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8px -10px" |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 '''''' | }}} | |||||||
| 급수별 배정한자 | ||||||||||
| 8급 50字 | 7급Ⅱ 100字 | 7급 150字 | 6급Ⅱ 225字 | 6급 300字 | ||||||
| 5급Ⅱ 400字 | 5급 500字 | 4급Ⅱ 750字 | 4급 1,000字 | 3급Ⅱ 1,500字 | ||||||
| 3급 1,817字 | 2급 2,355字 | 1급 3,500字 | 특급Ⅱ 4,650字 | 특급 5,978字 | ||||||
| ※어문회에서 안내하는 준특급 배정한자 4,918字는 완성형의 중복 한자 268字를 중복 집계한 잘못된 수치임. | ||||||||||
| 문제 유형 | ||||||||||
| 
 | ||||||||||
1. 개요
한국어문회 출제유형 중 약자문제에 표시되는 약자들을 모았다.- 주의. 해당 문서에는 한국어문회가 권고하는 약자만이 아니라 다른 약자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어문회 공식사이트 (학습자료 > 기타 자료 > 4페이지 > 약자) 첨부 파일에 기재된 것을 참조하길 바란다. 회차가 거듭함에 따라 기존에는 약자였던 것이 삭제되거나 포함된 약자도 있다.[1]
- 다만, 한국어문회가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門(문 문)의 중국식 간체자인 门은 경복궁 등 한국에서도 사용례가 발견되었지만 약자에 포함되진 않았다. 無도 정자보다 이렇게 쓰였던 적이 훨씬 많았음에도 반영되지 않았다. (일단 해당 문서에는 기재하였다.)
- 모바일보다는 컴퓨터로 보자. 예를 들어 旣가 모양자인 한자는 모바일에선 慨처럼 약자가 대신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iPhone의 경우는 애플이 현지화에 꽤 신경을 많이 써줬으므로 그대로 봐도 무관하다.사실 한국 IT기업들이 직무태만을 저지른 거다
- 약자에는 신자체와 같은 약자가 꽤 많이 보이니 신자체/목록도 참고하면 좋다. 그 다음으로 많이 보이는 것은 간체자와 같은 약자고, 이 둘에 해당하지 않는 약자도 있다. 그덕에 이걸 알면 일본어 공부가 수월해진다. 역으로, 자기가 일본어를 잘하면 약자 문제는 거의 날로 먹는 수준이다.
2. 목록
2.1. 8급~6급
| 본자 | 급수 | 약자 | 
| 區구분할 구 | 6급 | 区 | 
| 國나라 국 | 8급 | 国 | 
| 氣기운 기 | 7급II | 気 | 
| 對대할 대 | 6급II | 対 | 
| 圖그림 도 | 6급II | 図 | 
| 讀읽을 독 | 6급II | 読 | 
| 樂즐길 락 | 6급II | 楽 | 
| 來올 래 | 7급 | 来 | 
| 禮예도 례 | 6급 | 礼 | 
| 萬일만 만 | 8급 | 万 | 
| 發필 발 | 6급II | 発 | 
| 數셈 수 | 7급 | 数 | 
| 藥약 약 | 6급II | 薬 | 
