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20:33:52

이하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하늘(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하늘(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하늘(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이하늘(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하늘(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하늘(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margin: -15px 0px -5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dj doc.jpg
DJ DOC
디제이 디오씨
}}}
{{{#!folding [ 전 멤버 ]

}}}

<colbgcolor=#000><colcolor=#fff> 이하늘
Lee Ha Neul
파일:이하늘_프로필.jpg
본명 이근배 (李勤培, Lee Kun Bae)
출생 1971년 5월 3일 ([age(1971-05-03)]세)
충청남도 대전시 성남1동[1]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본관 연안 이씨
신체 175cm[2], 275mm, O형
가족 남동생 이현배, 여동생[3]
학력 대전성남국민학교 (졸업)
삼광중학교 (졸업)
서산농림고등학교 (중퇴[4])
소속사 펑키타운
소속 그룹 DJ DOC
데뷔 1994년 DJ DOC 1집 슈퍼맨의 비애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포지션
3.1. 메인래퍼, 작곡능력
4. 활동5. 논란 및 사건 사고6. 여담7. 참고 자료

1. 개요

대한민국래퍼이자 남성 3인조 그룹인 DJ DOC리더.

본업이라고 할 수 있는 음악 활동 이외에도 토크쇼의 MC 및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멤버로의 활동 등 방송에서의 활동도 활발하다.

2. 생애

1971년 5월 3일 충청남도 대전시 성남1동 (現 대전광역시 동구 성남동)에서 2남 1녀 중 첫째로 태어났다.

가정사가 많이 암울하다. 아버지는 축구공을 만드는 회사의 경영진이었으나 이하늘이 초등학교 2학년일 때 낚시 도중 물에 빠진 친구를 구하러 가다가 숨졌고, 모친은 재혼 이후 자녀들과 이별했다. 이로 인해 그를 포함한 3남매를 양육할 사람이 없어져서 할머니 밑에서 자랐는데, 당시 조모는 수저 그릇 공장에서 일하면서 근근히 생계를 유지했다.

국민학교 시절에는 공부를 잘 했으나 중학교 진학 이후로는 학업보다 농악부 활동에 관심을 둔 바 있었다. 그래서, 고등학교기숙사가 제공되고 학비도 나오는 국악 특기자로 들어갔다. 그러나, 군대 분위기처럼 후배들을 군기잡으면서 괴롭히는 기숙사가 너무 싫어서 학교를 다니는 것이 지옥같았다고 한다.# 실습을 마치고 어느 날 몰래 집에 갔는데 어려운 집안 사정을 알게 되고 학교자퇴한다.

그리고 공장에서 전화기 만드는 일을 하거나[5] 매혈 등으로 돈을 벌다가 DJ가 되기로 결심한다. 1990년경부터 모 나이트클럽에서 DJ 보조를 맡다가 2년 후 대전 '코파카바나'에서 정식 DJ가 됐고, 이후 송탄 흑인클럽과 전주, 대구, 광주, 제주 등지의 유명 나이트클럽을 돌면서 맹활약했다. 1992년,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클럽 DJ로 활동하다가 철이와 미애로 유명했던 신철을 만나게 되고, 이후 대구광역시의 클럽으로 옮겨 박정환을 만나고, 신철의 제안으로 서울특별시에서 유명한 DJ였던 김창열까지 모여서 1994년 2월 첫 합숙에 들어가고 6월에 DJ DOC라는 그룹을 결성했으며, 1994년 9월에 가요계에 전격 데뷔했다. 2집부터 박정환이 탈퇴하고 정재용이 새 멤버로 들어왔고, 이 후 멤버 변화 없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병역은 당시의 다른 많은 연예인들처럼 면제를 받았지만, 이하늘의 경우에는 부친의 사망과 모친의 재혼 이후 양육자가 없어졌고, 게다가 집안의 가장으로써 할머니와 당시 미성년자였던 동생 2명을 부양해야 했기 때문에 타당한 사유로 면제를 받은 것이다.[6] 그래서 동생인 이현배군대를 갔다.

2003년 자신만의 힙합레이블인 BUDA SOUND를 설립하여 운영하였다.

동생인 이현배 또한 깍두기 멤버였다가 정식으로 승격된 바 있으며, 45RPM이라는 힙합 그룹에서 활동했었다. 또한, 형과 함께 천하무적 야구단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담당 포지션은 포수로, 現 천하무적 야구단의 3대 주장이다.

여담이지만, 천하무적 야구단 첫방 때 본인 방송은 안 보고 무한도전을 시청해서 이 너무 싫다고 글을 남기는 바람에 그게 무한도전에서 개그 소재로 쓰였고, 그 글은 성지가 되었다. 또한 자세히 보면 어떤 슈팅 게임의 신하고 좀 닮긴 했다. 덤으로 2009 KBS 연예대상에서 팀에서는 베스트팀워크상, 개인으로는 최고엔터테이너상을 받았다.

