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8px -10px" |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 '''''' | }}} | |||||||
| 급수별 배정한자 | ||||||||||
| 8급 50字 | 7급Ⅱ 100字 | 7급 150字 | 6급Ⅱ 225字 | 6급 300字 | ||||||
| 5급Ⅱ 400字 | 5급 500字 | 4급Ⅱ 750字 | 4급 1,000字 | 3급Ⅱ 1,500字 | ||||||
| 3급 1,817字 | 2급 2,355字 | 1급 3,500字 | 특급Ⅱ 4,650字 | 특급 5,978字 | ||||||
| ※어문회에서 안내하는 준특급 배정한자 4,918字는 완성형의 중복 한자 268字를 중복 집계한 잘못된 수치임. | ||||||||||
| 문제 유형 | ||||||||||
| ||||||||||
1. 개요
한국어문회 출제유형 중 상대자 문제에 표시되는 한자를 서로 나열했다.- 이 문제 형식이 객관식이었다면 꼭 이 문서를 쓸 필요는 없었으나, 주관식으로 나오기에 쓰게 되었다.
- 그냥 반대 되기만 해서는 안되고 하나의 단어로도 될 수 있어야 한다.
2. 목록
| 한자1 | ↔ | 한자2 | → | 단어 | 비고 |
2.1. 초급 ~ 중급
2.1.1. ㄱ
| 加 더할 가 | ↔ | 減 덜 감 | → | 가감 | |
| 除 덜 제 | → | 가제 | |||
| 可 옳을 가 | ↔ | 否 아닐 부 | → | 가부 | |
| 干 막을 간 | ↔ | 滿 찰 만 | → | 간만 | |
| 簡 대쪽 간 | ↔ | 細 가늘 세 | → | 간세 | |
| 甘 달 감 | ↔ | 苦 쓸 고 | → | 감고 | |
| 江 강 강 | ↔ | 山 산 산 | → | 강산 | |
| 強 강할 강 | ↔ | 弱 약할 약 | → | 강약 | |
| 剛 굳셀 강 | ↔ | 柔 부드러울 유 | → | 강유 | |
| 開 열 개 | ↔ | 閉 닫을 폐 | → | 개폐 | |
| 去 갈 거 | ↔ | 來 올 래 | → | 거래 | |
| 留 머무를 류 | → | 거류 | |||
| 巨 클 거 | ↔ | 細 가늘 세 | → | 거세 | |
| 乾 하늘 건 | ↔ | 坤 땅 곤 | → | 건곤 | |
| 乾 마를 건 | ↔ | 濕 젖을 습 | → | 건습 | |
| 硬 굳을 경 | ↔ | 軟 연할 연 | → | 경연 | |
| 經 지날 경 | ↔ | 緯 씨 위 | → | 경위 | |
| 慶 경사 경 | ↔ | 弔 조상할 조 | → | 경조 | |
| 輕 가벼울 경 | ↔ | 重 무거울 중 | → | 경중 | |
| 京 서울 경 | ↔ | 鄕 시골 향 | → | 경향 | |
| 繼 이을 계 | ↔ | 絶 끊을 절 | → | 계절 | |
| 啓 열 계 | ↔ | 閉 닫을 폐 | → | 계폐 | |
| 古 예 고 | ↔ | 今 이제 금 | → | 고금 | |
| 苦 쓸 고 | ↔ | 樂 즐길 락 | → | 고락 | |
| 姑 시어미 고 | ↔ | 婦 아내 부 | → | 고부 | |
| 高 높을 고 | ↔ | 卑 낮을 비 | → | 고비 | |
| 低 낮을 저 | → | 고저 | |||
| 下 아래 하 | → | 고하 | |||
| 曲 굽을 곡 | ↔ | 直 곧을 직 | → | 곡직 | |
| 功 공 공 | ↔ | 過 허물 과 | → | 공과 | |
| 罪 허물 죄 | → | 공죄 | |||
| 空 빌 공 | ↔ | 陸 뭍 륙 | → | 공륙 | |
| 公 공평할 공 | ↔ | 私 사사 사 | → | 공사 | |
| 供 이바지할 공 | ↔ | 需 쓰일 수 | → | 공수 | |
| 攻 칠 공 | ↔ | 防 막을 방 | → | 공방 | |
| 守 지킬 수 | → | 공수 | |||
| 官 벼슬 관 | ↔ | 民 백성 민 | → | 관민 | |
| 寬 너그러울 관 | ↔ | 猛 사나울 맹 | → | 관맹 | |
| 光 빛 광 | ↔ | 陰 그늘 음 | → | 광음 | |
| 敎 가르칠 교 | ↔ | 習 익힐 습 | → | 교습 | |
| 學 배울 학 | → | 교학 | |||
| 巧 공교로울 교 | ↔ | 拙 졸할 졸 | → | 교졸 | |
