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청사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정부종합청사 | |||
| 세종 | 서울 | 과천 | 대전 | |
| 정부지방합동청사 | ||||
| 대구 | 인천 | 광주 | 경남 | |
| 제주 | 춘천 | 고양 | 충남 | |
| 경북 | ||||
| 준공예정 | ||||
| 울산 (2024년 준공예정) | 부산 (2025년 준공예정) | |||
| 충북 (2026년 준공예정) | 대전 (2029년 준공예정) | |||
|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政府大邱地方合同廳舍 Daegu Regional Government Complex | |||||
| <nopad> | |||||
| <nopad> | |||||
| 위치 | 대구광역시 달서구 화암로 301 (대곡동) | ||||
| 대중교통 | 교통 문단 참조 | ||||
| 국가 | | ||||
| 대지면적 | 32,708m² | ||||
| 건물규모 | 지하 3층, 지상 9층 | ||||
| 연면적 | 47,018m² | ||||
| 층고 | 기준층 4.2m | ||||
| 높이 | 6.13m | ||||
| 구조 |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 구조 | ||||
| 공사기간 | 2009. 12 ~ 2012. 09 (2년 9개월) | ||||
| 총사업비 | 991억 원[1] | ||||
| 근무 현원 | 1,011명[2][3] | ||||
| 관리주체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입주기관 | ||||
| 대구지방보훈청, 대구지방공정거래사무소, 대구지방국세청, 대구본부세관, 대구지방교정청, 대구지방환경청, 대구지방고용노동청 대구서부지청, 대구서부준법지원센터, 농림축산검역본부 영남지역본부 대구사무소, 농림축산검역본부 대구가축질병방역센터, 대구청사관리소 식당매점, 농협, 체력단련실, 휴게실, 어린이집, 건강지원센터, 카페테리아, 마음건강센터 | |||||
1. 개요
대구광역시 달서구 화암로 301(대곡동)에 위치하고 있는 대구지역 정부지방합동청사이다. 대구지역에 소재한 중앙행정기관 소속 특별지방행정기관들의 사무 공간을 통합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한 정부종합청사다. 2012년 춘천-제주-광주지역에 이어 4번째로 완공된 지방합동청사로 부지 32,708m², 연면적 47,018m²의 지하 3층, 지상 9층 규모로 총예산 991억 원이 투입되었다.
2. 입주기관
- 대구지방보훈청
- 대구지방공정거래사무소
- 대구지방국세청
- 대구본부세관
- 대구지방교정청
- 대구지방환경청
- 대구지방고용노동청 대구서부지청
- 대구서부준법지원센터
- 농림축산검역본부 영남지역본부 대구사무소
- 농림축산검역본부 대구가축질병방역센터
- 대구청사관리소
3. 교통
3.1. 버스
-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정문 : 달서3
-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후문 : 달서5
- 수목원삼성래미안1차 : 326, 653, 달서1, 달서2, 성서1, 성서1-1[4], 급행7, 급행8, 급행8-1, 급행10
- 대곡역(1번출구) : 650, 651, 655, 665(달성2차산단)(본선), 665(유가사)(주말/공휴일), 달성2(달성군청), 달성2(갈실마을회관), 달성2(용연사[옥포간경리종료]), 달성2(마비정벽화마을), 달성5(유가사)
- 대곡역(2번출구) : 650, 651, 655, 665(달성2차산단)(본선), 665(유가사)(주말/공휴일), 달성1(다산), 달성2(달성군청), 달성2(갈실마을회관), 달성2(용연사[옥포간경리종료]), 달성2(마비정벽화마을), 달성5(유천교)
- 대곡역(한라하우젠트) : 623, 653, 달서5, 달성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