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경훈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6번 | |||||||||||||||||||||||||||||||||||||||||||||||||||||||||||||||||||||||||||||||||||||||||||||||||||||||
| 결번 | → | 정경훈 (1990~1994) | → | 구대회 (1995) | ||||||||||||||||||||||||||||||||||||||||||||||||||||||||||||||||||||||||||||||||||||||||||||||||||||
| 한화 이글스 등번호 34번 | ||||||||||||||||||||||||||||||||||||||||||||||||||||||||||||||||||||||||||||||||||||||||||||||||||||||||
| 양용모 (1991~1993) | → | 정경훈 (1995) | → | 이영우 (1996~2004) | ||||||||||||||||||||||||||||||||||||||||||||||||||||||||||||||||||||||||||||||||||||||||||||||||||||
| 한화 이글스 등번호 1번 | ||||||||||||||||||||||||||||||||||||||||||||||||||||||||||||||||||||||||||||||||||||||||||||||||||||||||
| 지화동 (1990~1994) | → | 정경훈 (1996~1998) | → | 이상목 (1999~2002) | ||||||||||||||||||||||||||||||||||||||||||||||||||||||||||||||||||||||||||||||||||||||||||||||||||||
| 한화 이글스 등번호 7번 | ||||||||||||||||||||||||||||||||||||||||||||||||||||||||||||||||||||||||||||||||||||||||||||||||||||||||
| 신진수 (1996~1998) | → | 정경훈 (1999) | → | 백재호 (2000~2003) | ||||||||||||||||||||||||||||||||||||||||||||||||||||||||||||||||||||||||||||||||||||||||||||||||||||
| | |
| 삼성 라이온즈 시절 | |
| | |
| 경주고등학교 감독 시절 | |
| 정경훈 鄭京勳 | Kyeong-hoon Chung | |
| 출생 | 1972년 5월 22일 ([age(1972-05-22)]세) |
| 경상북도 경주시 | |
| 국적 | |
| 학력 | 경주중 - 경주고 |
| 포지션 | 유격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 1990년 고졸 연고구단 자유계약 (삼성) |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 (1990~1994) 한화 이글스 (1995~1999) |
| 지도자 | 북경수도체육학원 코치 (2001) 경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3~2018) 충남중학교 야구부 코치 (2019~2023) 충남중학교 야구부 감독 (2023~) 중국 야구 국가대표팀 타격 인스트럭터 (2002) 중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2004) |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에서 활동했던 前 야구선수이다.2. 선수 경력
경주중, 경주고 졸업 후 1990년 삼성에 입단했다. 1990년대 초에 삼성은 2루수 강기웅 - 3루수 김용국 - 유격수 류중일로 이어지는 당대 최고의 내야 수비진을 자랑했는데, 그 때에 빠른 발을 바탕으로 넓은 수비범위와 센스 있는 타격으로 전천후 내야수로 활약했다. 1994년에 류중일이 목디스크로 시즌아웃 됐을 때는 주전 유격수로 활약하기도 했다.1992년에는 37개의 도루로 도루 2위를 하는 등, 기동력이 약점으로 지적받던 20세기의 삼성에 몇 안 되는 발 빠른 선수이기도 했다. 이 때문에 붙은 별명이 매뉴팩처드 맨.[1] 사족으로 삼성 소속 선수 중 처음으로 도루왕을 차지한 건 김상수로, 2014년 53도루를 기록하며 창단 32년(...) 만에 처음으로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1994 시즌 후 정영규와 함께 이정훈, 장정순을 상대로 한화로 트레이드되었다. 한화에서 주전 유격수를 맡았고 1995 시즌 올스타전 때 홍현우의 대체 선수로 출장해[2] 4타수 3안타, 1타점, 1득점, 1도루를 기록하며 MVP를 수상, 부상으로 대우 프린스 승용차를 받았다. 그러나 이후로 성적이 하락하며 1999년 은퇴했다.
3. 은퇴 후
은퇴 후 중국으로 건너가 북경수도체육학원 야구부 코치를 맡아,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때는 중국 야구 대표팀의 타격인스트럭터를, 2004년에는 중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이후 2006년에 귀국해 성남고 수석코치로 있다가[3] 2013년 말 경주고 야구부가 재창단하면서 감독으로 선임되어 2018년까지 팀을 이끌고 김용국에게 감독직을 넘겼다. 2019년에 충남중학교 야구부 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그후 2023년 충남중학교 감독 이강돈이 정년 퇴임하면서 감독으로 선임 되었다4. 연도별 성적
| 역대 기록 |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 1990 | 삼성 | 9 | 6 | .167 | 1 | 0 | 0 | 0 | 0 | 0 | 0 |
| 1991 | 87 | 200 | .260 | 52 | 7 | 1 | 0 | 25 | 35 | 12 | |
| 1992 | 109 | 258 | .291 | 75 | 10 | 1 | 2 | 25 | 50 | 37 (2위) | |
| 1993 | 101 | 259 | .239 | 62 | 15 | 2 | 3 | 26 | 41 | 23 | |
| 1994 | 89 | 300 | .250 | 75 | 6 | 1 | 1 | 29 | 43 | 29 (5위) |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 1995 | 한화 | 89 | 222 | .212 | 47 | 7 | 2 | 2 | 16 | 33 | 37 (3위) |
| 1996 | 73 | 99 | .202 | 20 | 3 | 2 | 0 | 4 | 28 | 18 | |
| 1997 | 54 | 57 | .316 | 18 | 3 | 1 | 1 | 6 | 17 | 13 | |
| 1998 | 78 | 72 | .139 | 10 | 2 | 0 | 1 | 3 | 19 | 13 | |
| 1999 | 15 | 3 | .000 | 0 | 0 | 0 | 0 | 1 | 4 | 0 | |
| KBO 통산 (10시즌) | 704 | 1476 | .244 | 360 | 53 | 10 | 10 | 135 | 270 | 182 | |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74ca1> | 삼성 라이온즈 역대 고졸 자유계약 선수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88년 | 1989년 | 1990년 | 1991년 |
| (2명) | 김상엽 (그 외 3명) | 정경훈 이상목 김인철 이상훈 (그 외 7명) | 신동주 허삼영 전상렬 (그 외 6명) | |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
| 곽채진 이동수 전종진 | 최한경 박준혁 | (6명) | 이승엽 김승관 (그 외 4명)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