| 君 임금 군 | ↔ | 民 백성 민 | → | 군민 | |
| 臣 신하 신 | → | 군신 | |||
| 屈 굽힐 굴 | ↔ | 伸 펼 신 | → | 굴신 | |
| 弓 활 궁 | ↔ | 矢 화살 시 | → | 궁시 | |
| 貴 귀할 귀 | ↔ | 賤 천할 천 | → | 귀천 | |
| 勤 부지런할 근 | ↔ | 慢 게으를 만 | → | 근만 | |
| 怠 게으를 태 | → | 근태 | |||
| 今 이제 금 | ↔ | 昔 예 석 | → | 금석 | |
| 及 미칠 급 | ↔ | 落 떨어질 락 | → | 급락 | |
| 起 일어날 기 | ↔ | 結 맺을 결 | → | 기결 | |
| 伏 엎드릴 복 | → | 기복 | '감정기복이 심하다' 할 때 그 기복이다 | ||
| 臥 누울 와 | → | 기와 | |||
| 陷 빠질 함 | → | 기함 | |||
| 飢 주릴 기 | ↔ | 飽 배부를 포 | → | 기포 | |
| 吉 길할 길 | ↔ | 凶 흉할 흉 | → | 길흉 |
2.1.2. ㄴ
| 諾 허락할 낙 | ↔ | 否 아닐 부 | → | 낙부 | |
| 難 어려울 난 | ↔ | 易 쉬울 이 | → | 난이 | |
| 男 사내 남 | ↔ | 女 계집 녀 | → | 남녀 | |
| 南 남녘 남 | ↔ | 北 북녘 북 | → | 남북 | |
| 冷 찰 랭 | ↔ | 暖 따뜻할 난 | → | 냉난 | |
| 熱 더울 열 | → | 냉열 | |||
| 溫 따뜻할 온 | → | 냉온 | |||
| 內 안 내 | ↔ | 外 바깥 외 | → | 내외 | |
| 奴 종 노 | ↔ | 婢 계집종 비 | → | 노비 | |
| 勞 일할 로 | ↔ | 使 부릴 사 | → | 노사 | |
| 老 늙을 로 | ↔ | 少 적을 소 | → | 노소 | |
| 幼 어릴 유 | → | 노유 | |||
| 童 아이 동 | → | 노동 |
2.1.3. ㄷ
| 多 많을 다 | ↔ | 寡 적을 과 | → | 다과 | |
| 少 적을 소 | → | 다소 | |||
| 單 홑 단 | ↔ | 複 겹칠 복 | → | 단복 | |
| 旦 아침 단 | ↔ | 夕 저녁 석 | → | 단석 | |
| 斷 끊을 단 | ↔ | 續 이을 속 | → | 단속 | |
| 當 마땅 당 | ↔ | 落 떨어질 락 | → | 당락 | |
| 否 아닐 부 | → | 당부 | |||
| 都 도읍 도 | ↔ | 農 농사 농 | → | 도농 | |
| 東 동녘 동 | ↔ | 西 서녘 서 | → | 동서 | |
| 同 한가지 동 | ↔ | 異 다를 이 | → | 동이 | |
| 動 움직일 동 | ↔ | 靜 고요할 정 | → | 동정 | |
| 止 그칠 지 | → | 동지 | |||
| 冬 겨울 동 | ↔ | 夏 여름 하 | → | 동하 | |
| 鈍 둔할 둔 | ↔ | 敏 민첩할 민 | → | 둔민 | |
| 得 얻을 득 | ↔ | 失 잃을 실 | → | 득실 | |
| 騰 오를 등 | ↔ | 落 떨어질 락 | → | 등락 | |
| 登 오를 등 | . | ||||
| ↔ | 降 내릴 강 | → | 등강 |
2.1.4. ㄹ
없음2.1.5. ㅁ
| 賣 팔 매 | ↔ | 買 살 매 | → | 매매 | |
| 明 밝을 명 | ↔ | 滅 멸할 멸 | → | 명멸 | |
| 暗 어두울 암 | → | 명암 | |||
| 母 어미 모 | ↔ | 子 아들 자 | → | 모자 | |
| 問 물을 문 | ↔ | 答 대답할 답 | → | 문답 | |
| 文 글월 문 | ↔ | 言 말씀 언 | → | 문언 | |
| 武 호반 무 | → | 문무 | |||
| 物 물건 물 | ↔ | 心 마음 심 | → | 물심 | |
| 美 아름다울 미 | ↔ | 醜 추할 추 | → | 미추 |
2.1.6. ㅂ
| 班 나눌 반 | ↔ | 常 항상 상 | → | 반상 | |
| 發 필 발 | ↔ | 着 붙을 착 | → | 발착 | |
| 方 모 방 | ↔ | 圓 둥글 원 | → | 방원 | |
| 背 등 배 | ↔ | 向 향할 향 | → | 배향 | |
| 煩 번거로울 번 | ↔ | 簡 대쪽 간 | → | 번간 | |
| 腹 배 복 | ↔ | 背 등 배 | → | 복배 | |
| 本 근본 본 | ↔ | 末 끝 말 | → | 본말 | |
