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08:26:55

제11회 체스 올림피아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체스 올림피아드]]{{{#!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제11회 체스 올림피아드
11th Chess Olympiad
파일:Chess_Olympiad_Amsterdam_1954.jpg
대회기간 1954년 9월 4일 ~ 9월 25일
개최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암스테르담
참가국 26개국
대회 결과
금메달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4]]}}} {{{#!if 출력 == null
소련}}}{{{#!if 출력 != null
}}}}}}]]
은메달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1861-2010).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동메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if 출력 != null
유고슬라비아}}}}}}]]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유고슬라비아}}}}}}]]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유고슬라비아}}}}}}]]
이전·이후 대회
1952년
핀란드
1954년
네덜란드
1956년
소련
1. 개요2. 예선
2.1. 1조2.2. 2조2.3. 3조2.4. 4조2.5. 평가
3. 본선
3.1. A조3.2. B조3.3. 평가

1. 개요

2. 예선

각 조마다 상위 3개국은 A조로 진출하고 나머지는 B조로 진출한다. 동점이 발생할 경우 타이브레이크를 통해 순위를 결정한다.

2.1. 1조

<rowcolor=#8f5432> 순위 국가 승점 비고
1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16½
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13 개최국
3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11
4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5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6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A조 진출 | B조 진출

2.2. 2조

<rowcolor=#8f5432> 순위 국가 승점 비고
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1861-2010).svg 아르헨티나 14
2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48-1967).svg 불가리아 13½
3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13½
4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캐나다 10
5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이탈리아
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A조 진출 | B조 진출

2.3. 3조

<rowcolor=#8f5432> 순위 국가 승점 비고
1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16
2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14
3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4
4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11½
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11
6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7 파일:자르 보호령 국기.svg 자르 8
A조 진출 | B조 진출

2.4. 4조

<rowcolor=#8f5432> 순위 국가 승점 비고
1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49-1956).svg 헝가리 18
2 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16½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13½
4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13½
5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12½
6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9
6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1
A조 진출 | B조 진출

2.5. 평가

  • 1조는 체스 초강국인 소련과 준수한 실력의 오스트리아, 핀란드, 네덜란드가 배정되었는데 아이슬란드가 오스트리아, 핀란드를 꺾고 A조로 진출하는 예상 밖의 결과를 냈다.
  • 2조에서는 아르헨티나, 불가리아, 체코슬로바키아가 3라운드까지 3국 모두 동점을 기록한 만큼 1위 자리를 두고 접전을 펼치다 아르헨티나가 ½점 차이로 1위를 차지했다.
  • 3조에서는 새롭게 떠오른 체스 강국 이스라엘이 전 우승국인 유고슬라비아를 꺾고 1위를 차지했다.
  • 4조에서 스위스와 잉글랜드가 동점이 발생하면서 타이브레이크를 통해 잉글랜드가 A조로 진출하고 스위스가 아깝게 떨어졌다.

3. 본선

3.1. A조

<rowcolor=#8f5432> 순위 국가 승점 비고
1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34 2연패
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7
3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26½
4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24½
5 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23½
6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헝가리 23
7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22
8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21 개최국
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17
10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불가리아 17
11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5
12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13½

3.2. B조

<rowcolor=#8f5432> 순위 국가 승점 비고
13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37
14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캐나다 36
1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36
16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34½
1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28½
18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27½
19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27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26½
21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26
22 파일:자르 보호령 국기.svg 자르 24
23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22
24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21
25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11
26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7

3.3. 평가

제10회 체스 올림피아드때와 1~3위 국가가 같다. 스위스는 비록 아깝게 B조로 떨어졌지만 B조에서 1위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