| 溫따뜻할 온 | 6급 | 温 | 
| 遠멀 원 | 6급 | 逺 | 
| 醫의원 의 | 6급 | 医 | 
| 者놈 자 | 6급 | 者[2] | 
| 戰싸움 전 | 6급II | 战[中], 戦[日] | 
| 定정할 정 | 6급 | 㝎 | 
| 晝낮 주 | 6급 | 昼 | 
| 體몸 체 | 6급II | 体 | 
| 學배울 학 | 8급 | 学 | 
| 號부르짖을 호 | 6급 | 号 | 
| 畫그림 화 | 6급 | 画 | 
| 會모일 회 | 6급II | 会 | 
2.2. 5급~3급
2.2.1. ㄱ
| 假 거짓 가 | 4급II | 仮[5] | 
| 價 값 가 | 5급II | 価 | 
| 覺 깨달을 각 | 4급 | 覚 | 
| 鑑 거울 감 | 3급II |  | 
| 監 볼 감 | 4급II | 监 | 
| 減 덜 감 | 4급II | 减 | 
| 慨 슬퍼할 개 | 3급 | 慨 | 
| 槪 대개 개 | 3급II | 概 | 
| 蓋 덮을 개 | 3급II | 盖 | 
| 個 낱 개 | 4급II | 个 | 
| 據 근거 거 | 4급 | 拠 | 
| 擧 들 거 | 5급 | 舉, 挙[日] | 
| 劍 칼 검 | 3급II | 剣 | 
| 儉 검소할 검 | 4급 | 倹 | 
| 檢 검사할 검 | 4급II | 検 | 
| 擊 칠 격 | 4급 | 撃 | 
| 堅 굳을 견 | 4급 | 坚 | 
| 缺 이지러질 결 | 4급II | 欠[7] | 
| 徑 지름길 경 | 3급II | 径 | 
| 經 지날 경 | 4급II | 経 | 
| 輕 가벼울 경 | 5급 | 軽 | 
| 繫 맬 계 | 3급 | 繋 | 
| 溪 시내 계 | 3급II | 渓 | 
| 繼 이을 계 | 4급 | 継 | 
| 穀 곡식 곡 | 4급 | 榖 | 
| 寬 너그러울 관 | 3급II | 寛 | 
| 館 집 관 | 3급II | 舘 | 
| 觀 볼 관 | 5급II | 覌, 観[日], 𣁐[9] | 
| 關 관계할 관 | 5급II | 関 | 
| 鑛 쇳돌 광 | 4급 | 鉱 | 
| 廣 넓을 광 | 5급II | 広 | 
| 壞 무너질 괴 | 3급II | 壊 | 
| 龜 거북 구 | 3급 | 亀 | 
| 句 글귀 구 | 4급II | 勾[10] | 
| 舊 예 구 | 5급II | 旧 | 
| 勸 권할 권 | 4급 | 劝[中], 勧[日] | 
| 權 권세 권 | 4급II | 权[中], 権[日] | 
| 歸 돌아갈 귀 | 4급 | 帰 | 
| 旣 이미 기 | 3급 | 既 | 
| 棄 버릴 기 | 3급 | 弃 | 
| 器 그릇 기 | 4급II | 器[日] | 
| 緊 긴할 긴 | 3급II | 紧 | 
2.2.2. ㄴ
| 寧 편안 녕 | 3급II | 寍, 寜 | 
| 惱 번뇌할 뇌 | 3급 | 悩 | 
| 腦 골 뇌 | 3급II | 脳 | 
2.2.3. ㄷ
| 斷 끊을 단 | 4급II | 断[中][日] | 
| 單 홑 단 | 4급II | 単 | 
| 團 둥글 단 | 5급II | 団 | 
| 擔 멜 담 | 4급II | 担 | 
| 黨 무리 당 | 4급II | 党 | 
| 當 마땅 당 | 5급II | 当 | 
| 臺 대 대 | 3급II | 台[中][日][20], 䑓[21] | 
| 德 큰 덕 | 5급II | 徳[22] | 