| 父 아비 부 | ↔ | 婦 아내 부 | → | 부부 | |
| 夫 지아비 부 | ↔ | . | |||
| 妻 아내 처 | → | 부처 | |||
| 浮 뜰 부 | ↔ | 沈 잠길 침 | → | 부침 | |
| 分 나눌 분 | ↔ | 合 합할 합 | → | 분합 | |
| 悲 슬플 비 | ↔ | 樂 즐길 락 | → | 비락 | |
| 哀 슬플 애 | → | 비애 | |||
| 歡 기뻐할 환 | → | 비환 | |||
| 貧 가난할 빈 | ↔ | 富 부자 부 | → | 빈부 | |
| 賓 손 빈 | ↔ | 主 주인 주 | → | 빈주 | |
| 氷 얼음 빙 | ↔ | 炭 숯 탄 | → | 빙탄 |
2.1.7. ㅅ
| 士 선비 사 | ↔ | 民 백성 민 | → | 사민 | |
| 死 죽을 사 | ↔ | 生 날 생 | → | 사생 | |
| 活 살 활 | → | 사활 | |||
| 邪 간사할 사 | ↔ | 正 바를 정 | → | 사정 | |
| 師 스승 사 | ↔ | 弟 아우 제 | → | 사제 | |
| 朔 초하루 삭 | ↔ | 望 바랄 망 | → | 삭망 | |
| 山 뫼 산 | ↔ | 川 내 천 | → | 산천 | |
| 河 물 하 | → | 산하 | |||
| 海 바다 해 | → | 산해 | |||
| 殺 죽일 살 | ↔ | 活 살 활 | → | 살활 | |
| 詳 자세할 상 | ↔ | 略 간략할 략 | → | 상략 | |
| 常 항상 상 | ↔ | 班 나눌 반 | → | 상반 | |
| 賞 상줄 상 | ↔ | 罰 벌할 벌 | → | 상벌 | |
| 生 살 생 | ↔ | 滅 멸할 멸 | → | 생멸 | |
| 沒 빠질 몰 | → | 생몰 | |||
| 死 죽을 사 | → | 생사 | |||
| 殺 죽일 살 | → | 생살 | |||
| 上 위 상 | ↔ | 下 아래 하 | → | 상하 | |
| 暑 더울 서 | ↔ | 寒 찰 한 | → | 서한 | |
| 善 착할 선 | ↔ | 惡 악할 악 | → | 선악 | |
| 先 먼저 선 | ↔ | 後 뒤 후 | → | 선후 | |
| 盛 성할 성 | ↔ | 衰 쇠할 쇠 | → | 성쇠 | |
| 成 이룰 성 | ↔ | 敗 패할 패 | → | 성패 | |
| 細 가늘 세 | ↔ | 大 큰 대 | → | 세대 | |
| 疏 소통할 소 | ↔ | 密 빽빽할 밀 | → | 소밀 | |
| 損 덜 손 | ↔ | 益 더할 익 | → | 손익 | |
| 得 얻을 득 | → | 손득 | |||
| 送 보낼 송 | ↔ | 受 받을 수 | → | 송수 | |
| 迎 맞을 영 | → | 송영 | |||
| 需 쓰일 수 | ↔ | 給 줄 급 | → | 수급 | |
| 水 물 수 | ↔ | 陸 뭍 륙 | → | 수륙 | |
| 火 불 화 | → | 수화 | |||
| 首 머리 수 | ↔ | 尾 꼬리 미 | → | 수미 | |
| 受 받을 수 | ↔ | 與 줄 여 | → | 수여 | |
| 給 줄 급 | → | 수급 | |||
| 拂 떨칠 불 | → | 수불 | |||
| 授 줄 수 | ↔ | 受 받을 수 | → | 수수 | |
| 手 손 수 | ↔ | 足 발 족 | → | 수족 | |
| 收 거둘 수 | ↔ | 支 지탱할 지 | → | 수지 | |
| 給 줄급 | → | 수급 | |||
| 叔 아재비 숙 | ↔ | 姪 조카 질 | → | 숙질 | |
| 順 순할 순 | ↔ | 逆 거스를 역 | → | 순역 | |
| 昇 오를 승 | ↔ | 降 내릴 강 | → | 승강 | |
| 勝 이길 승 | ↔ | 負 질 부 | → | 승부 | |
| 敗 패할 패 | → | 승패 | |||
| 乘 탈 승 | ↔ | 降 내릴 강 | → | 승강 | |
| 除 덜 제 | → | 승제 | |||
| 始 비로소 시 | ↔ | 末 끝 말 | → | 시말 | |
| 終 마칠 종 | → | 시종 | |||
| 是 옳을 시 | ↔ | 非 아닐 비 | → | 시비 | |
| 新 새 신 | ↔ | 古 예 고 | → | 신고 | |
| 舊 예 구 | → | 신구 | |||
| 臣 신하 신 | ↔ | 民 백성 민 | → | 신민 | |
| 信 믿을 신 | ↔ | 疑 의심할 의 | → | 신의 | |
