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21:34:32

정재성(프로게이머)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Gen.G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000,#000><colcolor=#aa8a00,#aa8a00> 감독 [[강근철|강근철
solo
]]
코치 [[김해성(1994)|김해성
HSK
]]|[[정범기|정범기
peri
]]
로스터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원태(2002)|김원태
Karo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나라(프로게이머)|김나라
t3xture
]]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범|변상범
Munchki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재성(프로게이머)|정재성
Foxy9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하현철|하현철
Ash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재영(2002)|서재영
Suggest
]]
VCT 퍼시픽 리그 참가팀 로스터 }}}}}}}}}}}}

現 발로란트 프로게이머
<nopad>
파일:GEN_Foxy9_2025_Kickoff.png
<colbgcolor=#000><colcolor=#aa8a00> Gen.G
Foxy9
[1]
정재성 (Jung Jae-sung)
출생 2004년 11월 20일 ([age(2004-11-20)]세)
광주광역시 북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9.8cm[2]
ID GEN Foxy9
MBTI ENFP
가족 부모님, 여동생, 남동생
경력 상금 $47,602.02 USD
(₩70,470,030.41)
[3]
소속 World Game Star
(2021.02.01 ~ 2021.05.06)
REIGNITE[4]
(2021.11.23 ~ 2022.09.30)
DRX[5]
(2022.10.13 ~ 2024.10.24)

Gen.G
(2024.10.24 ~ )
에이전시 리오컴퍼니
파일:SOOP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역사
3.1. 2023 시즌3.2. 2024 시즌3.3. 2025 시즌
4. 장비 및 세팅5. 주요 경력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Gen.G 소속 대한민국발로란트 프로게이머.

2. 플레이 스타일

영입이 발표된 다음 날 비시즌 이벤트전인 대전 발로란트 인비테이셔널에서 데뷔전을 치렀는데, 라이플은 물론 오퍼레이터를 매우 잘 다루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결승전이었던 팀 시크릿 과의 경기에서 굉장히 빠른 반응속도로 해설진들을 놀라게 하는 킬들을 여럿 만들어냈다.

위 경기를 본 팬들의 반응은 드디어 DRX에 제대로된 오퍼수가 생겼다며 축제 분위기.[6][7]

이후 락인 땐 출전하지 못하다가 VCT 퍼시픽에서 처음으로 나왔는데 데뷔전부터 오퍼레이터로 에이스를 해내는가 하면 GE 상대로도 폭발적인 기량을 뽐냈으며[8] DRX의 주전으로 완전히 도약했다. PRX의 something과 함께 퍼시픽 투탑 엔트리로 평가받았으며, PRX와의 정규시즌 경기에서 그 something을 상대로 판정승을 거두기도 했다.

레이즈도 잘 다루는지라 스플릿에서는 제트 대신 레이즈를 기용하기도 했다.

현재는 엔트리보다는 감시자나 척후대 위주로 플레이하고 있다. 젠지로 들어온 이후에는 거의 감시자 고정. 메테오처럼 에임싸움으로 영역을 먹는 유형의 감시자는 아니지만[9], 특유의 폭발적인매드무비식에임과 대기샷으로 사이트를 막거나, 먼치킨의 오더를 들으며 DRX 시절 보여준 아쉬운 판단 같은 모습은 많이 사라지는 등, 점점 나아지고 있다는 여론이다[10].

3. 역사

3.1. 2023 시즌

제1 라운드 ZETA DIVISION 개막전 첫 경기에 개인사정으로 출전하지 못하는 버즈 대신해 출전한다.

퍼시픽 리그의 개막전이자 자신의 공식경기 데뷔전인 1라운드 제타 디비전과의 경기에서 오퍼레이터 에이스로 1세트를 마무리하며 퍼시픽 리그의 팬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켰다.[11][12]

이후로 완전히 주전으로 자리를 잡은 듯 했으나 플레이오프 승자조 PRX전 완패 이후 다시 벤치로 밀려났고, 패자조 결승 및 최종 결승에는 한 세트도 출전하지 못했다.

3.2. 2024 시즌

팀이 리빌딩되며 다시 주전 자리에 돌아왔으나 버즈에게 메인 타격대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타격대를 제외한 역할군을 맵에 따라 오가게 되었다.[13]

DFM,TALON과의 경기에선 후방으로 포지션 변경을 가져간 덕에 안정적인 에임으로 상대를 제압하였으나 Gen G와의 경기에선 부족한 요원숙련도, 아쉬운 게임리딩, 어이없는 퍼스트 데스로 팀의 탈락에 기여해버리는 아쉬운 경기를 펼쳤다.