| 獨 홀로 독 | 5급II | 独 | 
| 燈 등 등 | 4급II | 灯 | 
2.2.4. ㄹ
| 亂 어지러울 란 | 4급 | 乱 | 
| 濫 넘칠 람 | 3급 | 滥 | 
| 覽 볼 람 | 4급 | 覧[日], | 
| 涼 서늘할 량 | 3급II | 凉 | 
| 兩 두 량 | 4급II | 両 | 
| 勵 힘쓸 려 | 3급II | 励 | 
| 麗 고울 려 | 4급II | 䴡 | 
| 戀 그리워할 련 | 3급II | 恋 | 
| 聯 연이을 련 | 3급II | 联 | 
| 鍊 쇠불릴 련 | 3급II | 錬 | 
| 練 익힐 련 | 5급II | 練 | 
| 獵 사냥 렵 | 3급 | 猟 | 
| 靈 신령 령 | 3급II | 霊[日], 灵[中] | 
| 爐 화로 로 | 3급II | 炉 | 
| 勞 일할 로 | 5급II | 労 | 
| 錄 기록할 록 | 4급II | 録 | 
| 龍 용 룡 | 4급 | 竜 | 
| 淚 눈물 루 | 3급 | 涙 | 
| 樓 다락 루 | 3급II | 楼 | 
| 離 떠날 리 | 4급 | 𮥷[26] | 
| 臨 임할 림 | 3급II | 临 | 
2.2.5. ㅁ
| 滿 찰 만 | 4급II | 満 | 
| 賣 팔 매 | 5급 | 売 | 
| 麥 보리 맥 | 3급II | 麦 | 
| 貌 모양 모 | 3급II | 皃 | 
| 夢 꿈 몽 | 3급II | 梦 | 
| 廟 사당 묘 | 3급 | 庙[中], 庿 | 
| 無 없을 무 | 5급 |  | 
| 默 잠잠할 묵 | 3급II | 黙 | 
| 墨 먹 묵 | 3급II | 墨 | 
2.2.6. ㅂ
| 迫 핍박할 박 | 3급II | 廹 | 
| 輩 무리 배 | 3급II | 軰[28] | 
| 拜 절 배 | 4급II | 拝 | 
| 繁 번성할 번 | 3급II | 繁[29] | 
| 邊 가 변 | 4급II | 辺[日], 边[中] | 
| 變 변할 변 | 5급II | 変[32] | 
| 屛 병풍 병 | 3급 | 屏 | 
| 竝 나란히 병 | 3급 | 並 | 
| 寶 보배 보 | 4급II | 宝 | 
| 富 부자 부 | 4급II | 冨 | 
| 拂 떨칠 불 | 3급II | 払 | 
| 佛 부처 불 | 4급II | 仏 | 
2.2.7. ㅅ
| 辭 말씀 사 | 4급 | 辞 | 
| 絲 실 사 | 4급 | 糸 | 
| 師 스승 사 | 4급II | 师 | 
| 寫 베낄 사 | 5급 | 㝍, 写[中][日] | 
| 殺 죽일 살 | 4급II | 殺[35] | 
| 嘗 맛볼 상 | 3급 | 甞 | 
| 桑 뽕나무 상 | 3급II | 桒 | 
| 狀 형상 상 | 4급II | 状 | 
| 敍 펼 서 | 3급 | 叙 | 
| 緖 실마리 서 | 3급II | 緒 | 
| 釋 풀 석 | 3급II | 釈 | 
| 船 배 선 | 5급 | 舩 | 
| 禪 선 선 | 3급II | 禅 | 
| 攝 다스릴 섭 | 3급 | 摂 | 
| 涉 건널 섭 | 3급 | 渉 | 
| 聲 소리 성 | 4급II | 声 | 
| 歲 해 세 | 5급II | 嵗, 岁[中] | 
| 燒 사를 소 | 3급II | 焼 | 
| 屬 붙일 속 | 4급 | 属 | 
| 續 이을 속 | 4급II | 続 | 
| 搜 찾을 수 | 3급 | 捜 | 
