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4:43:5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강원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제19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1. 개요

항목제19대 국회의원 선거강원도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시내에 선거구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표 아래에 해당하는 행정동을 표기한다.

행정동의 순서는 다음의 사이트에서 발표한 자료를 따른다. 제19대 국회의원지역선거구구역표

1.1. 정당별 지역구 득표율

정당별 강원도 지역구 득표율
정당 득표수 의석
득표율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356,619 9석
52.79%
[include(틀:민주통합당)] 251,104 -
37.17%
[include(틀:무소속)] 54,863 -
8.12%
[include(틀:통합진보당)] 6,580 -
0.97%
[include(틀:국민생각)] 3,092 -
0.45%
[include(틀:자유선진당)] 2,776 -
0.41%
[include(틀:기독자유민주당)] 485 -
0.07%
선거인 수 1,227,478 투표율
55.7%
투표 수 683,783
무효표 수 8,264

2. 결과

2.1. 춘천시

춘천시
춘천시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진태(金鎭台) 58,629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9.30% 당선
2 안봉진(安奉振) 53,325 2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44.84% 낙선
6 변지량(邊知亮) 사퇴


[[무소속(정치)|
무소속
]]
7 허천(許梴) 6,967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85% 낙선
선거인 수 214,735 투표율
56.33%
투표 수 120,966
무효표 수 2,045
새누리당 김진태 후보가 무소속 변지량 후보의 민주통합당 안봉진 후보와 단일화로 인해 상대적으로 불리해졌음에도 불구하고 당선되었다.[1]

2.2. 원주시

원주시 갑
문막읍, 호저면, 지정면, 부론면, 귀래면, 중앙동, 원인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1동, 태장2동, 무실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기선(金起善) 31,413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1.43% 당선
2 김진희(金珍希) 26,566 2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43.50% 낙선
6 김대천(金大天) 3,092 3위


[[국민생각|
파일:국민생각 흰색 로고타입.svg
]]
5.06% 낙선
선거인 수 124,479 투표율
49.52%
투표 수 61,644
무효표 수 573
원주시 을
개운동, 명륜1동, 명륜2동, 단구동, 봉산동, 행구동,
반곡·관설동, 소초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강후(李康厚) 30,761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8.73% 당선
2 송기헌(宋基憲) 29,179 2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46.22% 낙선
6 이재헌(李載鉉) 3,184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04% 낙선
선거인 수 123,842 투표율
51.35%
투표 수 63,598
무효표 수 474

2.3. 강릉시

강릉시
강릉시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권성동(權性東) 57,433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60.78% 당선
2 송영철(宋永喆) 37,051 2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39.21% 낙선
선거인 수 173,579 투표율
55.01%
투표 수 95,494
무효표 수 1,010

2.4. 동해시·삼척시

동해시·삼척시
동해시 일원, 삼척시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이재(李利在) 33,845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4.83% 당선
4 박응천(朴應千) 6,580 4위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8.71% 낙선
6 이용석(李勇錫) 485 6위

[[기독자유민주당|
파일:기독자유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0.64% 낙선
7 최연희(崔鉛熙) 21,171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8.04% 낙선
8 이화영(李華泳) 7,804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0.33% 낙선
9 김형순(金炯淳) 5,605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42% 낙선
선거인 수 134,751 투표율
56.70%
투표 수 76,408
무효표 수 918

2.5. 속초시·고성군·양양군

속초시·고성군·양양군
속초시 일원, 고성군 일원, 양양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문헌(鄭文憲) 31,447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8.72% 당선
2 송훈석(宋勳錫) 22,964 2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35.57% 낙선
6 강주덕(康柱德) 878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35% 낙선
7 손문영(孫文榮) 8,577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3.28% 낙선
8 황정기(黃正起) 681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05% 낙선
선거인 수 115,080 투표율
56.65%
투표 수 65,195
무효표 수 652

2.6. 홍천군·횡성군

홍천군·횡성군
홍천군 일원, 횡성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황영철(黃永哲) 29,942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1.80% 당선
2 조일현(曺馹鉉) 27,856 2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48.19% 낙선
선거인 수 94,128 투표율
62.20%
투표 수 58,550
무효표 수 752

2.7.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태백시 일원, 영월군 일원, 평창군 일원, 정선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염동열(廉東烈) 46,537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6.61% 당선
2 김원창(金源昌) 32,881 2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40.00% 낙선
3 류승규(柳昇珪) 2,776 3위


[[자유선진당|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
3.37% 낙선
선거인 수 144,410 투표율
57.51%
투표 수 83,048
무효표 수 854

2.8.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철원군 일원, 화천군 일원, 양구군 일원, 인제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한기호(韓起鎬) 36,612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63.23% 당선
2 정태수(鄭泰洙) 21,282 2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36.76% 낙선
선거인 수 102,474 투표율
57.46%
투표 수 58,880
무효표 수 986

[1] 비슷한 사례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통합진보당 백현종 후보의 새정치민주연합 김진표 후보와 단일화로 인해 새누리당 남경필 후보가 상대적으로 불리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새누리당 남경필 후보가 당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