2024년 4월 6일에 개막한 2024 VCT Pacific Stage 1에선 원래 사용하던 제트 등의 타격대 요원이 아닌 킬조이, 사이퍼를 비롯한 감시자 요원을 다뤄 높은 사이트 공략율과 수비력을 보여주고 있고 이에 더해 이전에 있던 압도적인 피지컬 또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블리드 이스포츠와의 경기에선 에이스를 달성하는 등의 활약을 보이며 DRX의 전승 플레이오프 진출에 큰 기여를 하였다.
현재 킬조이, 사이퍼와 같은 감시자가 아닌 게코, 브리치와 같은 척후대를 주로 맡고 있으며, 특히 젠지와의 퍼시픽 결승에서 게코를 활용하여 큰 활약을 하였다.
스테이지 1 정규시즌에서는 드디어 자신이 가지고 있던 재능을 터트렸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시즌 종료 후 10월 7일 팀 공식 X에 제한적 이적 허용(RFA)으로 전환되었음이 발표되었다.

3.3. 2025 시즌

2024년 10월 24일, 젠지 공식 X에 영입이 발표, 25년도에는 젠지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프리시즌 ten 아시아 인비테이셔널에서 우승하며 이벤트성 대회이긴 하지만 커리어 첫 우승을 기록했다. 기존의 감시자 롤을 그대로 가져가면서 요루, 게코도 선보이며 공석이 된 메테오 자리를 대체할 포지션을 맡길 것으로 사료된다.

2025 킥오프 시작 전까지는 과연 메테오의 자리를 대체해 줄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많았으나, 이후 RRQ와의 대진에서 로터스와 헤이븐에서 여러번 클러치를 해내거나 중요한 킬을 따내며 카론과 함께 대활약했다. 당시 젠지의 경기가 강해진 RRQ에 의해 여러번 말리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과거 24시즌 메테오처럼 폭구가 따낸 핵심적인 킬과 클러치들이 게임을 풀어주며 젠지가 승리를 얻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DFM 전에서는 먼치킨과 함께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먼치킨이 판단을 내리면 폭구 본인이 먼치킨의 지시 하에 킬을 내면서 "먼치킨의 뇌와 폭구의 오른손"이라는 조합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영역 전개 및 상대의 스킬을 빼먹는 드리블 등 감시자에게 요구되는 뇌지컬이 필요한 부분에서 부족한 점을 많이 보였고, 그 때문에 서제스트 영입과 함께 백업 멤버로 강등되었으나 서제스트가 아직 팀 내에서 부진하는 모습을 보여 DFM전부터 다시 주전으로 복귀했다. 그리고 복귀하자마자 엄청나게 발전한 모습을 보이며 사실상 서제스트 영입은 폭시나인의 각성을 위한 것이냐는 드립들이 쏟아졌다. 특히 5주차 DRX와의 조 2위 결정전에서 보여준 영역 전개와 드리블은 정말 재능이 개화한거 아니냐는 평가를 들을 정도였다.

4. 장비 및 세팅

<rowcolor=#aa8a00> 마우스 설정
(Mouse Settings)
<rowcolor=#aa8a00> 마우스 eDPI DPI 폴링레이트 감도 조준감도
G PRO X SUPERLIGHT 2 PINK 251.2 800 1000 Hz 0.314 1
<rowcolor=#aa8a00> 최종 업데이트 [dday(2025-02-03)]일 지남[A]
<rowcolor=#aa8a00> 장비
(Hardware)
<rowcolor=#aa8a00> 마우스 마우스패드
G PRO X SUPERLIGHT 2 PINK Artisan Ninja FX Hayate Otsu Black
<rowcolor=#aa8a00> 모니터 주사율 인게임 해상도
ZOWIE XL2566K 360hz 1920x1080
<rowcolor=#aa8a00> 키보드 헤드셋
Steelseries APEX PRO mini Razer BlackShark V2 Pro
<rowcolor=#aa8a00> 최종 업데이트 [dday(2024-08-18)]일 지남[A]

5. 주요 경력

우승 경력
TEN 2024 발로란트 아시아 인비테이셔널 우승
Cloud9 Gen.G 미정
준우승 경력
2023 VCT Pacific 준우승
대회 출범 DRX Paper Rex
TEN 2023 발로란트 글로벌 인비테이셔널 준우승
대회 출범 DRX Talon Esports
2024 VCT Pacific Stage 2 준우승
Gen.G DRX T1
2024 SOOP VALORANT LEAGUE 준우승
Paper Rex Gen.G 미정

