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LF |
Isuzu Elf / いすゞ・エルフ
Chevrolet Low Cab Forward / N-Series
홈페이지
한국지사
1. 개요
일본의 이스즈에서 1959년부터 생산하는 준중형 트럭으로, 이스즈의 주력 모델들 중 하나이다.대다수 아시아 국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트럭이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대한민국에선 간간이 드문드문 다니는 트럭이긴 하지만[1][2] 실제로 일본 외에 중화권(홍콩, 마카오, 대만), 태국 등에서도 쉽게 볼 수 있으며 중국[3]과 러시아에서도 현지 회사에서 라이선스 생산 중이다.
북미 시장에도 제네럴 모터스 산하의 쉐보레/GMC 브랜드로 수입 판매되었고 2016년부터 쉐보레 로우 캡 포워드로 생산된 바 있다. 쉐보레 브랜드로는 현재도 판매되고 있으며, 이스즈 N 시리즈라는 이름으로도 판매한다. 북미에서 판매되는 몇 안되는 캡오버 트럭 중 하나다.[4]
유럽 시장에서는 이스즈 Q시리즈라는 명칭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특히 영국에선 그래프터(Grafter)라는 명칭으로도 판매된다.
2. 역사[5]
2.1. 1세대 (1959~1968)
코치 도어를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2.2. 2세대 (1968~1975)
1973년에 GM코리아에서 시보레 2.5톤 트럭이라는 이름으로 라이선스 생산하면서 공식적으로는 대한민국 땅을 처음 밟았던 엘프 트럭이었다.
2세대 엘프 모델 중 특이한 모델이 있는데, '엘프 FF 마이팩(エルフ FF マイパック)' 이라는 모델이다. 1972년 4월부터 1979년 5월까지 생산되었고 일본 최초의 전륜구동 소형트럭이라고 한다. 엔진을 앞쪽으로 내면서 본넷이 약간 튀어나오게 되었고 헤드램프를 세로배열로 바꾸면서 외형은 일반적인 2세대 엘프와 많이 다르지만, 도어를 공유하면서 캡 측면은 비슷하다. 용도는 청소차 등 특장차 용도로 제작되었는데, 일반적인 엘프와 비교했을시 본넷이 약간 튀어나오는 바람에 그만큼 적재공간이 줄어들었고, 가격이 1.5배 정도 오르게 되는 바람에 그다지 많이 판매되지 못해서 총 생산대수는 832대에 불과하다.
2.3. 3세대 (1975~1984)
만화 도카벤을 이용한 일본 원판 광고.(1980년)
국내에서는 후술할 대우 엘프 2세대 모델과 3세대 모델의 베이스 모델이다. 대우 엘프 2세대 모델은 이스즈 엘프 3세대를 거의 그대로 가져온 것이었고, 대우 엘프 3세대 모델은 일부 외부 패널을 다듬고 앞모습을 고쳐서 이스즈 엘프 4세대 모델 비슷하게 꾸민 것이었다. 이스즈 엘프 3세대, 즉 대우 엘프 2, 3세대 모델은 도어 손잡이 윗쪽에 열쇠 구멍이 있으므로 도어 손잡이 아래에 열쇠 구멍이 있는 이스즈 엘프 4세대와 확실히 구별할 수 있다.
2.4. 4세대 (1984~1993)
| |
전기형 150 모델 | 후기형 |
일본 현지에서는 윗급 차종 중 포워드 3세대 모델 섀시에 엘프 캡을 얹은 포워드저스톤 1세대 모델이 존재한다. 경쟁사 미쓰비시 후소의 파이터 미니온에 대응하기 위한 모델.
2.5. 5세대 (1993~2023)
이 차량은 국내에 직수입 된 적이 있었다. 인천국제공항 구내 트럭 중 1대가 확인됐고, 해당 차량은 2005~2006년식이다.
이 캡의 상위 차종으로 준중형 차종 중 포워드저스톤 2세대 모델이 존재하는데, 포워드 4세대 모델의 섀시에 5세대 엘프의 캐빈을 얹은 모델이다.
마쓰다 타이탄이 2004년부터는 자체 생산을 중단하고 이 디자인의 엘프를 OEM 방식으로 생산하는 중이다.
스탠다드 캡 사양은 6세대 출시 이후에도 비슷하게 생긴 외관으로 빅 마이너체인지를 거쳐 2023년 7세대 출시까지 무려 30년 동안 병행생산되었다.
