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17:59:19

정연욱(1965)

정연욱(언론인)에서 넘어옴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수영구)
제21대
전봉민
제22대
정연욱
현직
<colbgcolor=#e61e2b><colcolor=#fff>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정연욱
鄭然旭 | Jeong Yeonuk
파일:정연욱(2).jpg
출생 1965년 12월 22일 ([age(1965-12-22)]세)
부산직할시 동구 좌천동
본적 경상남도 고성군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국민의힘 수영구 당협위원장
학력 혜화국민학교 (졸업)
부산동중학교 (졸업)
부산동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 부산 수영구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22
소속 위원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경력 동아일보 사회부·정치부 기자
동아일보 논설위원
채널A 정치부장
동아일보 정치부장
채널A 보도본부 부본부장
동아일보 논설위원

1. 개요2. 생애3. 경력
3.1. 정계 입문
4. 담당 프로그램5. 여담6. 소속 정당7. 선거 이력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기자 출신 정치인. 동아일보·채널A에서 재직하였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수영구 국회의원에 당선 되었다.

2. 생애

1965년 부산광역시(당시 직할시)에서 태어나 부산 혜화초등학교부산동중학교, 부산동고등학교[1]를 졸업하고 1985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하여 공법학과를 다녔고 1989년에 졸업했다. 대학 졸업 후 강원도 철원군에서 제5포병여단 소속으로 복무해 병장 만기 제대했다.

3. 경력

제대 후인 1991년 동아일보에 입사해 2023년 12월까지 32년간 언론인의 길을 걸었다. 사회부 경찰 출입 기자를 시작으로 각종 사건을 취재하면서 현장 기자의 기본기를 익혔다. 이후 대부분의 시간을 정치부에서 근무했다. 1995년 지방선거를 시작으로 국회의원 총선, 대통령 선거 등 주요 선거를 지켜보며 정치 현장의 이면을 살펴보았다.

참여정부(노무현 정부) 중반에는 청와대 출입을 하면서 국정운영의 정점에 있는 청와대의 운용 전반을 들여다보았고 2003년 12월 '한나라당 당무감사' 결과 자료를 단독 보도하며 2004년 총선을 앞두고 공천 쇄신의 결정적 계기를 만들었다. 당시 기사 보도 후 소속 의원들의 확인 전화가 몰려와 상당한 파문을 일으켰다. 이 특종 보도로 한국기자협회의 '이달의 기자상'과 한국신문방송인클럽의 '한국언론대상'을 수상했다.

2007년에는 사회부 법조팀장을 맡아 2007년 대선 당시 뜨거운 이슈였던 이명박 전 대통령의 BBK 관련 수사와 특검 취재를 지휘했다.

이듬해 스토니브룩 대학교에서 1년간 해외연수를 하였다.

동아일보 몫의 종합편성채널 채널A가 출범하면서 보도본부 정치부장을 맡아 뉴스와 시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주말 종합뉴스, 쾌도난마를 비롯해 여러 시사 프로그램의 진행을 맡아 종편 출범을 계기로 꽃을 피운 시사토크의 장을 여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동아일보 논설위원으로 복귀하여 '오늘과 내일' 칼럼과 '횡설수설' 등 다양한 포맷으로 정치 현안에 대한 진단과 전망을 해왔고 2023년 12월 국장급으로 퇴직하였다.

2021년 한국바른언론인대상(정치혁신 부문)을 수상했다.

3.1. 정계 입문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국민의힘에 입당하여 부산진구 을에 공천 신청을 했지만, 현역 이헌승 의원과의 경선에서 패배했다. #

그러나 장예찬 수영구 후보가 과거 SNS 막말 논란으로 인해 공천이 취소되면서, 2024년 3월 17일 국민의힘 수영구 국회의원 후보로 공천을 받았다. 그리고 공천 취소된 장예찬 후보가 국민의힘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보수 분열로 인해 유동철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어부지리로 당선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

