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16:02:42

전세권(연출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의 물권의 한 종류에 대한 내용은 전세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00><colcolor=#fff> 전세권
全世權 | Jeon Se-gwon
파일:전세권.jpg
출생 1939년 3월 2일
함경남도 북청군
사망 2024년 4월 14일 (향년 85세)
직업 연출가, 배우, 교수, 성우, 작가
데뷔 1958년 연극 《아리랑》
종교 천주교 (세례명: 모세)
신체 165cm | A형[1]
본관 정선 전씨
활동기간 1958년 ~ 2024년
좌우명 성실하고 바르게 살자
가족 아버지 전호준
어머니 고옥순
남동생 전권, 전인권
배우자 박옥련
장남 전인환
장녀 전인경
학력 중앙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석사)
경력 극단 신협 새드라마연구실 수석차장
극단 신협 새드라마연구실 기획국 국장
서울예술대학교 연극학과 겸임교수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강사
자유민주연합 당무위원
국민의당 고문 겸 당무위원

1. 개요2. 사망3. 약력4. 필모그래피
4.1. 연극4.2. 영화4.3. 드라마4.4. 각본4.5. 뮤지컬4.6. 소설4.7. 희곡
5. 수상 내역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연출가.

1939년 함경남도 북청군에서 태어나 경성부[2]에서 자랐다.

2. 사망

2024년 4월 14일, 투병 생활 중 향년 8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

3. 약력

  • 1958년 연극 《아리랑》으로 연극배우 데뷔
  • 1959년 영화 《유관순》에 단역 출연을 통하여 영화배우 데뷔
  • 1960년 연극 《목단등기》로 연극연출가 데뷔
  • 1962년 희곡 《스러진 그곳에서 하늘을 보라》로 극작가 등단
  • 1962년 영화 《부산댁》으로 영화 시나리오 각본가 데뷔
  • 1963년 뮤지컬 《포기와 베스》의 단역 출연을 통하여 뮤지컬배우 데뷔
  • 1964년 소설 《새우》로 소설가 등단
  • 1966년 CBS 기독교방송 라디오 7기 성우 입사
  • 1967년 TBC 동양방송 드라마 PD로 이적 입사
  •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인하여 KBS 한국방송공사 드라마 PD로 이적
  • 1988년 KBS 성탄특집 드라마 《조선백자 마리아상》의 연출 PD를 안인기(당시 KBS 예능연예오락 PD)와 공동으로 담당
  • 1993년 KBS 한국방송공사 드라마 PD 직위에서 퇴직

4. 필모그래피

4.1. 연극

  • 《아리랑》 (1958) - 최영진 역
  • 《목단등기》(1960)

4.2. 영화

  • 《유관순》(1959)
  • 《이름없는 별들》(1959)
  • 《왕자 미륵》(1959)
  • 《약혼녀》(1963)

4.3. 드라마

4.4. 각본

  • 《부산댁》(1962)
  • 《삼통 팔반 여반장》(1964)

4.5. 뮤지컬

  • 《포기와 베스》(1963) - 스키피오 역

4.6. 소설

  • 《새우》(1964)

4.7. 희곡

  • 《스러진 그곳에서 하늘을 보라》(1962)

5. 수상 내역

  • 1964 대한민국 문화공보부주관 신인예술상 작품상
  • 1965 대한민국 문화공보부주관 신인예술상 연출상
  • 1967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신인연출상
  • 1969 ~ 1980 TBC 드라마 제작상
  • 1980 ~ 1993 KBS 우수프로작품상
  • 1989 가톨릭 문화대상
  • 2008 자랑스러운 중앙대학교 명예 연합 동문상
  • 2020 이해랑연극상 특별상

[1] 출처[2]서울특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