2.6. 6세대 (2006~2023, 2006~현재[6])
|
왼쪽부터 스탠다드 캡, 하이 캡, 와이드 캡이다.[7] |
| |
2017년형 모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스즈 엘프/6세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스즈 엘프/6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7. 7세대 (2023~현재)
2023년 3월 7일 17년 만에 완전히 새로 설계한 7세대 모델이 공개됐으며, 동년 여름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스탠다드 캡은 새로운 디자인으로 변경됐고, 나머지는 6세대의 캡을 그대로 사용하되, 풀 LED 헤드램프/주간주행등과 승용차 느낌의 그릴을 적용했다. 계기판 중앙 7인치 디스플레이, EPB,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긴급제동보조, 차선이탈 보조, 운전자 모니터링, 비상 운전 정지 시스템, 비상보조시스템, 어댑티브 드라이빙 빔 등의 다양한 편의사양과 안전사양이 새롭게 추가됐다.
파워트레인은 직렬 4기통 3.0L 4JZ1-TCS(150마력) 및 4JZ1-TCH(175마력) 디젤 엔진을 탑재하며, 6단 수동을 기본으로 준중형급 트럭 최초로 9단 ISIM(Isuzu Smooth Intelligent Transmission, MYY9S)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토크 손실과 변속충격이 적고, 연비를 위해 회전수를 낮게 유지하고 소음을 줄여 운전 피로도를 완화시켜 준다고 홍보 중이며, 토크 컨버터가 장착돼 있다.
이스즈 최초로 전기자동차 모델로 ELF mio EV가 출시됐다. 배터리팩은 일반캡 표준 휠베이스는 40kW 용량 2개, 2종류 모두 선택 가능한 60kW 용량 3개, 킹캡 롱 휠베이스는 100kW 용량 5개가 탑재되며, 급속 충전과 외부 전원 공급 기능을 갖췄다.[8] 북미에서도 NPR EV라는 이름으로 도입되었다.
엔진 | 엔진 형식 | 과급 방식 | 배기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변속기 |
이스즈 4JZ1-TCS | 3.0L 직렬 4기통 | 터보 | 2,999cc | 150ps | 38.2kgf·m | 6단 수동 9단 DCT |
이스즈 4JZ1-TCH | 175ps | 43.8kgf·m |
3. 파생형
3.1. 쉐보레 로우 캡 포워드 (2016-현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쉐보레 로우 캡 포워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쉐보레 로우 캡 포워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대우 엘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우 엘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우 엘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기타
- 이스즈의 유명한 음악이 있는데, '이스즈의 트럭'이라는 노래가 사실은 이 차량의 광고를 위해 제작된 노래였다고 한다. 결국 이것이 유명해져서 대부분의 이스즈 차량 광고에 사용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 이름이 엘프라서 이세계 전송용 트럭이라는 농담이 있는데, 진짜로 홍보용으로 이세계에 엘프 트럭이 소환되는 만화가 발매된 적이 있다. 제목은 이세계 최강 트럭 소환, 이스즈 엘프로 6세대 모델이 등장한다. # 작가의 트위터에 따르면 작가 본인도 처음에 편집장이 '여고생이 엘프로 무쌍 찍는 이야기'라고 설명했을 때 평범한 이종족 환생 이세계물인 줄 알았다가 이스즈에서 허락을 받았다고 추가하자 듣고 혼란에 빠졌다고 한다.
- 토미카 제품으로 다양한 모델들의 이스즈 엘프 시리즈가 발매되었다.
4.1. 미디어
- 아키하바라 무차별 살상사건에서 범인이 5세대 버전 트럭을 범행에 사용했다.
- 미니특공대 슈퍼공룡파워 6화에서 6세대 탑차 모델이 트래픽카로 등장한다. 또한 34화에서도 경찰차에게 쫒기는 것으로 또 한번 등장했다.
- 살인자ㅇ난감(드라마) 6화 초반부에 휴게소에서 배경 차량으로 등장한다.
- 크래시 3화 후반부에는 용의자들의 렌터카 업체 차고지에 주차된 트럭들 중 하나로 흰색의 6세대 엘프가 등장한다.
- 카 여행을 떠나요에서는 사이즈만 작아진 형태로 나온다.
