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17:22:52

이예원(골프선수)



파일:메디힐 로고(백색).png 메디힐 골프단 소속 선수 명단
{{{#!wiki style="margin: 0 -11px; color: #0850a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안나린 김아림 이다연 박현경 이예원 배소현
한진선 이채은2 김나영 정지효 안지현 홍예은
}}}}}} ||

이예원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LPGA 로고.svg
2022 KLPGA 신인상

파일:KLPGA 로고.svg
2023 KLPGA 상금왕

파일:KLPGA 로고.svg
2023 KLPGA 최저타수상

파일:KLPGA 로고.svg
2023 KLPGA 대상

파일:KLPGA 로고.svg
2024 KLPGA 다승왕

파일:KLPGA 로고.svg 단일 시즌 10억 달성 선수 일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달성 시즌 선수 금액 우승 탑텐 피니시
2014년 김효주
(롯데)
1,208,978,590원 5 18
2016년 박성현
(넵스)
1,333,090,667원 7 13
고진영
(넵스)
1,022,449,332원 3 16
2017년 이정은6
(토니모리)
1,149,052,534원 4 20
2019년 최혜진
(롯데)
1,207,162,636원 5 13
장하나
(BC카드)
1,157,723,636원 2 13
2021년 박민지
(NH투자증권)
1,521,374,313원 6 14
2022년 1,477,921,143원 6 12
김수지
(동부건설)
1,082,580,549원 2 17
2023년 이예원
(KB금융그룹)
1,424,817,530원 3 13
임진희
(안강건설)
1,145,835,048원 4 13
2024년 윤이나
(하이트진로)
1,211,415,715원 1 14
박현경
(한국토지신탁)
1,133,196,561원 3 13
박지영
(한국토지신탁)
1,112,269,254원 3 11
황유민
(롯데)
1,051,042,290원 1 9
2025년* 노승희
(요진건설)
1,110,539,754원 1 10
유현조
(삼천리)
1,094,619,148원 1 15
홍정민
(CJ)
1,005,266,667원 2 9
※ 볼드체: 시즌 1위 / 파란색 볼드체: 역대 1위
*: 2025년 9월 21일 기준.
}}}}}} ||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c5abb 0%, #ffffff 20%, #ffffff 80%, #2c5abb); margin: 0 -11px -5px; padding: 0px 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서희경
,하이트진로,
이보미
,하이마트,
김하늘
,BC카드,
김하늘
,BC카드,
김세영
,미래에셋,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김효주
,롯데,
전인지
,하이트진로,
박성현
,넵스,
이정은6
,토니모리,
이정은6
,대방건설,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최혜진
,롯데,
김효주
,롯데,
박민지
,NH투자증권,
박민지
,NH투자증권,
이예원
,KB금융그룹,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박현경
,한국토지신탁,
}}}}}}}}} ||

역대 KLPGA 메이저 대회 - 하이트진로 챔피언십 우승자
2022년 - 제 22회
박민지
2023년 - 제 23회
이예원
2024년 - 제 24회
김수지

}}} ||
회원번호 No.1447
파일:2025 이예원.jpg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름 이예원 (Lee Yewon)
출생 2003년 2월 13일 ([age(2003-02-13)]세)
경기도 오산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63cm
가족 부모님, 여동생
학력 오산원일초등학교 (졸업)
문정중학교 (졸업)
비봉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국제스포츠학 / 학사)
소속사 매니지먼트서울
소속팀 KB금융그룹 (2021~2024)
메디힐 (2025~ )
데뷔 2021년 4월 KLPGA 입회
링크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기록
4.1. 수상 이력4.2. 상금 / 대상 포인트 순위
5. 별명6. 여담7. 보유 기록8. 역대 프로필 사진

1. 개요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

데뷔 첫 해인 2022 시즌 KLPGA 투어에서 신인상을 수상하였고, 2023 시즌에는 3관왕(대상, 상금왕, 최저타수상), 2024 시즌에는 다승왕을 수상하며 KLPGA 투어의 새로운 대세가 되었다.