| 伸 펼 신 | ↔ | 縮 줄일 축 | → | 신축 | |
| 晨 새벽 신 | ↔ | 昏 어두울 혼 | → | 신혼 | |
| 實 열매 실 | ↔ | 否 아닐 부 | → | 실부 | |
| 心 마음 심 | ↔ | 身 몸 신 | → | 심신 | |
| 體 몸 체 | → | 심체 | |||
| 深 깊을 심 | ↔ | 淺 얕을 천 | → | 심천 |
2.1.8. ㅇ
| 雅 맑을 아 | ↔ | 俗 풍속 속 | → | 아속 | |
| 愛 사랑 애 | ↔ | 惡 미워할 오 | → | 애오 | |
| 憎 미울 증 | → | 애증 | |||
| 安 편안 안 | ↔ | 否 아닐 부 | → | 안부 | |
| 危 위태할 위 | → | 안위 | |||
| 哀 슬플 애 | ↔ | 樂 즐길 락 | → | 애락 | |
| 歡 기쁠 환 | → | 애환 | |||
| 良 어질 량 | ↔ | 否 아닐 부 | → | 양부 | |
| 抑 누를 억 | ↔ | 揚 날릴 양 | → | 억양 | |
| 言 말씀 언 | ↔ | 行 다닐 행 | → | 언행 | |
| 與 더불 여 | ↔ | 野 들 야 | → | 여야 | |
| 受 받을 수 | → | 여수 | |||
| 否 아닐 부 | → | 여부 | |||
| 然 그럴 연 | ↔ | → | 연부 | ||
| 炎 불꽃 염 | ↔ | 涼 서늘할 량 | → | 염량 | |
| 榮 영화 영 | ↔ | 枯 마를 고 | → | 영고 | |
| 辱 욕될 욕 | → | 영욕 | |||
| 豫 미리 예 | ↔ | 決 결단할 결 | → | 예결 | |
| 銳 날카로울 예 | ↔ | 鈍 둔할 둔 | → | 예둔 | |
| 玉 구슬 옥 | ↔ | 石 돌 석 | → | 옥석 | |
| 溫 따뜻할 온 | ↔ | 涼 서늘할 량 | → | 온량 | |
| 緩 느릴 완 | ↔ | 急 급할 급 | → | 완급 | |
| 往 갈 왕 | ↔ | 復 돌아올 복 | → | 왕복 | |
| 來 올 래 | → | 왕래 | |||
| 返 돌아올 반 | → | 왕반 | |||
| 還 돌아올 환 | → | 왕환 | |||
| 用 쓸 용 | ↔ | 捨 버릴 사 | → | 용사 | |
| 優 넉넉할 우 | ↔ | 劣 못할 렬 | → | 우열 | |
| 雨 비 우 | ↔ | 晴 갤 청 | → | 우청 | |
| 遠 멀 원 | ↔ | 近 가까울 근 | → | 원근 | |
| 月 달 월 | ↔ | 日 날 일 | → | 월일 | |
| 有 있을 유 | ↔ | 無 없을 무 | → | 유무 | |
| 陸 뭍 륙 | ↔ | 海 바다 해 | → | 육해 | |
| 隱 숨을 은 | ↔ | 見 볼 견 | → | 은견 | |
| → | 은현 | ||||
| 現 나타날 현 | → | ||||
| 顯 나타날 현 | → | ||||
| 恩 은혜 은 | ↔ | 怨 원망할 원 | → | 은원 | |
| 陰 그늘 음 | ↔ | 陽 볕 양 | → | 음양 | |
| 音 소리 음 | ↔ | 義 뜻 의 | → | 음의 | |
| 訓 가르칠 훈 | → | 음훈 | |||
| 吏 벼슬아치 리 | ↔ | 民 백성 민 | → | 이민 | |
| 離 떠날 리 | ↔ | 合 합할 합 | → | 이합 | |
| 利 이로울 리 | ↔ | 害 해할 해 | → | 이해 | |
| 理 다스릴 리 | ↔ | 亂 어지러울 란 | → | 이란 | |
| 因 인할 인 | ↔ | 果 열매 과 | → | 인과 | |
| 人 사람 인 | ↔ | 天 하늘 천 | → | 인천 | |
| 任 맡길 임 | ↔ | 免 면할 면 | → | 임면 | |
| 入 들 입 | ↔ | 落 떨어질 락 | → | 입락 |
2.1.9. ㅈ
| 子 아들 자 | ↔ | 女 여자 녀 | → | 자녀 | |
| 姉 손윗누이 자 | ↔ | 妹 손아랫누이 매 | → | 자매 | |
| 自 스스로 자 | ↔ | 他 남 타 | → | 자타 | |
| 昨 어제 작 | ↔ | 今 이제 금 | → | 작금 | |
| 長 길 장 | ↔ | 短 짧을 단 | → | 장단 | |
| 幼 어릴 유 | → | 장유 | |||
| 將 장수 장 | ↔ | 兵 병사 병 | → | 장병 | |
| 士 선비 사 | → | 장사 | |||
| 卒 군사 졸 | → | 장졸 | |||
