제 ■ 파리협정 체제 |
<colbgcolor=#27704d><colcolor=#ffffff> 제1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2013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COP 19 | CMP9 | ||
| ||
대회 기간 | 2013년 11월 11일 ~ 12월 23일 | |
개최 지역 |
바르샤바 스타디온 나로도비 | |
참가국 |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 협약국 | |
링크 | 공식 사이트 | |
이전·이후 총회 | ||
2012년 도하 | 2013년 바르샤바 | 2014년 리마 |
1. 개요
2013년 11월 11일부터 12월 23일까지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진행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2. 진행
인도의 환경부에서 녹색기후기금에 투자가 진행되지 않는다며 문제를 제기했다.G77과 중국의 주도하에 개발도상국 132개국이 손실과 피해 기금과 관련되어 선진국의 움직임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며 항의의 표시로 회의 도중 퇴장을 했다. 이 국가들은 선진국에게 2020년까지 연간 1000억 미국 달러의 지원금을 보상해달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