2. 선수 경력

이예원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이예원(골프선수)/선수 경력
파일:KLPGA 로고.svg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전체적으로 고르게 잘 하는 육각형의 경기력이 최대 장점이다. 저점이 높고 기복 없는 안정적인 플레이[1]를 보이며, 멘탈이 좋다.[2] 이를 보면 박민지와 유사하다.

드라이버 샷이 견고하다. 드라이브 거리는 240야드 정도로 장타자가 아닌 편[3]이지만 페어웨이/그린 적중률이 상위권이라 정교한 경기를 보여준다. 2022 시즌 드라이빙지수와 히팅능력지수[4]에서 1위를 기록함과 더불어 대개 장타자들이 높은 점수를 받는다는 SG(Strokes Gained) 티샷 부문에서도 기록이 좋다. 2022 시즌 0.64로 9위, 2023 시즌 0.66으로 3위를 기록했다.[5] 다만 2024 시즌은 전체적인 SG가 감소한 대신 퍼팅 SG만 늘었다.

시즌 초, 특히 5월에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역대 9승 가운데 7승이 3~5월에 거둔 우승이며, 그 중 5월에 4승을 몰아서 했다.[6] 하지만 여름인 6~8월은 5월의 강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다소 평범한 편이고, 선선해지는 9월부터 경기력이 좋아지는 편이지만 5월에 비하면 약하다. 가을수지의 안티테제 봄예원

4. 기록

4.1. 수상 이력

  • 2022 KLPGA 신인상
  • 2023 KLPGA 대상, 상금왕, 최저타수상
  • 2024 KLPGA 다승왕
  • KLPGA 투어 통산 9승 (메이저 우승은 볼드체) / 기타: 2023 위믹스 챔피언십 우승

2023년 4월 KLPGA 투어 롯데렌터카 여자오픈[7]
2023년 8월 KLPGA 투어 두산건설 We've 챔피언십
2023년 10월 KLPGA 투어 하이트진로 챔피언십
2024년 3월 KLPGA 투어 블루캐니언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4년 5월 KLPGA 투어 NH투자증권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4년 5월 KLPGA 투어 Sh수협은행 MBN 여자오픈[8]
2025년 4월 KLPGA 투어 두산건설 We've 챔피언십
2025년 5월 KLPGA 투어 NH투자증권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5년 5월 KLPGA 투어 두산 매치플레이

4.2. 상금 / 대상 포인트 순위

  • 2022년: 849,784,000원 (3위)[9] / 530점 (4위)
  • 2023년: 1,424,817,530원 (1위)[10] / 651점 (1위)
  • 2024년: 945,056,705원 (7위) / 472점 (4위)
  • 2025년: 922,161,436원 (4위) / 373점 (6위)[11]

5. 별명

  • 인간말본: 말본 골프의 로고를 닮아서 붙여진 별명.[12]
  • 퍼펙트바니: 대회 때마다 완벽을 추구하여 퍼펙트+토끼상이라 퍼펙트바니. 이예원 팬클럽 이름이기도 하다.
  • 돌부처, 골프 기계(AI): 대회 때마다 표정 변화 없는 모습을 보여서 돌부처라는 별명이 붙여졌으며, 2024 시즌 초 실수 없는 완벽한 플레이를 구사하는 경우가 자주 있자 골프 기계, 심지어는 AI 같다는 표현을 팬들이 하기도 했고, 주춤할 때는 기계(AI) 더위 먹었다는 드립도 나오기도 했다. 다만 이 드립은 가장 잘할 때인 5월에만 성행하고 나머지 기간에는 잘 사용되지 않는 편.
  • 토마스: 2025 시즌을 앞두고 벌크업을 했는데 얼굴이 토마스를 닮아서 붙여졌다. 25 시즌 초 경기력도 워낙 좋아 폭주기관차라는 표현도 가끔 쓰인다.
  • 삼예원: 데뷔 시즌만 하더라도 콩예원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나 첫 우승을 거둔 이후에는 콩라인에서 벗어나 오히려 3과 연관성이 많아졌다. 여자 골프계의 삼수범
    • 2003년 2월 13일 출생.
    • 2022 시즌: 3번의 준우승, 3번의 3위, 상금 순위 3위, 탑텐 피니시 13번, 컷탈락 3번, 역대 9(3x3)번째 무관의 신인상 수상.
    • 2023 시즌: KLPGA 데뷔 첫 우승을 시즌 3[13]번째 대회에서 거둠, 3승과 함께 3관왕(상금, 평균타수, 대상포인트 1위)을 달성. 2년 연속 탑텐 피니시 13번은 덤.
    • 2024 시즌(3년차): 2년 연속 3승으로 공동 다승왕에 오르며 3년 연속 메인 타이틀을 수상.
    • 2025 시즌: 3년 연속 3승 달성, 두산 매치플레이 3번째 우승 도전 끝에 우승하며 통산 9(3x3)번째 우승.
    • 또한 3R 대회에 강하고, 단일 시즌 최다 우승 횟수가 3에 묶여 있기도 하다.