| 壽 목숨 수 | 3급II | 寿 | 
| 獸 짐승 수 | 3급II | 獣 | 
| 隨 따를 수 | 3급II | 随 | 
| 帥 장수 수 | 3급II | 帅 | 
| 收 거둘 수 | 4급II | 収 | 
| 肅 엄숙할 숙 | 4급 | 粛[日], 𬎾[38] | 
| 濕 젖을 습 | 3급II | 湿 | 
| 乘 탈 승 | 3급II | 乗 | 
| 實 열매 실 | 5급II | 実 | 
| 雙 두 쌍 | 3급II | 双 | 
2.2.8. ㅇ
| 亞 버금 아 | 3급II | 亜 | 
| 兒 아이 아 | 5급II | 児 | 
| 惡 악할 악 | 5급II | 悪 | 
| 巖 바위 암 | 3급II | 岩 | 
| 壓 누를 압 | 4급II | 圧 | 
| 壤 흙덩이 양 | 3급II | 壌 | 
| 讓 사양할 양 | 3급II | 譲 | 
| 嚴 엄할 엄 | 4급 | 厳 | 
| 與 더불 여 | 4급 | 与 | 
| 餘 남을 여 | 4급II | 余[39] | 
| 譯 번역할 역 | 3급II | 訳 | 
| 驛 역 역 | 3급II | 駅 | 
| 鉛 납 연 | 4급 | 鈆 | 
| 硏 갈 연 | 4급II | 研 | 
| 鹽 소금 염 | 3급II | 塩 | 
| 營 경영할 영 | 4급 | 営 | 
| 榮 영화 영 | 4급II | 栄 | 
| 譽 기릴 예 | 3급II | 誉 | 
| 豫 미리 예 | 4급 | 予[40] | 
| 藝 재주 예 | 4급II | 兿, 芸[日][42] | 
| 遙 멀 요 | 3급 | 遥 | 
| 搖 흔들 요 | 3급 | 揺 | 
| 員 인원 원 | 4급II | 貟 | 
| 圍 에워쌀 위 | 4급 | 囲 | 
| 僞 거짓 위 | 3급II | 偽 | 
| 爲 하 위 | 4급II | 為 | 
| 隱 숨을 은 | 4급 | 隐[中], 隠[日] | 
| 應 응할 응 | 4급II | 応 | 
| 宜 마땅할 의 | 3급 | 冝 | 
| 逸 편안할 일 | 3급 | 逸 | 
2.2.9. ㅈ
| 殘 남을 잔 | 4급 | 残 | 
| 雜 섞일 잡 | 4급 | 雑 | 
| 臟 오장 장 | 3급II | 臓 | 
| 藏 감출 장 | 3급II | 蔵 | 
| 莊 씩씩할 장 | 3급II | 荘 | 
| 壯 장할 장 | 4급 | 壮 | 
| 奬 장려할 장 | 4급 | 奨 | 
| 裝 꾸밀 장 | 4급 | 装 | 
| 將 장수 장 | 4급II | 将 | 
| 哉 어조사 재 | 3급 | 㦲 | 
| 爭 다툴 쟁 | 5급 | 争 | 
| 轉 구를 전 | 4급 | 転 | 
| 專 오로지 전 | 4급 | 専 | 
| 傳 전할 전 | 5급II | 伝 | 
| 錢 돈 전 | 4급 | 銭 | 
| 竊 훔칠 절 | 3급 | 窃 | 
| 節 마디 절 | 5급II | 節 | 
| 點 점 점 | 4급 | 奌, 点[中][日] | 
| 淨 깨끗할 정 | 3급II | 浄 | 
| 靜 고요할 정 | 4급 | 静 | 
| 齊 가지런할 제 | 3급II | 斉 | 
| 濟 건널 제 | 4급II | 済 | 
| 條 가지 조 | 4급 | 条 | 
| 卒 마칠 졸 | 5급II | 卆 | 
| 縱 세로 종 | 3급II | 縦 | 
| 從 좇을 종 | 4급 | 従[日], 从[中] | 