실제로 프레시안 부산울산 취재본부가 KSOI에 의뢰해 2024년 3월 31일~4월 1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유동철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40.6%로 1위였고, 정연욱 국민의힘 후보가 29.9%, 장예찬 무소속 후보가 22.8%로 그 뒤를 잇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선거 막판까지도 정연욱 후보는 장예찬 후보를 향해서 "국민의힘을 팔고 대통령을 파는 거짓 청년"이라고 공격했고, 장예찬 후보는 정연욱 후보를 향해 "가짜 보수이자 대통령을 흔들 후보"라고 공격했다. #

그리고 정연욱 후보는 한동훈 비대위원장과의 인연을 강조한 반면 장예찬 후보는 윤석열 대통령과의 인연을 강조하기도 해 윤석열-한동훈의 대리전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

그러나 여론조사와는 달리 막상 개표함을 열어보니 보수표 분열에도 불구하고 과반인 50.33%를 득표하며 당선됐다. 반면 장예찬은 여론조사에 비해 크게 못 미치는 한 자릿수 득표율로 선거비 보전도 못 받고 낙선했다.

여담으로 쾌도난마 출신 3인방[2] 중 유일하게 당선되었다.

4. 담당 프로그램

5. 여담

  • 동아일보 정치부 기자 시절 국회에 출입하면서 이회창 전 총재와 인연을 맺었다고 한다. 그리고 국회의원이 된 이후 2024년 6월 이회창 전 총재의 자택에 방문해 함께 사진을 찍어 본인 페이스북에 업로드하여 화제가 되었다. #

6.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4 - 현재 입당

7.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fff,#1c1d1f><rowcolor=#fff><rowbgcolor=#e61e2b><tablewidth=100%>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2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수영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1,092 (50.33%) 당선(1위) 초선

8. 둘러보기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부산광역시 당협위원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b5e2 21.8px, transparent 21.8px), linear-gradient(315deg, #ffffff 50.5px, transparent 50.5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181818,#e5e5e5
시당위원장
전봉민
중·영도 서·동 부산진 갑 부산진 을
조승환 곽규택 정성국 이헌승
동래 북 갑 북 을
서지영 박수영 서병수 박성훈
강서 해운대 갑 해운대 을 사하 갑
김도읍 주진우 김미애 이성권
사하 을 금정 연제 수영
조경태 백종헌 김희정 정연욱
사상 기장
김대식 정동만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중·영도 서·동 부산진 갑 부산진 을
조승환 곽규택 정성국 이헌승
동래 북 갑 북 을
서지영 박수영 전재수 박성훈
해운대 갑 해운대 을 사하 갑 사하 을
주진우 김미애 이성권 조경태
금정 강서 연제 수영
백종헌 김도읍 김희정 정연욱
사상 기장
김대식 정동만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대식 강명구 강민국 강선영 강승규
고동진 곽규택 구자근 권성동 권영세
권영진 김건 김기웅 김기현 김대식
김도읍 김미애 김민전 김상욱 김상훈
김석기 김선교 김성원 김소희 김승수
김예지 김용태 김위상 김은혜 김장겸
김재섭 김정재 김종양 김태호 김형동
김희정 나경원 박대출 박덕흠 박상웅
박성민 박성훈 박수민 박수영 박정하
박정훈 박준태 박충권 박형수 배준영
배현진 백종헌 서명옥 서범수 서일준
서지영 서천호 성일종 송석준 송언석
신동욱 신성범 안상훈 안철수 엄태영
우재준 유상범 유영하 유용원 윤상현
윤영석 윤재옥 윤한홍 이달희 이만희
이상휘 이성권 이양수 이인선 이종배
이종욱 이철규 이헌승 인요한 임이자
임종득 장동혁 정동만 정성국 정연욱
정점식 정희용 조경태 조배숙 조승환
조은희 조정훈 조지연 주진우 주호영
진종오 최보윤 최수진 최은석 최형두
추경호 한기호 한지아 }}}
}}}}}}


[1] 동창이 강인순 전 20사단장이다. 1년 직속선배로 부산 강서구의 김도읍이 있다.[2] 정연욱, 박종진, 하종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