6. 여담

  • 본인의 방송에서 도네이션 또는 구독을 할 바에는 차라리 우왁굳의 방송에 하라고 말할 정도로 스트리머 우왁굳의 굉장한 팬으로, 방송 중 맵가리개로 우왁굳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왁두를 사용한 적이 있다. 이세돌 또한 좋아하며 최애 멤버는 자주 바뀐다고 한다. 현재 최애 멤버는 고세구이다.
  • 반응속도가 굉장히 빠르다.[16]
  • 마인크래프트를 즐겨 하는것으로 보인다. 하이픽셀서버에 약 6만원 가량의 랭크를 보유하고 있고, 코마와 함께 하이픽셀의 미니 게임을 플레이 하기도 하였다. # 마카오톡에도 참여하였으며 꾸몽의 영상을 본다고 말하기도 했다.
  • 중국어를 잘한다.
  • 장남이며, 아래로 여동생 한명과 막내 남동생 한명이 있다고 한다.#

7. 둘러보기

정재성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D2D7,#01D2D7><tablebgcolor=#01D2D7,#01D2D7> 파일:VCT Pacific 로고 화이트.svgVCT Pacific
1000킬 달성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white,white> 순서 일자 선수 당시 소속팀 달성 경기
<colbgcolor=#01d2d7,#01d2d7><colcolor=white,white> 1 2024.04.22 [[변상범|변상범
Munchkin
]]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024 Stage 1
정규시즌 22경기 1세트
vs [[ZETA DIVISION/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40000; font-size: 1.0em" dark-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FD02; font-size: 1.0em"
2 2024.04.28 [[하정우(프로게이머)|하정우
Sayaplayer
]]
파일:T1 로고.svg 2024 Stage 1
정규시즌 27경기 2세트
vs [[ZETA DIVISION/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40000; font-size: 1.0em" dark-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FD02; font-size: 1.0em"
3 2024.04.29 [[김태오(프로게이머)|김태오
Meteor
]]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024 Stage 1
정규시즌 30경기 2세트
vs [[Rex Regum Qeon/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AA36; font-size: 1.0em"
4 2024.05.04 [[김나라(프로게이머)|김나라
t3xture
]]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024 Stage 1
플레이오프 2라운드 1경기 1세트
vs [[T1/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2B; font-size: 1.0em"
5 2024.06.15 [[유병철(프로게이머)|유병철
BuZz
]]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2024 Stage 2
정규시즌 1경기 3세트
vs [[ZETA DIVISION/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40000; font-size: 1.0em" dark-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FD02; font-size: 1.0em"
6 2024.06.16 [[제이슨 수산토|제이슨 수산토
f0rsakeN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2024 Stage 2
정규시즌 4경기 2세트
vs [[Talon Esports/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0041; font-size: 1.0em"
7 2024.06.16 [[일리야 페트로프|일리야 페트로프
something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2024 Stage 2
정규시즌 4경기 2세트
vs [[Talon Esports/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0041; font-size: 1.0em"
8 2024.06.17 [[제러미 카브레라|제러미 카브레라
Jremy
]]
파일:Team Secret 아이콘.svg파일:Team Secret 아이콘 white.svg 2024 Stage 2
정규시즌 6경기 2세트
vs [[Global Esports/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D1C24; font-size: 1.0em"
9 2024.06.22 [[할리시 루샤이디|할리시 루샤이디
d4v41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2024 Stage 2
정규시즌 8경기 2세트
vs [[DRX/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102A3; font-size: 1.0em"
10 2024.06.29 [[하시모토 유마|하시모토 유마
Dep
]]
파일:ZETA DIVISION.svg파일:ZETA DIVISION_white.svg 2024 Stage 2
정규시즌 14경기 2세트
vs [[Rex Regum Qeon/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AA36; font-size: 1.0em"
11 2024.07.01 [[김명관(프로게이머)|김명관
MaKo
]]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2024 Stage 2
정규시즌 18경기 3세트
vs [[Talon Esports/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0041; font-size: 1.0em"
12 2024.07.05 [[왕징제|왕징제
Jinggg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2024 Stage 2
정규시즌 19경기 3세트
vs [[Rex Regum Qeon/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AA36; font-size: 1.0em"
13 2024.07.07 [[에이드리언 레예스|에이드리언 레예스
invy
]]
파일:Team Secret 아이콘.svg파일:Team Secret 아이콘 white.svg 2024 Stage 2
정규시즌 23경기 1세트
vs [[Gen.G Esports/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14 2024.07.07 [[에런 레온하트|에런 레온하트
mindfreak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2024 Stage 2
정규시즌 24경기 3세트
vs [[ZETA DIVISION/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40000; font-size: 1.0em" dark-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FD02; font-size: 1.0em"
15 2024.07.13 [[조지프 오|조지프 오
ban
]]
파일:Talon Esports 엠블럼.svg 2024 Stage 2
플레이오프 2라운드 2경기 1세트
vs [[DRX/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102A3; font-size: 1.0em"
16 2024.07.14 [[김원태(2002)|김원태
Karon
]]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024 Stage 2
플레이오프 3라운드 1경기 2세트
vs [[DRX/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102A3; font-size: 1.0em"
17 2024.07.20 [[정재성(프로게이머)|정재성
Foxy9
]]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2024 Stage 2
플레이오프 4라운드 4세트
vs [[Paper Rex/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dark-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66; font-size: 1.0em"
18 2025.01.18 [[와타나베 쇼타(프로게이머)|와타나베 쇼타
SugarZ3ro
]]
파일:ZETA DIVISION.svg파일:ZETA DIVISION_white.svg 2025 Kickoff
상위조 1라운드 2경기 2세트
vs [[농심 레드포스/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E2027; font-size: 1.0em"
19 2025.01.19 [[제시 쿠이코|제시 쿠이코
JessieVash
]]
파일:Team Secret 아이콘.svg파일:Team Secret 아이콘 white.svg 2025 Kickoff
상위조 1라운드 3경기 3세트
vs [[Global Esports/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D1C24; font-size: 1.0em"
20 2025.01.31 [[김구택|김구택
stax
]]
파일:T1 로고.svg 2025 Kickoff
상위조 3라운드 1경기 3세트
vs [[Talon Esports/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0041; font-size: 1.0em"
21 2025.02.01 [[데이비드 모낭인|데이비드 모낭인
Xffero
]]
파일:Rex_Regum_Qeon_allmode.png 2025 Kickoff
하위조 2라운드 1경기 2세트
vs [[농심 레드포스/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E2027; font-size: 1.0em"
22 2025.02.07 [[이재혁(1998)|이재혁
carpe
]]
파일:T1 로고.svg 2025 Kickoff
상위조 4라운드 3세트
vs [[DRX/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102A3; font-size: 1.0em"
23 2025.02.09 [[함우주|함우주
iZu
]]
파일:T1 로고.svg 2025 Kickoff
결승전 4세트
vs [[DRX/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102A3; font-size: 1.0em"
24 2025.03.23 [[찌타나 녹남|찌타나 녹남
JitBoyS
]]
파일:Talon Esports 엠블럼.svg 2025 Stage 1
그룹 스테이지 4경기 2세트
vs [[Team Secret/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25 2025.04.13 [[차야 누그라하|차야 누그라하
Monyet
]]
파일:Rex_Regum_Qeon_allmode.png 2025 Stage 1
그룹 스테이지 21경기 1세트
vs [[T1/발로란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2B; font-size: 1.0em"
,,
ID
: 현 VCT Pacific 소속
ID
: 은퇴/무소속/현 타 리그 소속
☆ : 2000킬 달성 선수
★ : 3000킬 달성 선수,,
}}}}}}}}} ||

