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02:17:57

정희원(의사)

<colbgcolor=#235074><colcolor=#FFFFFF> 정희원
鄭熙元|Jung Heewon
파일:정희원(의사).jpg
출생 1984년 10월 20일 ([age(1984-10-20)]세)
서울특별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직업 내과 의사
학력 현대고등학교 (졸업 / 16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 / 석사)
한국과학기술원 (이학 / 박사)
경력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임의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진료조교수
서울아산병원 내과 임상조교수
링크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파일:조선일보 로고.svg 파일:YES24 로고.svg

1. 개요2. 노화 관리의 중요성3. 저서4. 방송 출연
4.1. TV4.2. 라디오4.3. 유튜브
5.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내과 의사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에서 근무 중이다.

2. 노화 관리의 중요성

유튜브, TV를 비롯한 미디어 활동을 매우 활발하게 하고 있다. 어떻게 하면 노화 속도를 느리게 하고 어떻게 건강 관리를 해야 하는지, 그것이 왜 중요한지 등을 강조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그가 강조하는 내용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건강관리가 중요한 이유
    • 젊어서 건강관리를 하지 않으면 노화가 누적되어서 노년기에 고생한다.[1] 고령화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져서 20~30년 후에는 제대로 케어를 받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2]
    • 병원비와 요양원, 요양병원에 들어가는 돈을 생각하면 금전적으로만 따져도 큰 손해다.[3]
    • 그렇기 때문에 젊어서 건강관리를 하는것은 삶의 질 뿐만 아니라 금전적으로도 큰 이익이다.[4]
  • 식단
    • 혈당 스파이크를 일으키는 음식(정제 탄수화물, 단순당, 가공식품)을 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 가공식품을 포함하여 정제당과 탄수화물을 줄이고 채소, 콩류를 포함한 건강 식단이 중요하다.[5]
    • 젊어서는 탄수화물과 육류를 줄이는 식단을, 노년에는 충분한 고기 섭취로 단백질이 부족하지 않게 하는게 좋다.[6]
  • 운동
    • 젊어서는 유산소 운동을 포함한 다양한 운동을, 노년에는 근력 운동을 반드시 하라고 강조한다.
  • 정신건강
    • 치매 예방을 비롯한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신체 활동', '사회 활동', '두뇌 활동'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 이 모든것이 포함된 것은 결국 적절한 일을 하는 것이며, 노년에 무조건 쉬기만 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말한다. 소일거리라도 하는게 낫다.

3. 저서

출간일 도서명 출판사
2021.11.24 지속가능한 나이듦 두리반
2022.09.23 잡지 <한편> 9호 외모 민음사 공저
2023.01.17 당신도 느리게 나이 들 수 있습니다 더퀘스트
2023.05.01 노인병학 4판 (주)범문에듀케이션 공저
2023.12.11 느리게 나이 드는 습관 한빛라이프
2024.05.14 왜 우리는 매일 거대도시로 향하는가 김영사 공저

4. 방송 출연

4.1. TV

방영일 프로그램명 방송사
2023.05.14 이슈 픽 쌤과 함께 KBS1
2023.11.13 뉴스라운지 YTN
2023.12.13 옥탑방의 문제아들 KBS2
2024.01.10 생로병사의 비밀 KBS1
2024.01.19 SBS 뉴스토리 SBS

4.2. 라디오

송출일 프로그램명 방송사
2023.03.27~28 강원국의 지금, 이 사람 KBS 1Radio
2023.12.13 김현정의 뉴스쇼 CBS Radio
2023.12.28 유민상의 배고픈 라디오 SBS 러브FM
2024.01.01~07 잠깐만 MBC Radio
2024.01.20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 KBS 1Radio
2024.01.24 성공예감 이대호입니다 KBS 1Radio

4.3. 유튜브

공개일 채널명
2022.07.19 의학채널 비온뒤
2023.01.18 外 세바시 강연
2023.02.22 스터디언
2023.04.19 김미경TV
2023.06.01 지식인사이드
2023.12.21 닥터프렌즈
2024.01.14 外 김작가 TV

5. 여담

  • 현대 아이오닉의 1호차 차주이면서 전기차전용 타이어 개발에도 참여한 일이 있다.





[1] 노년기가 아니라 소아청소년·청·중·장년기에도 당장 고생하기 마련이다.[2] 건강관리 소홀로 중병을 얻는건 가족에게 크나큰 민폐다.[3] 요양원에 들어가는 비용은 한달에 최소 200~300만원 이상이며 10년을 가정하면 최소 수억원 이상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보험이나 국고나 지방고 지원이 되어도 장기적으로는 큰 손해다.[4] 이는 성장기에 있는 유·초·중·고등학생도 예외는 없는데 비만 등 만성질환의 시기가 소아·청소년계층까지 빨라졌기 때문이다.[5] 주로 렌틸콩이 좋다고 강조한다.[6] 노년에 채식 위주의 식단은 자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