| 田 밭 전 | ↔ | 畓 논 답 | → | 전답 | |
| 前 앞 전 | ↔ | 後 뒤 후 | → | 전후 | |
| 正 바를 정 | ↔ | 反 돌이킬 반 | → | 정반 | |
| 副 버금 부 | → | 정부 | |||
| 否 아닐 부 | → | ||||
| 誤 그릇될 오 | → | 정오 | |||
| 僞 거짓 위 | → | 정위 | |||
| 早 이를 조 | ↔ | 晩 늦을 만 | → | 조만 | |
| 朝 아침 조 | ↔ | 暮 저물 모 | → | 조모 | |
| 夕 저녁 석 | → | 조석 | |||
| 野 들 야 | → | 조야 | |||
| 祖 할아버지 조 | ↔ | 孫 손자 손 | → | 조손 | |
| 燥 마를 조 | ↔ | 濕 젖을 습 | → | 조습 | |
| 尊 높을 존 | ↔ | 卑 낮을 비 | → | 존비 | |
| 侍 모실 시 | → | 존시 | |||
| 存 있을 존 | ↔ | 亡 망할 망 | → | 존망 | |
| 滅 멸할 멸 | → | 존멸 | |||
| 沒 빠질 몰 | → | 존몰 | |||
| | 無 없을 무 | → | 존무 | |||
| 廢 폐할 폐 | → | 존폐 | |||
| 縱 세로 종 | ↔ | 橫 가로 횡 | → | 종횡 | |
| 左 왼 좌 | ↔ | 右 오른 우 | → | 좌우 | |
| 坐 앉을 좌 | ↔ | 立 설 립 | → | 좌립 | |
| 臥 누울 와 | → | 좌와 | |||
| 罪 허물 죄 | ↔ | 罰 벌할 벌 | → | 죄벌 | |
| 刑 형벌 형 | → | 죄형 | |||
| 晝 낮 주 | ↔ | 夜 밤 야 | → | 주야 | |
| 主 주인 주 | ↔ | 客 손 객 | → | 주객 | |
| 賓 손 빈 | → | 주빈 | |||
| 從 좇을 종 | → | 주종 | |||
| 衆 무리 중 | ↔ | 寡 적을 과 | → | 중과 | |
| 中 가운데 중 | ↔ | 外 바깥 외 | → | 중외 | |
| 贈 줄 증 | ↔ | 答 답할 답 | → | 증답 | |
| 增 더할 증 | ↔ | 削 깎을 삭 | → | 증삭 | |
| 減 덜 감 | → | 증감 | |||
| 損 덜 손 | → | 증손 | |||
| 遲 더딜 지 | ↔ | 速 빠를 속 | → | 지속 | |
| 智 지혜 지 | ↔ | 愚 어리석을 우 | → | 지우 | |
| 知 알 지 | ↔ | 行 다닐 행 | → | 지행 | |
| 眞 참 진 | ↔ | 假 거짓 가 | → | 진가 | |
| 僞 거짓 위 | → | 진위 | |||
| 進 나아갈 진 | ↔ | 退 물러날 퇴 | → | 진퇴 | |
| 集 모을 집 | ↔ | 配 나눌 배 | → | 집배 | |
| 散 흩을 산 | → | 집산 |
2.1.10. ㅊ
| 着 붙을 착 | ↔ | 發 필 발 | → | 착발 | |
| 贊 도울 찬 | ↔ | 反 돌이킬 반 | → | 찬반 | |
| 天 하늘 천 | ↔ | 地 땅 지 | → | 천지 | |
| 壤 흙덩이 양 | → | 천양 | |||
| 添 더할 첨 | ↔ | 削 깎을 삭 | → | 첨삭 | |
| 減 덜 감 | → | 첨감 | |||
| 晴 갤 청 | ↔ | 雨 비 우 | → | 청우 | |
| 陰 그늘 음 | → | 청음 | |||
| 淸 맑을 청 | ↔ | 濁 흐릴 탁 | → | 청탁 | |
| 初 처음 초 | ↔ | 終 마칠 종 | → | 초종 | |
| 推 밀 추 | ↔ | 引 끌 인 | → | 추인 | |
| 春 봄 춘 | ↔ | 秋 가을 추 | → | 춘추 | |
| 出 날 출 | ↔ | 缺 이지러질 결 | → | 출결 | |
| 納 들일 납 | → | 출납 | |||
| 沒 빠질 몰 | → | 출몰 | |||
| 入 들 입 | → | 출입 | |||
| 忠 충성 충 | ↔ | 逆 거스를 역 | → | 충역 | |
| 取 취할 취 | ↔ | 貸 빌릴 대 | → | 취대 | |
| 捨 버릴 사 | → | 취사 | |||
| 治 다스릴 치 | ↔ | 亂 어지러울 란 | → | 치란 | |
| 親 친할 친 | ↔ | 疏 소통할 소 | → | 친소 |
2.1.11. ㅋ
| 快 쾌할 쾌 | ↔ | 鈍 둔할 둔 | → | 쾌둔 |
2.1.12. ㅍ
| 廢 폐할 폐 | ↔ | 置 둘 치 | → | 폐치 | |