슈퍼스타K2부터 지역예선 심사위원으로 꾸준히 참여하였다. 특히 슈퍼스타K2에서는 소미션인 TOP6 작사미션에서 허각김지수 담당 멘토로도 참여했는데 여기서 "어차피 우승은 존박이 한다."는 명대사를 날렸다. 슈퍼스타K4에서 로이킴의 심사를 맡게 되었을 때 이승철백지영 등은 모두 로이킴에게 불합격 판정을 내렸다. 이대로 가면 탈락이 확정되는 상황에서 이하늘은 '팝송을 그렇게 소화해낼 수 있다면 가능성이 있다'라는 평가와 함께 슈퍼패스를 사용하여 로이킴을 합격시킨다.

그리고 이후 로이킴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두며 결국 우승에 성공했다. 때문에 로이킴에게 그는 구세주와도 같은 존재며, 다른 사람들도 그의 안목을 다시 봤다는 평가. 2013년에도 슈퍼스타K5의 메인 심사위원으로 합류했다. 이때 로이킴 관련 사건이 약간 있어서 이하늘의 안목이 다시 재평가되고 있었지만, 결승 심사평에서 노잣돈 언급이[7] 참가자에게 무례하다는 평과 함께 많이 까였다. 그리고 2019년에는 로이킴이 정준영 등 불법촬영물 제작 및 유포 사건에 연루되고 사회적 매장을 당할 뻔하자 또 다시 나쁜 쪽으로 재평가를 받게 될 뻔 했으나, 로이킴이 문제의 톡방 멤버가 아닌 것으로 밝혀져서 그럴 일은 없었다. 로이킴은 딴 톡방에서 동료 연예인 사건에 대해 해명하려고 사진을 썼다가 입건된 것이라고 한다.

2018년 10월 10일에 11년 간 열애한 1988년 생 여자친구 박유선과 결혼했다. 여자친구가 스무살 때 이하늘을 먼저 좋아했고, 17살의 나이차이 때문에 이하늘이 6개월 간 고민했지만 여자친구의 계속된 구애에 연애를 시작하게 됐다고 한다. # 참고로, 2살 터울인 친동생 이현배는 평생 독신이었다. 여담으로, 예식에 참석하는 하객들에게 청첩장 대신 제주도행 항공권까지 선물로 줬다고 한다.[8]

하지만 2020년 2월 24일, 결혼한지 고작 1년 4개월 만에 이혼했다. DOC 이하늘, 1년 4개월 만에 이혼 "원만한 합의" 이후 두 사람은 우리 이혼했어요라는 예능에 막방까지 출연하였다.

3. 포지션

3.1. 메인래퍼, 작곡능력

같은 멤버인 김창열과 함께 수많은 구설수와 악동이라는 이미지가 가려져 있지만 좋은 음악적 재능을 가지고 있는 음악인이다. 일단 DJ DOC에서 딱 정해지진 않았지만 메인래퍼 수준의 킬링파트들을 소화했다. 특히 랩스타일은 발음 자체가 아주 또박해서 딕션이 좋고 래퍼들 치곤 꽤 넓은 음역대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중저음 랩도 잘 소화하지만 살짝 하이톤스러운 느낌의 랩은 이하늘의 트레이드 마크이기도 하다. 그 느낌이 잘 드러난 노래들은 Run To You, I Wanna, 부치지 못한 편지, Street life, 여름 이야기다. 90년대부터 활동하던 가수고 Rakim의 랩 디자인을 통한 랩메이킹에 혁신이 일어나기 전에 데뷔했던 Run DMC 같은 80년대 미국 힙합 뮤지션들의 영향을 많이 받은만큼 랩실력은 그렇게 뛰어나다고 할 수는 없는 편이지만[9], 한국에 힙합 음악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인 90년대 초중반부터 활동했던 래퍼치고는 리듬감이 나쁘진 않았던 편이며, 랩메이킹 개선도 꾸준히 해온 편이었다. 라이밍만 해도 5집까지는 완전각운(1음절 라임) 위주로 운용했는데, 6~7집에서는 동시대 래퍼들에 비해 모자라기는 해도 2음절 이상 라임을 배치하는 등 개선을 꾸준히 해왔다.

랩뿐만 아니라 작곡, 작사같은 프로듀싱 능력도 이하늘의 장점인데, DOC와 춤을..., Run to You등 같은 90년대~2000년대 초반 DJ DOC의 메가히트곡들을 동생 이현배와 함께 만들기도 했다. 그리고 이런 이하늘의 프로듀싱 능력의 절정을 보여준게 DJ DOC의 5집 The Life... Doc Blues 5%이다.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에도 두 번이나 올랐다.

결론을 내리면 김창열과 함께 수많은 논란과 구설수에 가려져 저평가 당한 90년대를 뒤흔든 음악인이자 실력있는 힙합음악가로 평가 받고 있다.

