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22:22:25

자기주장훈련

심리치료와 상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물결 정신분석
정신분석 치료 · 아들러 심리치료 · 융 분석치료 · 심리극 · 내면아이
제2물결 행동주의
행동주의 치료/응용행동분석 · 인지행동치료 · 마음챙김 · 수용전념치료 · 변증법적 행동치료 · 심리도식치료
제3물결 인본주의
인간 중심 치료 · 게슈탈트 치료 · 실존상담 · 의미치료
미분류
가족상담 · 현실치료 · 예술치료 · 목회상담 · 여성주의 치료 · 철학상담 · 교류 분석 · 최면 치료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ccff , #0033ff)"
'''[[인지과학|인지과학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font-style: Italic; display: inline;"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100%> 기반 학문
철학(인식론) · 화학(유기화학 · 생화학) · 생물학(분자생물학 · 유전학 · 신경과학 · 뇌과학) · 심리학(인지심리학 · 실험심리학 · 임상심리학 · 행동심리학 · 상담심리학) · 이론 컴퓨터 과학(자료구조) · 교육학(교육측정학) · 수학​(선형대수학 · 미분적분학 · 미분방정식 · 수치해석학) · 통계학(수리통계학 · 추론통계학 · 기술통계학)
<colcolor=#000,#fff> 기반 및 법칙
기초 감각(추상 -> 지각 -> 인지(인지 발달 이론 · 체화된 인지 · 분산된 인지) -> 기억(암묵적 기억 · 명시적 기억) -> 개념화 -> 행동) · 스키마 · 청킹 · 지능(IQ, EQ, 다중지능이론) · 사고(ALU 사고 기법 · ACT-R · 브레인스토밍 · 확산적 사고 기법 수렴적 사고 기법학습교육(정보처리 · 기술 습득 이론 · 언어습득론 · 피츠의 법칙 · 멱급수 법칙 · 연결주의 · 구성주의 · 수면학습 · 콜브의 체험 학습 ·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 · 재인 · 메타인지 · 부바/키키 효과 · 시표 추적 · 심리생리학적 상호작용 · 행동심리적 양상(귀인 · 투사 · 반동형성 · 방어기제 · 열등-우월 콤플렉스 · 히스테리 · 인격장애)
현상 & 연구
학습(콜브의 체험 학습론 · 온톨로지 · 인지적 오류(확증편향 · 인지부조화) · 결정적 시기 가설 블루 브레인 프로젝트 · 교육 목표 분류 · 역할 수행 이론 결정장 이론 · 인지적 모델링(데하네-샹구 모델 · SECI 모델) · 마음(마음 이론 마음 모듈성) 베이즈 머신 튜링 머신 자극-반응 호환성 · CBT · BCI · 뇌(브로카 영역 · 베르니케 영역 · 브로드만 영역 · 전두엽
}}}}}}}}}}}} ||

1. 개요2. 자기주장훈련
2.1. 자기주장훈련의 역사2.2. 자기주장훈련의 정의
2.2.1. 자기주장훈련의 예시
2.2.1.1. 나(i) 기준2.2.1.2. 상대방 기준
2.3. 행동수정이론의 예
3. 자기주장훈련(A.T.)의 응용4. 윤리적 심리학5. 자기주장(assertiveness)의 심리학적 정의6. 관련문서

1. 개요

인지행동치료(CBT / Cognitive behavioral therapy)라는 개인(클라이언트)이 정신건강적 문제에 대응하여 인지 왜곡 현상을 보다 합리적으로 수정하여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인지적 접근방법중 하나인 자기주장훈련(自己主張訓鍊,Assertiveness training)은 1950~60년대에 행동치료(Behavior Therapy)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인지과학적 심리치료방법이다.
자기주장은 “내가 중요하듯, 당신도 중요하다”는 인식 위에서 출발한다. — 앨버티 & 에몬스(Alberti & Emmons)[가]

2. 자기주장훈련

2.1. 자기주장훈련의 역사

자기주장훈련(Assertiveness Training,AT)은 앤드류 솔터(Andrew Salter)[2],조셉 울프(Joseph Wolpe)[3],앨버티 & 에몬스(Alberti & Emmons)[가]등이 1950년~1970대부터 본격적이고 지속적으로 제안하는 주요 행동수정이론중 하나이다.

2.2. 자기주장훈련의 정의

자기주장훈련(AT)의 목적은 자신의 감정, 생각, 욕구를 정직하고 직접적이며 적절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기술을 학습하는 심리치료적 훈련이다. 이때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권리를 지키는 것이 핵심 목표이다. 이것은 즉, 공격적(Aggressive)이지도 않고 순응적(Passive)이지도 않는 자신과 상대방의 의견의 교집합을 도출해내는 균형 잡힌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익히는 것을 의미한다.