| 立 설 립 | → | 폐립 | |||
| 表 겉 표 | ↔ | 裏 속 리 | → | 표리 | |
| 豊 풍년 풍 | ↔ | 凶 흉할 흉 | → | 풍흉 | |
| 彼 저 피 | ↔ | 此 이 차 | → | 피차 | |
| 我 나 아 | → | 피아 |
2.1.13. ㅎ
| 寒 찰 한 | ↔ | 暖 따뜻할 난 | → | 한란 | |
| 熱 더울 열 | → | 한열 | |||
| 溫 따뜻할 온 | → | 한온 | |||
| 閑 한가할 한 | ↔ | 忙 바쁠 망 | → | 한망 | |
| 向 향할 향 | ↔ | 背 등 배 | → | 향배 | |
| 虛 빌 허 | ↔ | 實 열매 실 | → | 허실 | |
| 賢 어질 현 | ↔ | 愚 어리석을 우 | → | 현우 | |
| 好 좋을 호 | ↔ | 惡 미워할 오 | → | 호오 | |
| 呼 부를 호 | ↔ | 應 응할 응 | → | 호응 | |
| 吸 마실 흡 | → | 호흡 | |||
| 禍 재앙 화 | ↔ | 福 복 복 | → | 화복 | |
| 皇 임금 황 | ↔ | 民 백성 민 | → | 황민 | |
| 昏 어두울 혼 | ↔ | 明 밝을 명 | → | 혼명 | |
| 厚 두터울 후 | ↔ | 薄 엷을 박 | → | 후박 | |
| 胸 가슴 흉 | ↔ | 背 등 배 | → | 흉배 | |
| 黑 검을 흑 | ↔ | 白 흰 백 | → | 흑백 | |
| 興 일 흥 | ↔ | 敗 패할 패 | → | 흥패 | |
| 亡 망할 망 | → | 흥망 | |||
| 喜 기쁠 희 | ↔ | 怒 성낼 노 | → | 희로 | |
| 悲 슬플 비 | → | 희비 |
2.2. 고급
2.2.1. ㄱ
| 嫁 시집갈 가 | ↔ | 娶 장가들 취 | → | 가취 | |
| 干 방패 간 | ↔ | 戈 창 과 | → | 간과 | |
| 艱 어려울 간 | ↔ | 易 쉬울 이 | → | 간이 | |
| 姑 시어미 고 | ↔ | 舅 시아비 구 | → | 고구 | |
| 考 생각할 고 | ↔ | 妣 죽은어미 비 | → | 고비 | 여기서 考는 죽은 아비란 뜻이다. |
| 昆 맏 곤 | ↔ | 弟 아우 제 | → | 곤제 | |
| 戈 창 과 | ↔ | 盾 방패 순 | → | 과순 | |
| 廣 넓을 광 | ↔ | 狹 좁을 협 | → | 광협 | |
| 舅 시아비 구 | ↔ | 甥 생질 생 | → | 구생 | |
| 倦 게으를 권 | ↔ | 勤 부지런할 근 | → | 권근 | |
| 戟 창 극 | ↔ | 盾 방패 순 | → | 극순 | |
| 勤 부지런할 근 | ↔ | 惰 게으를 타 | → | 근타 | |
| 擒 사로잡을 금 | ↔ | 縱 세로 종 | → | 금종 | 여기서 縱은 용서하여 놓아준다는 뜻이다. |
| 肌 살가죽 기 | ↔ | 骨 뼈 골 | → | 기골 | |
| 拮 일할 길 | ↔ | 抗 막을 항 | → | 길항 |
2.2.2. ㄴ
| 濃 짙을 농 | ↔ | 淡 맑을 담 | → | 농담 | |
| 購 살 구 | ↔ | 販 팔 판 | → | 구판 |
2.2.3. ㄷ
2.2.4. ㄹ
| 冷 찰 랭 | ↔ | 煖 따뜻할 난 | → | 냉난 | |
| 斂 거둘 렴 | ↔ | 散 흩을 산 | → | 염산 |
2.2.5. ㅁ
| 蠻 오랑캐 만 | ↔ | 狄 오랑캐 적 | → | 만적 | 蠻은 남방 오랑캐 狄은 북방 오랑캐를 의미한다. |
| 俛 힘쓸 면 | ↔ | 仰 우러를 앙 | → | 면앙 | |
| 矛 창 모 | ↔ | 盾 방패 순 | → | 모순 | |
| 巫 무당 무 | ↔ | 覡 박수 격 | → | 무격 |
2.2.6. ㅂ
| 鳳 새 봉 | ↔ | 凰 봉황 황 | → | 봉황 | '봉'은 수컷 봉새, '황'은 암컷 봉새를 가리킨다. |
| 俯 구푸릴 부 | ↔ | 仰 우러를 앙 | → | 부앙 | |
| 糞 똥 분 | ↔ | 尿 오줌 뇨 | → | 분뇨 | |
| 匕 비수 비 | ↔ | 箸 젓가락 저 | → | 비저 | |
| 翡 물총새 비 | ↔ | 翠 물총새 취 | → | 비취 | |
| 肥 살찔 비 | ↔ | 瘠 여윌 척 | → | 비척 | |
| 臂 팔 비 | ↔ | 脚 다리 각 | → | 비각 | |
| 誹 비방할 비 | ↔ | 譽 기릴 예 | → | 비예 |
2.2.7. ㅅ