| 鑄 쇠불릴 주 | 3급II | 鋳 | 
| 準 준할 준 | 4급II | 凖[49] | 
| 卽 곧 즉 | 3급II | 即 | 
| 曾 일찍 증 | 3급II | 曽 | 
| 蒸 찔 증 | 3급II | 䒱 | 
| 證 증거 증 | 4급 | 証 | 
| 增 더할 증 | 4급II | 増 | 
| 遲 더딜 지 | 3급 | 遅 | 
| 盡 다할 진 | 4급 | 尽 | 
| 珍 보배 진 | 4급 | 珎 | 
| 質 바탕 질 | 5급II | 貭 | 
| 徵 부를 징 | 3급II | 徴 | 
2.2.10. ㅊ
| 贊 도울 찬 | 3급II | 賛 | 
| 讚 기릴 찬 | 4급 | 讃 | 
| 慘 참혹할 참 | 3급 | 惨 | 
| 參 참여할 참 | 5급II | 参 | 
| 處 곳 처 | 4급II | 処 | 
| 淺 얕을 천 | 3급II | 浅 | 
| 賤 천할 천 | 3급II | 賎 | 
| 踐 밟을 천 | 3급II | 践 | 
| 遷 옮길 천 | 3급II | 迁 | 
| 鐵 쇠 철 | 5급 | 鉄 | 
| 聽 들을 청 | 4급 | 聴 | 
| 廳 관청 청 | 4급 | 庁 | 
| 遞 갈릴 체 | 3급 | 逓 | 
| 觸 닿을 촉 | 3급II | 触 | 
| 聰 귀밝을 총 | 3급 | 聦, 聡[日] | 
| 總 다 총 | 4급II | 緫, 総[日] | 
| 蟲 벌레 충 | 4급Ii | 虫 | 
| 醉 취할 취 | 3급II | 酔 | 
| 齒 이 치 | 4급II | 歯 | 
| 稱 일컬을 칭 | 4급 | 称 | 
2.2.11. ㅌ
| 墮 떨어질 타 | 3급 | 堕 | 
| 彈 탄알 탄 | 4급 | 弾 | 
| 澤 못 택 | 3급II | 沢 | 
| 擇 가릴 택 | 4급 | 択 | 
| 兔 토끼 토 | 3급II | 兎 | 
2.2.12. ㅍ
| 廢 폐할 폐 | 3급II | 廃 | 
2.2.13. ㅎ
| 陷 빠질 함 | 3급II | 陥 | 
| 虛 빌 허 | 4급II | 虚 | 
| 獻 드릴 헌 | 3급II | 献 | 
| 險 험할 험 | 4급 | 険 | 
| 驗 시험 험 | 4급II | 験 | 
| 縣 고을 현 | 3급 | 県 | 
| 顯 나타날 현 | 4급 | 顕 | 
| 賢 어질 현 | 4급II | 䝨 | 
| 螢 반딧불 형 | 3급 | 蛍 | 
| 惠 은혜 혜 | 4급II | 恵 | 
| 擴 넓힐 확 | 3급 | 拡 | 
| 歡 기쁠 환 | 4급 | 欢[中], 歓[日] | 
| 鄕 시골 향 | 4급II | 郷 | 
| 懷 품을 회 | 3급II | 懐 | 
| 曉 새벽 효 | 3급 | 暁 | 
| 效 본받을 효 | 5급II | 効 | 
| 黑 검을 흑 | 5급 | 黒 | 
| 興 일 흥 | 4급II | 兴 | 
| 戲 놀이 희 | 3급II | 戱, 戯 | 
2.3. 2급~1급
| 殼 껍질 각 | 1급 | 殻 | 
| 箇 낱 개 | 1급 | 個, 个 | 
| 漑 물댈 개 | 1급 | 溉 | 
| 莖 줄기 경 | 1급 | 茎 | 
| 廐 마구간 구 | 1급 | 厩 | 
| 歐 구라파 구 | 2급 | 欧 | 
| 鷗 갈매기 구 | 2급 | 鴎 | 
| 膽 쓸개 담 | 2급 | 胆 | 
| 擡 들 대 | 1급 | 抬 | 
| 燾 비칠 도 | 2급 | 焘 | 