6. 여담

  • MBTIESTJ. 롤모델은 박인비와 최나연이라고 유튜브 나연이즈백에서 밝혔다.
  • KLPGA 투어의 신흥 대세답게 동료 선수들로부터 드라이버, 아이언, 퍼터를 잘하는 선수로 그의 이름이 빠지지 않고 언급되고 있다. 특히 퍼팅이 좋은 선수로 가장 많이 지목을 받고 있는데, "옆에서 예원이가 퍼트하는 걸 보면 다 들어갈 것같다"고들 말한다.
  • 초등학교 때 스코어카드에 스마일 표시를 그리고 경기에 들어갔을 때 잘 풀린 적이 있어 계속 그렇게 하고 있다. 스마일 표시를 못 그리면 지우고 다시 그리기도 한다. 더불어 음악을 좋아하나 경기 때는 듣지 않는다고 밝혔다.
  • 중학생 때부터 알고 지냈던 동갑 유서연2[14]와는 절친이며, 같이 국가대표를 했던 윤이나, 김재희와도 친하다. #
    • 그 외에도 다른 선배, 후배 선수들과도 두루두루 친한 편. 2024년 하이트진로 챔피언십 당시 릴레이 인터뷰에서 김민별과 친하다고 밝혔다. 이 두 선수는 꽤나 접점도 많은데, 2023 맞수한판 때 같은 팀원이었고, 두 선수 모두 무관의 신인상[15]이었기에 친해진 것으로 보인다.
  • 맛집 탐방과 영화 감상을 좋아한다. 공포는 좋아하지 않고 로맨스나 스릴러를 좋아한다.
  • 이태원 클라쓰가 인생 드라마이며 박서준의 팬이다.
  • 양식을 좋아하는데 그 중 최애는 알리오 올리오. 박현경과 뇨키를 먹으러 가는 모습도 보였다.
  • 2022년 9월 스포츠W가 선정한 이달의 MIG를 수상했다. #
  • 2023년 3월부터 강아지를 기르고 있다. 비숑이며, 이름은 '우유'라고 지었다.
  • 2022 시즌 한 인터뷰에서 준우승과 관련된 별명이 붙는 것에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고 한다. 이후 딱 1년 뒤인 2023 시즌 진행한 인터뷰에서는 '신흥 대세'라는 별명이 붙자, 마음에 든다며 오래 들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 2023~2025년 KLPGA 홍보모델로 선정[16]되었고, 2023년 KLPGA 멤버스 5월호 표지모델이 되었다.
  • 2023년 11월 7일 공개된 '안캐디 시즌2' 10회에 유서연2와 함께 출연했다. #
  • 2025년 7월 25일 잠실 야구장에서 진행된 두산과 LG 경기에서 시구를 했다.[17]