| 朔 초하루 삭 | ↔ | 晦 그믐 회 | → | 삭회 | |
| 序 차례 서 | ↔ | 跋 밟을 발 | → | 서발 | 책의 서문과 발문을 의미한다. |
| 庶 여러 서 | ↔ | 嫡 정실 적 | → | 서적 | |
| 醒 술깰 성 | ↔ | 醉 취할 취 | → | 성취 | |
| 紹 이을 소 | ↔ | 絶 끊을 절 | → | 소절 | |
| 疏 소통할 소 | ↔ | 阻 막힐 조 | → | 소조 | |
| 疎 성길 소 | ↔ | 密 빽뺵할 밀 | → | 소밀 | |
| 壽 목숨 수 | ↔ | 夭 일찍죽을 요 | → | 수요 | 壽는 오래 산다는 뜻이다. |
| 瘦 여윌 수 | ↔ | 肥 살찔 비 | → | 수비 | |
| 匙 숟가락 시 | ↔ | 箸 젓가락 저 | → | 시저 |
2.2.8. ㅇ
| 爺 아비 야 | ↔ | 孃 아가씨 양 | → | 야양 | |
| 姸 예쁠 연 | ↔ | 醜 추할 추 | → | 연추 | |
| 迎 맞을 영 | ↔ | 餞 보낼 전 | → | 영전 | |
| 盈 찰 영 | ↔ | 虛 빌 허 | → | 영허 | |
| 寤 깰 오 | ↔ | 寐 잘 매 | → | 오매 | |
| 翁 늙은이 옹 | ↔ | 壻 사위 서 | → | 옹서 | |
| 凹 오목할 요 | ↔ | 凸 볼록할 철 | → | 요철 | |
| 鴛 원앙 원 | ↔ | 鴦 원앙 앙 | → | 원앙 | |
| 恩 은혜 은 | ↔ | 讎 원수 수 | → | 은수 |
2.2.9. ㅈ
| 雌 암컷 자 | ↔ | 雄 수컷 웅 | → | 자웅 | |
| 低 낮을 저 | ↔ | 䀚 높을 앙 | → | 저앙 | |
| 絶 끊을 절 | ↔ | 嗣 이을 사 | → | 절사 | |
| 淨 깨끗할 정 | ↔ | 穢 더러울 예 | → | 정예 | |
| 精 자세할 정 | ↔ | 粗 거칠 조 | → | 정조 | |
| 綜 모을 종 | ↔ | 析 쪼갤 석 | → | 종석 | |
| 主 주인 주 | ↔ | 僕 종복 | → | 주복 | |
| 晝 낮 주 | ↔ | 宵 밤 소 | → | 주소 | |
| 增 더할 증 | ↔ | 刪 깎을 산 | → | 증산 | |
| 桎 차꼬 질 | ↔ | 梏 수갑 곡 | → | 질곡 |
2.2.10. ㅊ
| 陟 오를 척 | ↔ | 降 내릴 강 | → | 척강 | |
| 晴 갤 청 | ↔ | 曇 흐릴 담 | → | 청담 | |
| 推 밀 추 | ↔ | 挽 당길 만 | → | 추만 | |
| ↔ | 輓 끌 만 | → | |||
| 忠 충성 충 | ↔ | 奸 간사할 간 | → | 충간 | |
| 聚 모을 취 | ↔ | 散 흩을 산 | → | 취산 | |
| 親 친할 친 | ↔ | 疎 성길 소 | → | 친소 |
2.2.11. ㅌ
| 呑 삼킬 탄 | ↔ | 吐 토할 토 | → | 탄토 |
2.2.12. ㅍ
| 褒 기릴 포 | ↔ | 貶 낮출 폄 | → | 포폄 |
2.2.13. ㅎ
| 鹹 짤 함 | ↔ | 淡 맑을 담 | → | 함담 | |
| 弧 활 호 | ↔ | 矢 화살 시 | → | 호시 | |
| 膾 회 회 | ↔ | 炙 구운고기 자 | → | 회자 | 전의되어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린다는 뜻도 있다. |
| 橫 가로 횡 | ↔ | 竪 세울 수 | → | 횡수 |
2.3. 특급
준특급에서 특급 까지의 상대자를 작성했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윗부분은 준특급까지의 한자만 포함되고 아랫부분은 특급한자가 포함 되게 했다.2.3.1. ㄱ
| 開 열 개 | ↔ | 闔 문짝 합 | → | 개합 | |
| 劍 칼 검 | ↔ | 楯 방패 순 | → | 검순 | |
| 涇 물이름 경 | ↔ | 渭 물이름 위 | → | 경위 | |
| 苦 쓸 고 | ↔ | 甛 달 첨 | → | 고첨 | |
| 沽 살 고 | ↔ | 販 팔 판 | → | 고판 | |
| 臼 절구 구 | ↔ | 杵 공이 저 | → | 구저 | |
| 饑 주릴 기 | ↔ | 穰 짚 양 | → | 기양 | 여기서 穰은 풍성하다는 뜻이다. |
| ↔ | 飽 배부를 포 | → | 기포 |
| 畎 밭고랑 견 | ↔ | 畝 이랑 묘[1] | → | 견묘 | |