| 鸞 난새 란 | 1급 | 鵉 | 
| 籃 대바구니 람 | 1급 | 篮 | 
| 藍 쪽 람 | 2급 | 蓝 | 
| 蠟 밀 랍 | 1급 | 蝋 | 
| 輛 수레 량 | 2급 | 輌 | 
| 廬 농막집 려 | 2급 | 庐 | 
| 齡 나이 령 | 1급 | 齢 | 
| 蘆 갈대 로 | 2급 | 芦 | 
| 籠 대바구니 롱 | 2급 | 篭 | 
| 壘 보루 루 | 1급 | 塁 | 
| 灣 물굽이 만 | 2급 | 湾 | 
| 蠻 오랑캐 만 | 2급 | 蛮 | 
| 彌 미륵 미 | 2급 | 弥 | 
| 倂 아우를 병 | 2급 | 併 | 
| 敷 펼 부 | 2급 | 旉 | 
| 濱 물가 빈 | 1급 | 浜[54] | 
| 滲 스밀 삼 | 1급 | 渗 | 
| 揷 꽂을 삽 | 2급 | 挿 | 
| 澁 떫을 삽 | 1급 | 渋 | 
| 璽 도장 새 | 1급 | 壐[55] | 
| 纖 가늘 섬 | 2급 | 繊 | 
| 燮 불꽃 섭 | 2급 | 变[56] | 
| 粹 순수할 수 | 1급 | 粋 | 
| 穗 이삭 수 | 1급 | 穂 | 
| 髓 골수 수 | 1급 | 髄 | 
| 繡 수놓을 수 | 1급 | 繍 | 
| 繩 노끈 승 | 2급 | 縄 | 
| 腎 콩팥 신 | 2급 | 肾 | 
| 啞 벙어리 아 | 1급 | 唖 | 
| 礙 거리낄 애 | 2급 | 碍 | 
| 釀 술빚을 양 | 1급 | 醸 | 
| 孃 아가씨 양 | 2급 | 嬢 | 
| 淵 못 연 | 2급 | 渊, 𫞘[57] | 
| 姸 예쁠 연 | 2급 | 妍 | 
| 穩 편안할 온 | 2급 | 稳, 穏 | 
| 堯 요임금 요 | 2급 | 尭 | 
| 鬱 답답할 울 | 2급 | 欎, 㭗 | 
| 爾 너 이 | 1급 | 尓 | 
| 貳 두 이 | 2급 | 弐, 弍 | 
| 壹 한 일 | 2급 | 壱 | 
| 棧 사다리 잔 | 1급 | 栈 | 
| 蠶 누에 잠 | 2급 | 蚕 | 
| 醬 장 장 | 1급 | 醤 | 
| 蔣 성 장 | 2급 | 蒋 | 
| 豬 돼지 저 | 1급 | 猪 | 
| 劑 약제 제 | 2급 | 剤 | 
| 慫 권할 종 | 1급 | 怂 | 
| 瓚 옥잔 찬 | 2급 | 瓉 | 
| 鑽 뚫을 찬 | 2급 | 鑚 | 
| 疊 겹칠 첩 | 1급 | 畳 | 
| 囑 부탁할 촉 | 1급 | 嘱 | 
| 沖 화할 충 | 2급 | 冲 | 
| 癡 어리석을 치 | 1급 | 痴 | 
| 兌 바꿀 태 | 2급 | 兊 | 
| 霸 으뜸 패 | 2급 | 覇 | 
| 鹹 짤 함 | 1급 | 醎 | 
| 銜 재갈 함 | 1급 | 啣 | 
| 艦 싸움배 함 | 2급 |  | 
| 噓 불 허 | 1급 | 嘘 | 
| 俠 의기로울 협 | 1급 | 侠 | 
| 挾 낄 협 | 1급 | 挟 | 
| 狹 좁을 협 | 1급 | 狭 | 
| 頰 뺨 협 | 1급 | 頬 | 
| 峽 골짜기 협 | 2급 | 峡 | 
| 陜 좁을 협[58] | 2급 | 陕[59] | 
| 繪 그릴 회 | 1급 | 絵 | 
| 膾 회 회 | 1급 | 脍 | 
| 勳 공 훈 | 2급 | 勲 | 