4. 활동

4.1. 지상파

4.2. 케이블 방송/종합편성채널

5.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하늘/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하늘/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하늘/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동료 김창열과 함께 가요계의 자타공인 양아치로,[10] 오래전부터 '가요계의 악동'이라 불리울만큼 사건사고와 구설수가 많은 편이다.

6. 여담

  • 안면인식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몇 년 전 싸웠던 친구조차 친했던 친구인 줄 알고 반갑게 인사를 건넨 적도 있다고 하며, 다른 사람들보다 심한 편이라고 언급했다.
  • 후천적 탈모라고 한다. 이주노가 미용실 운영 당시 레게 파마 모르모트가 되었는데, 이때 쓴 약이 너무 독했고, 이 레게 파마 유지에 계속 약을 쓰다 보니 결국 탈모가 왔다고 밝혔다.
  • 2002년 개봉한 영화 품행제로의 OST 제작을 맡은 적도 있다.
  • 한국 연예계에서 알아주는 낚시광. 시간에 여유가 나면 높은 확률로 낚시를 나가며, 이 덕분에 낚시 전문 채널 FTV에서 고정 프로그램도 하고 있을 정도. 실력도 매우 뛰어나 FTV 프로그램을 보면 웬만한 프로들도 쉽사리 잡기 힘들다는 거물급 감성돔 등을 슝슝 잡아낸다. 참고로 인스타 아이디도 낚시와 관련되어 있다.
  • 2집 머피의 법칙 활동 시절 헤드스핀을 하다 목뼈일부가 부러지는 중상을 입었고 회복 중 방송에서 번지점프 도중 사고로 목뼈 골절이 재발되어 활동을 잠시 접은 적이 있다.
  • 2021년 4월 17일, 친동생 이현배제주특별자치도 자택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다만 사인이 불분명해 이하늘 본인이 부검을 의뢰했고, 참고인 자격으로 이하늘 본인도 서귀포경찰서에서 조사를 받았다고 한다. 심장이상 소견으로 종결되고 장례를 치렀다.

7. 참고 자료



[1]대전광역시 동구 성남동. 출생 당시에는 성남동이 1,2동으로 나눠져 있었다가 2008년에 하나로 통합되었다.[2] 본인이 인스타라이브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데뷔 때는 178cm, 천하무적 야구단에 출연할 때는 176cm, 지금은 175cm라고 한다. 이하늘이 말하길, "키에 비해 작아보여서 그런지 171~172cm 쯤 되는 사람들이 자기들이 나보다 큰 줄 알고 사진 찍어달라고 했다가 상처받고 간다"고 한다. 여담으로 남동생은 187cm 되는 장신이다.[3] 이하늘의 형제 중 유일하게 기혼자이며 자녀가 있다.[4] MBC <명랑히어로> 2009년 2월 7일 방영분에 따르면, 농업고등학교장구 전공의 농악 특기생으로 입학하였다가 1학년 때 중퇴했다고 본인이 직접 언급한 부분이 나온다.[5] 그런데 군대같은 농악 특기생 학교를 다니는 것보다 전화기를 만드는 것이 더 힘들고 그곳에서도 심각한 폭력을 당하여 얼마 못 했다고 한다.[6] 그래서 공식적인 사유는 생계곤란으로 보이며, 애당초 중졸 학력으로만 따져도 18개월 보충역 대상이다.[7] 박시환이 흐린 기억 속의 그대를 메탈로 편곡해서 불렀는데, 무대 퀄리티가 크게 떨어졌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와 별개로 이하늘의 발언도 너무 심했다고 말이 나온 것. 여담으로 오디션 내내 이하늘은 박시환에게 극찬에 가까운 호평을 해준 적이 없다. 저 노잣돈 발언을 하기 전에 했던 말도 압권인데, "박시환 씨는 그동안 저를 한번도 만족시켜주신 적이 없어요."[8] 2개월 뒤에는 정재용결혼식을 올리면서 DJ DOC 멤버들은 이하늘이 이혼하기 전까지는 전원이 유부남들이었다. 다만, 속도위반 결혼으로 결혼 5개월만에 아빠가 된 정재용과는 달리 이하늘 본인은 이혼할 무렵까지 아빠가 안 되었다. 게다가 그 정재용도 안타깝게도 2022년 3월에 이혼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9] 실제로 7집 《풍류》에 수록된 단체곡 〈서커스 (Suckers)〉나 〈이리로〉에서의 랩을 피처링 래퍼들과 비교해 보면 플로우가 단조롭고 부드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늘 본인도 그 점을 인지한 것인지 해당 곡들에서는 각각 마지막 벌스와 첫 벌스를 맡아서 피처링 래퍼들을 부각시켜주는 역할을 했다. 그래도 6집 타이틀곡〈I Wanna〉에서 들려준 랩처럼 타이트한 랩도 드물게 하긴 했다.[10] 나머지 1명인 정재용은 둘 만큼 양아치 이미지는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