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8 19:27:58

임규남



[[탈주(영화)|
파일:탈주(영화) 로고.png
]]

등장인물줄거리
<colbgcolor=#7d7664><colcolor=#ffffff> 임규남
파일:탈주 캐릭터 포스터 임규남.jpg
배우: 이제훈
민경대대 중사
출생 1988년 3월 28일 (27세)
신체 177cm, 58kg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북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북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북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한
출생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북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북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북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함경북도 온성군 강안리
소속 조선인민군 륙군 제1사단 민경대대
직위 중사
가족 아버지 임명철
어머니 김미옥
MBTI ENTJ
장래희망 탐험가

1. 개요2. 특징3. 명대사4. 소지품5. 여담

1. 개요

영화 탈주의 등장인물.

2. 특징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영화의 주인공. 1988년 3월 28일함경북도 온성군 강안리에서 아버지 임명철, 어머니 김미옥 슬하의 아들로 출생했고,[1] 조선인민군 륙군 제1사단[2] 민경대대 소속 중사이다.[3]

규남의 아버지는 생전에 리현상 집안의 운전기사였다. 10년 간의 복무를 마치고 제대를 앞둔 상태[4]에서 어머니까지 사망하여 고향에 돌아가도 반길 사람이 하나도 없는 상황이다. 북한 사회에 염증을 느껴 비무장지대에 깔린 지뢰밭을 넘어서 탈북을 계획한다.

노르웨이 출신 탐험가 로알 아문센의 전기[5]를 항상 품에 두고 탐험가의 꿈을 키워왔다. 그 밖에 나침반, 단파라디오[6], 비무장지대 내 지뢰 매설 지도와 아버지의 유품인 만년필을 소지하고 있다.

그의 어린 시절 집안 모습이 나오는데, 고난의 행군을 이미 거친 북한임에도 불구하고 널찍한 거실에 TV까지도 갖춘 집안이었다. 아마도 리현상의 집안에서 큰 불편은 없이 지낸듯.

북한은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으므로, 만약 林(수풀 림)이었다면 '림규남'으로 썼을 것이다. 따라서 그의 성은 '任(맡길 임)'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참고로 이 성씨의 본관은 장흥과 풍천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전라남도 장흥군, 후자는 황해남도 과일군이다.

그야말로 한국 영화 역사상 최고 수준의 주인공 버프로 무장한 인물로, 압도적인 행동력, 뛰어난 임기응변과 같은 것들은 본인의 능력이지만 수 차례의 총탄 세례를 당하고도 고작 한 발 명중당하고 지뢰 밭을 무지성 강행돌파하는데 성공하는 등 운빨 또한 사람의 한계를 넘어선 수준이다. 작중에서 그가 처하는 위기들 하나하나가 도저히 극복 불가능한 것들로 보이는데 모두 뛰어넘는 것을 보면 아연실색하게 될 정도. 이런 점 때문에 본 영화를 개연성 면에서 크게 비판하는 의견들이 있다. 하지만 최후반부 현상과의 대화를 보면 실패할 것을 알면서도 도전하는 것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백배 천배 낫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일종의 메타포적인 장치로 보인다. 현상과의 대화 와중에도 현상을 만나기 직전 밟은 지뢰에서 발을 떼는데 불발되자 시도해보길 잘 하지 않았느냐 얘기하기도 한다. 비틱질에 극대노한 현상은 규남을 폭행한다 자신의 미래를 위해 움직인 규남을 하늘조차도 도와준 것 정도로 이해하는 것이 편할 듯. 애초에 규남의 탈출계획이 예정대로 진행되었다면 본작의 사건들이 일어날 일도 없었고 그런 걸 영화의 소재로 쓰지도 않는다.

3. 명대사

내 앞 길 내가 정했습니다.
죽어도 내가 죽고... 살아도 내가 산다...!
여기선 실패조차 할 수 없으니, 내 마음껏 실패하러 가는 겁니다..!

4. 소지품

파일:탈주 임규남 통행증.jpg
통행증
파일:탈주 아문센.jpg 파일:탈주 나침반 시계.jpg
아문센 전기 나침반&시계
파일:탈주 지도.jpg
지도

5. 여담

  • 제대 말년의 중사이고 후임과 같이 DMZ를 넘어 탈북했다는 점에서, 2002년 2월 19일 발생한 북한 민경부대 출신의 부사관 탈북사건의 주인공인 주성일을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로 추정된다.# 지금은 주승현으로 개명했고 대학교수로 활동한다.


[1] 영화 중 '전입신고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내용.[2] 현실에서의 조선인민군 륙군 제1사단은 제1군단 예하 부대로, 북한 강원도 고성군에 주둔하고 있는 부대이다. 다만 극중 풍경은 황해평야처럼 갈대가 가득한 평지로만 보여서, 실제 주둔지와 다르게 극중 설정은 개성시황해남도에 위치한 부대일 수 있다. 참고로 한국군 역시 이 개성 인접 파주 지역을 방어하는 부대로 단대호가 같은 육군 제1사단이 배치되어 있다.[3] 김동혁의 탈주 사건과 관련해서 '로력영웅'이라는 군사칭호를 얻었다.[4] 북한은 17세만 되어도 징집이 된다.[5] 영화 막바지에 리현상이 임규남의 7살 생일 선물로 준 책이었음이 드러난다.[6] 야간 근무 시 '배철수의 음악캠프'를 청취하는 등 대한민국의 실정을 파악하며 탈북을 꿈꾸게 된다. 탈주 과정에서 나침반이 박살나자 이 라디오수신기가 길잡이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