2.2.1. 자기주장훈련의 예시

‘i-Message’ 사용[5][6]
'당신이 늦어서 화가 나요.' 또는 '(당신은) 오늘 늦었네요!' → '당신이 늦었을 때, 나는 불편함을 느꼈어요'.
이러한 자기주장훈련(A.T.)은 따라서 내가 나를 바라보는 객관적인 입장과 상대방이 나를 바라보는 상대방의 주관적인 입장의 교집합이라는 교차점에서 '대화와 타협'이라는 고전적인 윤리적 방법의 심리학적 진일보라고 이해해볼수있다. 이는 결국 나의 이해와 상대방이 이해룰 한 방향으로 놓으려는 윤리적이고 심리학적인 통찰적 방법을 고안하는 또다른 방법으로 접근해볼수있게 해준다.
2.2.1.1. 나(i) 기준
Broken Record (깨진 레코드 기법)[나]
(침착하게 같은 말을 반복)“(아니요,) 저는 그렇게 하지않겠습니다.”
Time-out 요청(감정이 격할 때 잠시 대화 중단 요청)[8]
“지금은 감정이 올라와서, 잠시 뒤에 이야기할게요.”
2.2.1.2. 상대방 기준
Fogging (안개전략)[나]
(비판에 즉시 방어하지 않고, 일부를 수용하며 대응)“(당신의 입장에서라면)그렇게 보일 수도 있겠네요.”
비판을 구체적으로 요청해 자신을 이해시킴Negative Inquiry)[나]
“(당신의 입장에서)제가 어떤 부분에서 무례하게 들렸나요?”

2.3. 행동수정이론의 예

자기주장훈련이외에도 주요한 행동수정이론에는 이완훈련(relaxation training) 또는 (Systematic desensitization), 노출및반응방지(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 ERP)이나 역할수행이론(Role-taking theory),계획된 행동 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ur) 등이 있다.[11][12]

3. 자기주장훈련(A.T.)의 응용

공감적 자기주장(Empathic Assertion )[13]
“당신이 바쁜 걸 알아요. 하지만 지금 제 생각을 잠깐 말씀드리고 싶었어요.”
핵심 개념: 상대의 감정을 먼저 공감적으로 언급하고, 그 후 자신의 요구를 표현.
배경: 칼 로저스(Rogers)의 공감적 이해(empathic understanding) + 앨버트 반두라(Bandura)의 모델링 학습 융합.
의의: 공감과 자기표현을 동시에 유지하는 대인관계의 고차원적 조절기술.
D(구체적 상황을 객관적으로 묘사) “요 며칠 동안 회의가 시작 시간보다 10분씩 늦어지고 있어요.”
E(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 “그럴 때마다 시간적으로 제가 준비하는 자료의 흐름이 끊겨서 조금 힘들어요.”
S(구체적인 요구를 제시) “앞으로는 회의를 정시에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실 수 있을까요?”
C(요청이 지켜질 때의 긍정적 (또는 지켜지지 않을 경우의) 결과)“그렇게 되면 진행이 훨씬 매끄럽고 모두가 시간 여유를 가질 수 있을 거예요.”
DESC Script (Describe–Express–Specify–Consequence)”[14]
핵심 개념: D 사실을 기술(Describe),E 감정을 표현(Express) ,S 구체적 요청(Specify),C 결과를 명시(Consequence)
의의: 구조화된 대화 프레임을 제공, 직장·치료·교육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됨.

4. 윤리적 심리학

오늘날 인지행동수정(또는 줄여서 행동수정)은 학습심리학, 인지신경과학(Cognitive neuroscience), 사회심리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행동주의적 접근방법이나 인지주의적 접근방법이 서로 인지(사고와 인식) 그리고 행동(반응)간의 과정에서 절차적으로 상호 영향을 준다는 전제에서 이러한 맥락(context)은 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삶의 질을 수정할 수 있다는 견해를 지지하는 인간과 생명에대한 존엄성에 바탕을 둔 접근방법과 그 공통된 소스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윤리적 심리학이라는 시각으로 이해해볼수있다.

5. 자기주장(assertiveness)의 심리학적 정의

APA[15] 심리학 사전(APA Dictionary of Psychology)
assertiveness (Updated on 04/19/2018)[16]
(noun) an adaptive style of communication in which individuals express their feelings and needs directly, while maintaining respect for others. A lack of assertiveness may contribute to depression and anxiety, whereas maladaptive approaches to assertiveness may manifest as aggression.
자기주장 (2018년 4월 19일 업데이트)
(명사) 타인에 대한 존중을 유지하면서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적응적 의사소통 방식입니다. 자기주장이 부족하면 우울증과 불안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자기주장에 대한 부적응적 접근은 공격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6. 관련문서


[가] [2] 'Conditioned Reflex Therapy' Andrew Salter(1949)[3]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과 함께 불안 감소 + 자기표현 훈련을 통합[가] Your Perfect Right 1970(Your Perfect Right: Assertiveness and Equality in Your Life and Relationships Sampul Depan ,Robert Alberti, Michael Emmons, New Harbinger Publications, 1 Mar 2017) #[5] Thomas Gordon (1970),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P.E.T.)』[6] Marshall Rosenberg (1999) 『Nonviolent Communication』[나] [8] Joseph Wolpe (1958), 『Psychotherapy by Reciprocal Inhibition』 행동치료의 자극통제(stimulus control) 및 Reciprocal Inhibition(상호억제) 개념.[나] Manuel J. Smith (1975), 『When I Say No, I Feel Guilty』[나] [11] Comparison of desensitization and progressive relaxation in treating test anxiety. Journal Article Database: APA PsycArticles Johnson, Stephen M. Sechrest, Lee Citation Johnson, S. M., & Sechrest, L. (1968). Comparison of desensitization and progressive relaxation in treating test anxie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2(3), 280–286. https://doi.org/10.1037/h0025922[12] Exposure Therapy for Anxiety: Principles and Practice, Jonathan S. Abramowitz, Brett J. Deacon, Stephen P. H. Whiteside, Guilford Press, 2011. 3. 14 ISBN 1609180178, 9781609180171 #[13] 출처: Shure & Spivack (1978),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14] 출처: Bower & Bower (1976), 『Asserting Yourself』[15]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16]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 assertivene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