[1] 특히 준특급과 특급에 대한 약자도 있지만 해당 문서에는 1급까지만 기재되어있다.[2] 점 하나가 빠진다[中] 간체자에도 있는 자형[日] 신자체에도 있는 자형[5] 이 때문에 약자를 만들 때 叚→反으로 치환하면 되는 줄 안 일부 사람들이 한때 暇(겨를 가)의 약자가 昄라는 거짓 정보를 퍼뜨린 적이 있으나, 昄은 '클 판'이라는 별개의 특급 한자이다.[日] [7] 1급에 '하품 흠'이라는 별개의 한자로 등재되어 있다.[日] [9] ![파일:⿰文見.svg]() [10] 준특급에 "굽을 구"로 따로 등장한다. 중국어에서도 句와 勾를 구별한다.[中] [日] [中] [日] [日] [中] 간체자[日] [中] 간체자[日] [20] 2급에 '별 태'로도 등재되어 있다. 또한 어문회 자료에는 없지만 颱(태풍 태)의 약자로도 사용한다.[21] 台는 颱의 약자이기도 한데 2급이라서 뺐다.[22] 心 위의 선이 빠졌다.[日] [日] [中] [26]
[10] 준특급에 "굽을 구"로 따로 등장한다. 중국어에서도 句와 勾를 구별한다.[中] [日] [中] [日] [日] [中] 간체자[日] [中] 간체자[日] [20] 2급에 '별 태'로도 등재되어 있다. 또한 어문회 자료에는 없지만 颱(태풍 태)의 약자로도 사용한다.[21] 台는 颱의 약자이기도 한데 2급이라서 뺐다.[22] 心 위의 선이 빠졌다.[日] [日] [中] [26] ![파일:⿰文隹.svg]() [中] [28] 非가 北으로 바뀌었다.[29] 母가 毋로 바뀌었다.[日] [中] [32] 攵도 夊로 바뀐다[中] [日] [35] 점이 빠졌다.[中] [日] [38]
[中] [28] 非가 北으로 바뀌었다.[29] 母가 毋로 바뀌었다.[日] [中] [32] 攵도 夊로 바뀐다[中] [日] [35] 점이 빠졌다.[中] [日] [38] ![파일:⿻肀月.svg]() [39] 3급에 '나 여'라는 별개의 한자로 등재되어 있다.[40] 3급에 '나 여'라는 별개의 한자로 등재되어 있다.[日] [42] 2급에 '향풀 운'이라는 별개의 한자로 등재되어 있다.[中] [日] [中] [日] [日] [中] [49] 점 하나가 줄었다.[日] [日] [中] [日] [54] 본래는 '선거(船渠) 병'이라는 한자이다. 요코하마(横浜)에 이 한자를 쓴다.[55] 玺로도 쓰지만 공식 약자는 아니며, 오히려 중국에서 간체자로 쓰인다.[56] 중국에서는 變의 간체자로 쓴다.[57]
[39] 3급에 '나 여'라는 별개의 한자로 등재되어 있다.[40] 3급에 '나 여'라는 별개의 한자로 등재되어 있다.[日] [42] 2급에 '향풀 운'이라는 별개의 한자로 등재되어 있다.[中] [日] [中] [日] [日] [中] [49] 점 하나가 줄었다.[日] [日] [中] [日] [54] 본래는 '선거(船渠) 병'이라는 한자이다. 요코하마(横浜)에 이 한자를 쓴다.[55] 玺로도 쓰지만 공식 약자는 아니며, 오히려 중국에서 간체자로 쓰인다.[56] 중국에서는 變의 간체자로 쓴다.[57] ![파일:淵의약자.png]() [58] '합'으로도 읽힌다.[59] 중국에서는 陝(땅 이름 섬)의 간체자로 쓴다.
[58] '합'으로도 읽힌다.[59] 중국에서는 陝(땅 이름 섬)의 간체자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