[1] 前 설화 (Seolhwa)[2] #.[3] Foxy9 발로란트 경력 상금.[4] 비활성화: 2022.09.12 ~ 2022.09.30[5] 비활성화: 2024.10.07 ~ 2024.10.24[6] 물론 정규시즌 경기가 아닌 비시즌 서드파티인 것을 감안해야한다.[7] 하지만 상대팀이었던 팀 시크릿 또한 DRX와 마찬가지로 아시아 리그 프랜차이즈에 합격한 팀이고, 2021 챔피언스에 진출한 이력이 있는 팀인것을 생각하면 첫 경기 치고는 매우 잘했다는 평.[8] 특히나 팀원들이 전부 말려버린 최악의 상황이었다.[9] 물론 이건 전세계에서 메테오를 포함한 톱클래스임을 증명한 감시자 선수들 말고는 할 수 없는 역할이긴하다(...) 애초에 일단 에임과 무빙이 좋고, 럴킹 타이밍을 정확히 잡을만한 맵리딩도 필요로 하는 매우 어려운 역할이기에 메테오의 모습을 폭구한테 보길 원하는건 무리다.[10] 킥오프 때도 Foxy9에 대한 평가가 시청자들과는 다소 상반되고 그다지 고평가하지 않던 해설진들도 스테이지1에서는 폼이 좋아졌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11] 퍼시픽리그+공식경기 데뷔전 첫 에이스라는 굉장히 상징적인 에이스라 그런지 DRX 구단측에서 직접 영상도 만들어줬다.[12] 백문이 불여일견. 직접 보러가자.[13] 2 타격대를 할 때 타격대를 하기도 한다[A] prosettings.net 기준.[A] prosettings.net 기준.[16] 본인 말로는 반응속도 테스트에서 아무리 못해도 140ms는 나온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