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8 13:25:47

이장우(1937)

파일:동양방송 로고_White.svg 아나운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동양방송 아나운서
RSB 개국요원(1964) <colbgcolor=#fff,#191919>고려진[K] · 길종휘 · 김동건[2] · 민창기 · 박노설 · 박종세[K] · 원종관[K] · 유욱자 · 윤미자 · 이성화 · 이장우[K] · 조봉남 · 주수광 · 최계환 · 하성해
RSB 1기(1964) 권귀순 · 김동만 · 구박 · 남정우 · 박병학[K] · 서기원[K] · 장세덕 · 조문자 · 최귀정
DTV 1기(1964) 김경실 · 박혜자 · 성대석 · 이강자
2기(1965) 신화철 · 이부미자 · 이시일
3기(1966) 이정혜 · 황인용[K]
4기(1967) 고경중 · 권윤기 · 김민자 · 김양일[K] · 김영선 · 김영애 · 나동숙 · 맹관영[K] · 박태웅 · 원종순 · 유경영 · 이보길 · 임양근 · 임철호
5기(1968) 고은숙 · 김기덕 · 김경옥 · 김성덕 · 김동숙 · 박지호 · 원창묵[K] · 이주 · 조천영 · 최석희 · 허경회
6기(1969) 백순명 · 백윤숙 · 유수호[K] · 유영순 · 이혜자 · 최운기 · 홍아영
7기(1970) 김동숙 · 박계옥 · 유선준 · 윤정근 · 최동철 · 최봉현
8기(1972) 김기남 · 김미자 · 박성옥 · 안정희 · 이미숙 · 이상경 · 이현애 · 최인실
10기(1973)
KBS 1기 상당
고수웅[K] · 김기혜 · 안계상 · 양원자 · 이재명 · 함영미
11기(1974)
KBS 2기 상당
남선현 · 류인순 · 이영희 · 주성혜 · 최간
12기(1975)
KBS 3기 상당
공영주 · 백상철 · 윤여복 · 정미호 · 채관숙
13기(1976)
KBS 3기 상당
김창매 · 안희진 · 허주[K] · 홍우창
14기(1977)
KBS 4기 상당
강미정 · 김경태 · 박성희[K] · 박초아[K] · 안영희 · 이영재 · 이영혜[K] · 이정애[K] · 이희옥 · 하재숙
15기(1978)
KBS 5기 상당
박성명 · 안현정 · 원종배[K] · 이경숙 · 이미령
16기(1979)
KBS 6기 상당
박광호 · 이정옥 · 지영서[K] · 최희선[K] · 홍인화
}}}}}}}}}
[K] 언론통폐합 후 KBS에서 활동한 아나운서[2] 언론통폐합 이전인 1973년에 KBS로 이적[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

<colcolor=#ffffff>
파일:이장우 아나운서.jpg
<colbgcolor=#000000> 이름 이장우 (李章雨)
출생 1937년 7월 29일
사망 2024년 4월 26일 (향년 87세)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은평성모병원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경주 이씨[1]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문학 / 학사)
경력 KBS 아나운서실 실장
KBS 스포츠 캐스터
가족 형 이홍우
배우자 외 2남

1. 개요2. 이력3. 퇴직 이후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아나운서.

2. 이력

한국외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1961년에 MBC 개국을 앞두고 1기 아나운서로 선발되었고, 1964년 라디오서울(RSB·동양방송 전신)로 스카우트 되어 같은 해 12월 7일에 동양방송(TBC) TV의 개국 방송을 진행하였다. [2]

이후 1980년에 방송 통폐합으로 인해 KBS로 이적하였다. [3] 1986년부터 3년 동안 KBS 아나운서 실장을 맡아 1986 아시안 게임과 1988 올림픽 방송을 총지휘했다. 당시 스포츠캐스터 전원에게 복수(複數)의 전담 종목을 정하게 한 뒤 경기 규칙과 강팀 전력 분석 등을 담은 '88 올림픽 종목별 가이드북'을 만들게 했다. [4]

1982년에 개막 경기를 비롯해 프로야구 주요 경기 중계를 맡았다. 3월 27일 삼성 대 MBC전 10회말 7-7 동점 상황에서 MBC 이종도가 만루홈런을 쳤을 때도 아∼레프트! 레프트 크다! 레프트, 레프트, 레프트! 홈∼런! 만루홈런∼!이라고 중계하였다.

3. 퇴직 이후

1995년에 한국스포츠TV 이사대우 방송위원으로 근무했다. [5]

1997년 10월 5일에 모친상을 겪었다. 발인은 7일이었다. #


[1] 중시조 38세손 ○우(雨) 항렬.[2] 김성호 한국방송연구회장은 책 '한국아나운서통사'(2013)에서 "동양방송 아나운서실의 기틀을 잡는데 혼신을 다했는데, 치밀하면서도 대범한 성격이라 초석을 마련하는데 적임자였다"고 적었다.[3] 1982년 방송월보(2월호)에 실은 '위성시대에 스포츠캐스터에게 요구되는 것'이라는 글에서 "스포츠캐스터의 요건은 '입'이 빨라야 함은 오랜 정설임과 동시에 오늘의 시점으로 보아도 옳은 말"이라고 설파했다.[4] 이계진 한국아나운서클럽 회장은 책 '(이규항 김승한 이장우) 3인 아나운서 이야기'(2015)에서 "깔끔한 성품처럼, 캐스터가 장황하거나 군더더기 있는 중계를 하는 걸 좋아하지 않았다. 아나운서들에게 깔끔하고 감칠맛 나는 표현의 세련된 중계방송을 요구했다"고 했다. 고인과 함께 야구 중계로 유명했던 유수호 전 아나운서는 같은 책에서 "'입추의 여지없는', '천고마비의 계절' 같은 상투적인 멘트를 못 하게 하셨고, '실내체육관'은 '역전앞'처럼 '의미중첩어'라며 그냥 '체육관'으로 하라고 했다"고 기억했다.[5] 이계진 회장은 "맛과 멋을 아는 아나운서였다"고 회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