5. 경쟁 차량
- 현대자동차 - 마이티
- 토요타 - 다이나
- 히노 - 듀트로
- 닛산 - 아틀라스
- UD트럭 - 카제트
- 미쓰비시 후소 - 캔터
- 마쓰다 - 타이탄
- 포톤 - 아오마크
- MAN - TGL
- 타타대우상용차 - 더쎈(2.5톤, 3.5톤 모델)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ED1C24> 분류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소형차 | - | 벨렛 · 제미니(1~3세대) | |
준중형차 | - | 제미니(4~5세대) | |
중형차 | - | 플로리안 · 아스카 | |
대형차 | - | 스테이츠맨 드 빌 | |
스포츠카 | - | 117 · 피아자 · PA 네로 | |
레이스카 | - | 벨렛 R6 | |
소형 SUV | - | 비히크로스 | |
중형 SUV | - | 빅혼 · MU / 위자드 · 악시옴 · 어센더 | |
준대형 SUV | MU-X | MU-7 | |
오프로더 | - | 유니캡 | |
MPV | - | 오아시스 · 필리 | |
픽업트럭 | D-맥스 | 패스터 / 로데오 · 펍 · 옴브레 · i-시리즈 | |
LCV | 코모 | 파고 | |
트럭 | 엘프 · 포워드 · 기가 · 트라가 · 리치 · 바이슨 | H-시리즈 · 뉴 파워 · 810 | |
버스 | 엘가 · 엘가 미오(하이브리드 · EV) · 갈라 · 보흐단 · 터쿼이즈 | BX · BA · BC · BU · BH · CRA · 하이데커 · CPA · CQA · PA · 슈퍼 크루저 · 저니 | |
군용 차량 | 73식 대형트럭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승용 · SUV · RV · 승합 · 경상용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tablecolor=#373a3c,#ddd><tablebgcolor=#fff,#191919><tablewidth=100%> 1960년대 | 새나라자동차 새나라 · 신진 신성호 · 신진 코로나 · 신진 퍼블리카 · 신진 크라운 · 신진 랜드 크루저 픽업 · 신진 에이스(승합 모델) |
1970년대 | 시보레 1700 · GMK 레코드(로얄 시리즈) · GMK 캬라반 · GMK 카미나 · 새한 제미니 | ||
1980년대 | 새한 맵시 · 맵시나 · 르망(해치백) · 임페리얼 · 바네트 코치 | ||
1990년대 | 티코 · 마티즈(CVT) · 르망 이름셔 · 라노스 · 에스페로 · 프린스 · 씨에로 · 누비라 · 레간자 · 매그너스 · 브로엄/수퍼살롱 · 아카디아 · | ||
2000년대 | 칼로스 · 젠트라 · 라세티 · 토스카 · 스테이츠맨 · 베리타스 · G2X · 윈스톰 · 윈스톰 맥스 · 레조 | ||
2010년대 | (GM대우) 알페온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버스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 1960년대 | 신진 마이크로버스 · 신진 FB100LK · 신진 RC420TP | |
1970년대 | BLD24/BL064(시보레 라이트 버스) · 시보레 BD 시리즈 · 새한 BU 시리즈 · 새한 BF 시리즈필리핀 내수용 · 새한 BR101 | ||
1980년대 | 새한 BV 시리즈 · BS 시리즈국내미수입 · 로얄 · BH 시리즈 | ||
1990년대 | BM090 | ||
2000년대 | 자일대우 BC 시리즈베트남 내수용, 국내미수입 · 자일대우 FX 시리즈국내미수입 · 자일대우 BX212국내미수입 | ||
2010년대 | 자일대우 레스타국내미수입(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트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e3092,#000> 1960년대 | 신진 에이스(트럭) | |
1970년대 | 새한 새마을 트럭 · 새한 맥스 · 새한 엘프 · 새한 대형트럭 · 새한 8톤 덤프트럭 | ||
1980년대 | 바네트(트럭) | ||
1990년대 | 차세대트럭 · | ||
2000년대 | 타타대우 노부스 · 타타대우 프리마 | ||
2020년대 | 타타대우 더쎈 · 타타대우 구쎈 · 타타대우 맥쎈 | }}}}}}}}} | |
회색 글씨: 단종차량 / |
[1] 물론 대한민국에서도 꽤 다니긴 한다. 엘프 정식수입 이전에는 상당히 보기 어려운 차량이었는데, 그나마 한국 시장에 수출을 차근차근 하고 있다. 특히 인천국제공항 및 김포국제공항 등의 공항에서는 항공사들의 구내 차량으로 운행되기도 한다.[2] 하술한 내용처럼 새한/대우자동차가 뱃지 엔지니어링으로 수입한 바 있었다.[3] JAC(장화이자동차) 현지 라이선스 생산.[4] 보통 북미에서 중형 이상 트럭들은 승용차처럼 전면부 보닛이 튀어나온 컨밴셔널 방식이 주류이다.[5] 연도는 트럭 모델 기준[6] 2023년에 단종됐지만, 대한민국과 미국 및 일부 저개발국 시장에선 현재까지 생산 및 판매 중이다.[7] 이 중 대한민국에 들어오는 모델은 가장 큰 와이드 캡이다.[8] 배터리 셀·모듈·팩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까지 모두 LG에너지솔루션 제품이 적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