7. 보유 기록

파일:KLPGA 로고.svg KLPGA 역대 신인상포인트 1위
시즌 포인트 컷통과/참가대회 우승
2022 3001 26/29 0
파일:KLPGA 로고.svg KLPGA 역대 단일 시즌 상금 1위 (우승 0회)
시즌 상금 순위 컷통과/참가대회 탑텐 피니시
2022 849,784,000원 3위 26/29 13
파일:KLPGA 로고.svg KLPGA 투어 노보기 우승
대회명 총 라운드 시즌
Sh수협은행 MBN 여자오픈 3R 2024
파일:KLPGA 로고.svg KLPGA 투어 최다 라운드 연속 노보기
연속 라운드 수 시작 라운드(날짜) ~ 마지막 라운드(날짜)
5 2024 NH투자증권 레이디스 챔피언십 3R
(2024.05.12)
셀트리온 퀸즈 마스터즈 1R
(2024.06.07)
파일:KLPGA 로고.svg 2024년 5월 위메이드 대상포인트 MVP
이정민
(한화큐셀)
이예원
(KB금융그룹)
박현경
(한국토지신탁)
파일:KLPGA 로고.svg 2025년 5월 위메이드 대상포인트 MVP
방신실
(KB금융그룹)
이예원
(메디힐)
이동은
(SBI저축은행)

8. 역대 프로필 사진

매 시즌마다 프로필 사진이 변경되고 있다.
파일:01447.jpg 파일:20221226151651306125.jpg 파일:2024 이예원 전신.jpg
2022 시즌[18] 2023 시즌[19] 2024 시즌

[1] 데뷔 시즌인 2022 시즌에는 컷탈락 3번, 2023, 2024, 2025 시즌에는 1번밖에 없을 정도.[2] 대표적으로 2023 시즌 한화 클래식에서의 우산 2벌타 때에도 침착하게 플레이했으며, 하이트진로 챔피언십 FR 후반 홀에서도 2번이나 해저드로 갔지만 이를 모두 보기로 막아냈다.[3] 그래도 소위 '짤순이'까지는 아니고 KLPGA 투어 평균 정도의 비거리를 날린다고 보면 된다. 이 인터뷰에서 2024 시즌에는 5야드를 더 늘리고 싶다고 밝혔다.[4] 데뷔 이래 매번 이 두 지표에서 최소 3위 이상을 기록할 정도로 안정적이다.[5] 참고로 이예원을 제외한 2023 시즌 SG 티샷 탑5는 1위부터 순서대로 배소현(0.78), 김수지(0.77), 김민별(0.66), 황유민(0.63)으로, 이 선수들은 모두 드라이브거리 상위권(황유민 2위, 배소현 8위, 김수지 9위, 김민별 11위)에 위치해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티샷을 정확하고 멀리 보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6] 어찌 보면 이예원이 강한 코스인 수원CC와 라데나에서 진행되는 대회들이 5월에 다 있어 그런 것일 수도 있다.[7] 이 대회는 2023 시즌을 끝으로 폐지가 결정되어 마지막 우승자가 되었다.[8] 5.31에 시작하여 6.2에 종료[9] 역대 단일 시즌 우승 0회 선수 중 상금 1위.[10] 역대 단일 시즌 최다 상금 3위.[11] 2025년 9월 21일 기준.[12] 정작 말본 골프의 후원은 이예원이 아닌 전예성이 받았다.[13] 2022년 12월에 2개 대회를 한 이후 2023년 4월부터 본격적인 시즌이 시작되었다.[14] 그래서 매 시즌이 끝나고 진행되는 이벤트 경기의 캐디를 맡기도 한다. 심지어 2024 시즌에는 유서연2가 무안에서 진행된 시드전이 끝나고 하루 만에 부산에서 진행된 위믹스 챔피언십에 나올 정도다. 다만 저 시드전에서 유서연2는 2025 시즌 KLPGA 투어 시드를 받지 못했다[15] 다만 이들의 데뷔 시즌 성적을 보면 우승만 빼고 다 잘했다는 공통점이 있다.[16] 2023, 2025 시즌은 투표로, 2024 시즌은 상금 1위 자격으로 자동 선정[17] 여담으로 이예원은 2024년 호주에서 동계훈련을 할 때 당시 두산 베어스의 감독인 이승엽을 만난 적이 있으며, 이예원의 전 메인 스폰서였던 KB는 두산의 스폰서이기도 하다.[18] 시즌 중간까지만 사용[19] 정확히는 2022 시즌 말부터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