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c30452> | 이정용 관련 문서 Yi Jung-Yo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마추어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
프로 경력 | ||
| LG 트윈스 LG TWINS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상무 · 2025년 | ||
기타 | ||
플레이 스타일 및 평가 · [[이정용(야구선수)#s-4|여담]] |
이정용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군복무 | → | 2025년 | → | 2026년 |
1. 개요
이정용의 2025년에 대한 문서.2. 상무 피닉스 야구단
올 6월 전역 예정으로, 복귀 시 LG 투수진 운용에 큰 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선발 - 중간이 모두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 보직은 팀 상황에 맞춰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올시즌 퓨처스에서 첫 2경기는 각각 불펜으로 나와 1이닝 2실점, 선발로 나와 2이닝 6실점으로 좋지 못했으나, 그 뒤 5월 6일 기준 4경기 era 2.14으로 극한의 타고투저 리그가 되어버린 퓨처스 리그에서 NC의 구창모와 원투펀치를 이루며 활약하고 있다. 기록은 다음과 같다.
- 4월 12일 삼성전 5이닝 3피안타 1사사구 3탈삼진 무실점
- 4월 18일 SSG전 5이닝 6피안타 2사사구 2탈삼진 3실점
- 4월 26일 KT전 5이닝 2피안타 1피홈런 2사사구 8탈삼진 2실점
- 5월 6일 두산전 6이닝 3피안타 1사사구 7탈삼진 무실점
전역 직후 일단 선발 투수로 나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인터뷰를 보아 염경엽 감독은 치리노스에게 관리 차원에서 한 번 휴식을 부여하고 그 자리에 이정용을 선발 투수로 투입시킬 계획인 듯하다. #
그러나 염경엽 감독은 이정용이 상무에서 제대하면 불펜으로 기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 5월 27일 현재 필승조라고는 김진성, 박명근밖에 없다시피한 엘지 트윈스의 불펜에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3. 페넌트레이스
3.1. 전반기
3.1.1. 6월
6월 17일 전역 예정이며, 퓨처스에서 실전을 계속해서 치렀기에 별도의 조정 과정 없이 18일에 바로 1군 콜업될 예정이다.기사 보직은 불펜 투수로 확정되었다.또한 전역일인 6월 17일 NC전 홈경기에 군인 신분으로 시구를 하며 잠실 LG팬들에게 인사를 했다. LG가 이정용을 얼마나 기다려왔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등번호 또한 그의 입대 후 쭉 결번이었던 31번을 그대로 달 예정이다.
6월 17일 전역하였고 예정대로 1군에 곧바로 합류했다.허리 불편이 있지만 던지는 데 크게 지장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
전역 다음 날인 18일, 잠실 NC전에서 1이닝 2볼넷 1K 무실점으로 홀드를 기록하며, 복귀전 경기를 무사히 잘 마쳤다. 최고구속은 145km.
26일 수원 KT전에서 8회말 1이닝 무실점했고 9회초 역전에 성공하며 전역 후 구원승으로 오랜만에 승리투수가 됐다.
27일 잠실 KIA전에 장현식이 내준 1사 1, 3루의 위기를 혼자 힘으로 틀어막으며 실점하지 않는 좋은 모습을 보였다. 전역한지 얼마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필승조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3.1.2. 7월
1일 사직 롯데전 5회말에 등판해서 무사 12루 위기를 번트병살타+중견수 플라이로 막아내며 또 팀의 수호신 역할을 해냈다.그러나 5일 대구 삼성전에서 6:6 동점 상황에서 8회말 등판했으나 1사 이후 볼넷-안타-볼넷을 허용하며 만루를 만들고 강판되었고, 이어 등판한 유영찬이 김지찬에게 결승타를 허용하며 그대로 시즌 첫 패전을 떠안았다.
7월 8일 키움전 4:3 리드 상황에 등판하여 1이닝 1k 무실점으로 시즌 4호 홀드를 기록했다.
3.1.3. 전반기 총평
전반기 기록 |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자책점) | 탈삼진 | 사사구 | ERA | WHIP | |||
11 | 11 | 2 | 1 | 0 | 4 | 8 | 1 | 5(5) | 6 | 5 | 4.09 | 1.18 |
복귀하자마자 필승조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김진성과 박명근으로 버티던 LG 불펜의 단비가 되었다.
3.2. 후반기
3.2.1. 7월
7월 18일 잠실 롯데전에서 2-1로 앞선 7회초 두 번째 투수로 등판해 1사 후 유강남에게 안타를 내줬지만 나승엽을 상대로 2루수 땅볼을 유도해 리버스 더블 플레이로 1이닝 무실점, 시즌 5호 홀드를 기록했다.7월 20일 잠실 롯데전에서 2-2로 맞선 8회초 단 8구 만에 삼자범퇴를 기록했고 8회말 앞서나가는 점수가 나오면서 시즌 3번째 구원승에 성공했다.