| ,煢 외로울 경 | ↔ | 鰥 홀아비 환 | → | 경환 | |
| 楛 거칠 고 | ↔ | 菀 무성할 울 | → | 고울 | |
| 裘 갖옷 구 | ↔ | 葛 칡 갈 | → | 구갈 | |
| 詘 굽힐 굴 | ↔ | 伸 펼 신 | → | 굴신 | |
| 起 일어날 기 | ↔ | 跪 꿇어앉을 궤 | → | 기궤 |
2.3.2. ㄴ
2.3.3. ㄷ
| 僮 아이종 동 | ↔ | 御 임금 어 | → | 동어 | |
| 侗 지각없을 동 | ↔ | 愚 어리석을 우 | → | 동우 |
2.3.4. ㄹ
2.3.5. ㅁ
| 眊 흐릴 모 | ↔ | 悼 슬퍼할 도 | → | 모도 | |
| 旄 깃털장식 모 | ↔ | 倪 어린아이 예 | → | 모예 | 여기서 旄는 늙은이란 뜻이다. |
2.3.6. ㅂ
| 牝 암컷 빈 | ↔ | 牡 수컷 모 | → | 빈모 |
| 裒 모을 부 | ↔ | 益 더할 익 | → | 부익 |
2.3.7. ㅅ
| 陞 오를 승 | ↔ | 降 내릴 강 | → | 승강 | |
| 神 귀신 신 | ↔ | 祇 지신 기 | → | 신기 |
| 哂 웃을 신 | ↔ | 歎 한숨쉴 탄 | → | 신탄 |
2.3.8. ㅇ
| 偃 쓰러질 언 | ↔ | 仰 우러를 앙 | → | 언앙 | |
| 淵 못 연 | ↔ | 嶽 큰산 악 | → | 연악 | |
| 姸 고울 연 | ↔ | 蚩 어리석을 치 | → | 연치 | |
| 盈 찰 영 | ↔ | 虧 이지러질 휴 | → | 영휴 | |
| 饔 아침밥 옹 | ↔ | 飡 저녁밥 손 | → | 옹손 | |
| 窪 웅덩이 와 | ↔ | 隆 높을 륭 | → | 와륭 | 여기서 窪는 낮다는 뜻이다. |
| 遠 멀 원 | ↔ | 邇 가까울 이 | → | 원이 |
| 良 어질 량 | ↔ | 莠 가라지 유 | → | 양유 | 여기서 莠는 추하다는 뜻이다. |
| 贏 남을 영 | ↔ | 闕 대궐 궐 | → | 영궐 | 여기서 闕은 '이지러지다'라는 뜻이다. |
| ↔ | 輸 나를 수 | → | 영수 | ||
| 嬴 가득할 영 | ↔ | 縮 줄일 축 | → | 영축 | |
| 贏 남을 영 | ↔ | 縮 줄일 축 | → | 영축 | |
| 榮 영화 영 | ↔ | 瘁 병들 췌 | → | 영췌 | |
| 盈 찰 영 | ↔ | 昃 해기울 축 | → | 영측 | |
| 汙 더러울 오 | ↔ | 隆 높을 륭 | → | 오륭 | |
| 翁 늙은이 옹 | ↔ | 嫗 할미 구 | → | 옹구 | |
| 饔 아침밥 옹 | ↔ | 飧 저녁밥 손 | → | 옹손 | |
| ↔ | 飱 저녁밥 손 | → | 옹손 | ||
| 翁 늙은이 옹 | ↔ | 媼 할미 온 | → | 옹온 | |
| 圜 둥글 원 | ↔ | 方 모 방 | → | 원방 | |
| 原 근원 원 | ↔ | 隰 진펄 습 | → | 원습 | |
| 禋 제사지낼 인 | ↔ | 瘞 묻을 예 | → | 인예 | 여기서 瘞는 제사 지내는 곳을 의미한다. |
2.3.9. ㅈ
| 臧 착할 장 | ↔ | 否 아닐 부 | → | 장부 | |
| 潮 조수 조 | ↔ | 汐 조수 석 | → | 조석 |
2.3.10. ㅊ
| 阡 밭둑길 천 | ↔ | 陌 밭두둑길 맥 | → | 천맥 | |
| 椿 참죽나무 춘 | ↔ | 萱 원추리 훤 | → | 춘훤 | |
| 緇 검을 치 | ↔ | 素 흴 소 | → | 치소 |
2.3.11. ㅋ
2.3.12. ㅌ
2.3.13. ㅍ
2.3.14. ㅎ
| 瑕 티 하 | ↔ | 瑜 아름다운옥 유 | → | 하유 | |
| 遐 멀 하 | ↔ | 邇 가까울 이 | → | 하이 | |
| 寒 찰 한 | ↔ | 暄 따뜻할 훤 | → | 한훤 | |
| 闔 닫을 합 | ↔ | 闢 열 벽 | → | 합벽 | |
| 休 쉴 휴 | ↔ | 咎 허물 구 | → | 휴구 | 여기서 休는 훌륭하다는 뜻이다. |
| 虧 이지러질 휴 | ↔ | 蝕 좀먹을 식 | → | 휴식 | |
| 虧 이지러질 휴 | ↔ | 盈 찰 영 | → | 휴영 | |
| 昕 아침 흔 | ↔ | 夕 저녁 석 | → | 흔석 | |
| 曦 햇빛 희 | ↔ | 月 달 월 | → | 희월 |
[1] 여기선 '무'가 아니라 '묘로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