7월 22일 광주 KIA전에서 0.1이닝 1피안타 1볼넷 1사구로 부진하고 마운드를 내려갔다. 유영찬이 책임주자를 모두 불러들이며 최종 기록은 0.1이닝 3실점. 사실상 이정용의 복귀 후 첫 부진한 투구였다. 그래도 팀은 9회초에 대역전드라마를 쓰며 승리했다.
7월 24일 광주 KIA전에서 0-0으로 맞선 1사 1,2루 위기 상황에 등판하여 고종욱과 김호령을 모두 삼진으로 돌려보내며 호투했고 8회초에 타선이 무려 8점을 뽑아내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7월 27일 잠실 두산전에서 3회말 2.2이닝 3실점으로 강판당한 최채흥의 뒤를 이어 나와 아웃카운트 하나를 잡으며 위기를 넘겼다. 그러나 곧이은 4회말 3연속 안타를 맞고 강판당했고 후속 투수 함덕주의 분식으로 주자가 모두 들어오며 0.1이닝 3실점을 기록했다. 직구 구속이 평속 142-3에 그치는데다가 변화구 제구까지 안되며 거하게 털리는 모습이 반복되고 있다.
현재 시즌 방어율은 7.36에 후반기엔 6경기 17.18로 사실상 후반기 들어서는 민폐만 끼치고 있다.
3.2.2. 8월
8월 3일 대구 삼성전에서 6:3으로 앞선 7회에 등판해 피안타 2개를 내줬지만 병살타 유도 등으로 1이닝 무실점했다. 곧바로 강우콜드로 승리하면서 시즌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7일 두산전에 8회초에 등판하여 삼진 2개를 잡아내며 투구수 14개로 막아냈다.
10일 한화전은 1이닝 무실점했다.
12일 수원 KT전은 0.1이닝 무실점. 이지강의 부진 때문에 안 나와도 될 상황에 나왔다.
16일 문학 SSG전은 7-7로 동점을 만든 6회말 함덕주가 실책으로 남긴 주자를 피안타 2개로 분식했고 이게 결승점이 되었다.
20일 잠실 롯데전 3-3 동점 상황에서 1이닝 무실점하며 시즌 5번째 구원승을 챙겼다.
23일 광주 KIA전 6:2 상황에 등판해서 등판해서 1⅓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7번째 홀드를 기록했다. 현재까지 8월 실점이 없다.
26일 창원 NC전 7:4로 앞선 6회에 등판했지만 ⅓이닝 3실점으로 박살났다. 8월 무실점 행진도 끝나고 평균자책점은 5.79로 상승
3.2.3. 9월
4일 수원 kt전에서 7회 6:5로 1점차까지 쫓아간 상황에서 등판했는데 안현민에게 투런포를 얻어맞았다. 그런데 8회에 문성주의 역전 만루홈런이 나오면서 6번째 구원승을 기록했다. 6월에 합류했으나 에르난데스보다 승이 많다.7일 잠실 SSG전에 구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9일 고척 키움전에 구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11일 잠실 kt전에 구원 등판해 0.2이닝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14일 수원 kt전에 구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16일 수원에서 열린 kt와의 더블헤더 2차전에 구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안현민에게 홈런을 허용한 경기 이후 계속 무실점을 기록하며 장현식의 부진으로 인한 필승조 공백을 함덕주와 함께 채워줄 것으로 보인다.
23일 창원 NC전에 구원 등판해 아쉬운 수비가 겹치긴 했으나 2사 상황에서 주자 2명을 쌓고 강판되며 함덕주, 백승현, 이지강이 합작한 빅이닝의 시작점이 되었다. 최종 기록은 0.2이닝 2피안타 2실점을 기록하였다.
29일 대전 한화전에서 6회 2사 만루 상황에서 등판하여 손아섭에서 2타점 적시타로 함덕주의 2자책점[1]을 기록하였다. 이후 삼진으로 이닝을 마무리했다.
3.2.4. 후반기 총평
후반기 기록 |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자책점) | 탈삼진 | 사사구 | ERA | WHIP | |||
28 | 23 | 4 | 0 | 1 | 3 | 24 | 2 | 14(14) | 20 | 7 | 5.48 | 1.35 |
전반기에는 기대했던 모습대로 필승조에 무난하게 안착하여 팀에 도움이 되었으나 후반기 KIA전 3실점을 출발로 기복이 심한 모습을 보여주며 추격조 수준에 그쳤다. 얘네 둘 보다는 낫다지만, 후반기 부진한 모습을 보여준건 사실. 본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받았던 선발 자리는 이미 꽉 차버려서 내년에는 불펜으로 잘 준비해야 할 것이다.
4. 포스트시즌(필요시)
5. 시즌 총평
이정용의 2025시즌 기록 |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자책점) | 탈삼진 | 사사구 | ERA | WHIP | WAR | ||
39 | 34 | 6 | 1 | 1 | 7 | 32 | 3 | 19(19) | 26 | 14 | 5.03 | 1.29 | 0.57 |
6. 시즌 후
7. 관련 문서
[1] 함덕주는 이날 선발투수 임찬규가 내려가고 구원 투수로 올라와 임찬규의 2자책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