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4:38:29

이성규/선수 경력/2024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이성규/선수 경력
이성규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3년 2024년 2025년

1. 개요2. 시즌 전
2.1. 연습경기2.2. 시범경기
3. 페넌트 레이스
3.1. 3~4월3.2. 5월3.3. 6월3.4. 7월
3.4.1. 전반기 총평
3.5. 8월3.6. 9월3.7. 10월
4. 총평5. 시즌 후

1. 개요

삼성 라이온즈의 외야수 이성규의 2024시즌을 정리한 문서다.

2. 시즌 전

2.1. 연습경기

2.2. 시범경기

3. 페넌트 레이스

3.1. 3~4월

3~4월 기록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9 47 13 3 0 4 10 11 7 15 1 2 .277 .407 .596 1.003

24일 KT와의 개막 2차전에서 7회말 김지찬의 대수비로 나와 8회초 내야안타를 때려냈다. 하지만 안주형의 뇌주루로 빛이 바랬다.

30일 이후로 한동안 대타로만 나오다 4월 10일 오랜만에 선발 출전했으나 무안타에 그쳤다.

14일 대구 NC전에서 다시 선발 출전해 3타수 2안타 2홈런으로 데뷔 첫 연타석 홈런을 때려냈다.

바로 다음경기인 16일 대구 두산전에서 타석에서는 3타수 1안타로 괜찮은 활약을 펼쳤지만 수비에서 치명적인 포구 실책을 저질렀다. 그나마 해당 경기를 승리하며 그저 해프닝으로 끝났다.오승환 세이브 조작단

17일 대구 두산전에서 시즌 3호 홈런을 때려냈다. 이날 기록은 3타수 2안타 1홈런 1사사구 1타점 2득점.

18일 경기에서 1회초 삼성의 리드를 공고히 하는 2타점 적시 2루타를 쳐냈다. 이날 기록은 3타수 1안타 1사사구 2타점.

과거에 비해 선구안과 컨택이 많이 개선되었으며,[1] 현재 뉴탯티즈 기준 야수 WAR 12위에 위치하고 있다.

19일 대전 한화전에 중견수 선발출장하여 3타수 무안타로 침묵했다. 경기는 선발 이호성 붕괴로 1:6 패배.

20일 대전 한화전에 중견수 선발출장하여 4타수 무안타 2삼진 당하며 부진했다. 경기는 선발 원태인의 호투와 삼성 가 활약하며, 1:0 승리.

21일 대전 한화전에 좌익수로 선발출장하여 3타수 1안타 2삼진를 기록했다. 경기는 5:3 승리.


23일 대구 LG전 6회말 3대 3 동점 상황에서 이우찬을 상대로 역전 만루홈런을 기록했다. 개인통산 첫 만루홈런. 이후 점수가 더 나지 않은 상태로 경기가 8회말 강우콜드로 끝나며 결승타가 되었다.

이후 옆구리 부상으로 한 경기 빠져있다가, 4월 28일 키움전에서 대수비로 복귀하였다. 타석에도 들어섰는데, 결과는 볼넷.

4월 30일 두산전에서 9회초 김성윤의 대타로 출전해 볼넷을 얻어냈다.

3.2. 5월

5월 기록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69 60 15 2 0 5 10 14 4 19 1 1 .250 .324 .533 .857

5월 첫 경기인 1일 두산전에서 4타수 3안타 1홈런 4타점 경기를 만들어내며 시즌 5호 홈런을 때리는 등 좋은 활약을 하고있다. 이 홈런으로 시즌 WAR이 1을 돌파했다.

4일 롯데전에서는 2타수 무안타 1삼진으로 부진했으며, 수비에서도 7회초 전준우의 애매한 타구를 다이빙 캐치로 잡으려다 실패하고 송구마저 뒤로 완전히 빠져버리며 최악의 수비를 보였다. 이후 김현준과 교체되었다.

그러나 이후 안타를 치지 못하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11일 NC전에서는 7회초 김재상의 대타로 나왔으나 2타수 무안타 2삼진으로 매우 부진했다. 심지어 두타석 모두 삼구삼진. 현재 19타석 연속 무안타 진행 중으로 폼이 매우 좋지 않다. 그런데도 아직도 OPS가 0.9 가까이 된다는 게 함정 현재 김지찬, 김성윤까지 부진하고 있고 김헌곤은 나이로 인해 스타팅 멤버로 집어넣기에는 무리가 있어 삼성 외야진 상태가 썩 좋지 않기에 이성규의 부진이 뼈아프며, 빠르게 타격감을 회복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14일 SSG전 김성윤 대신 교체 출전하여 첫 타석 2루타를 작렬시키며 무안타 행진이 끝이 났다. 2타수 1안타를 기록했으며 시즌 타율은 .243.


그리고 16일 SSG전 8회 초 3:3 상황에서 역전 투런 홈런을 쳤다. 시즌 6호. 이후 주자 2명을 불러들이는 강습 타구를 쳤으나 최정의 알까기 실책으로 인정되며 안타와 타점으로 기록되지는 못했다.

17일 한화와의 홈경기에서 2타수 1안타 1홈런 2타점 1볼넷을 기록했다. 5회말 1:1 동점 상황에서 역전 투런 홈런을 전날 경기에 이어 또다시 쳤다. 시즌 7호. 이후 8회 4번째 타석에서 허리쪽 통증으로 인해 대타 김태훈으로 교체되었다.

다행히 큰 부상은 아니었는지 18일 8회말 김지찬의 대타로 타석에 들어섰으나, 여기서는 삼진으로 물러났다.

이후 2할 초반대 타율을 유지하고 있지만 장타가 워낙 많아 wRC+나 WAR은 비슷한 성적을 기록한 2020년보다 훨씬 낫다. 컨택은 여전히 아쉬우나 좋은 장타력과 함께 선구안이 상당히 개선되어 볼넷을 많이 골라나가고 있어서 좋은 OPS를 찍고 있다.

한편 생애 처음으로 올스타 후보에 선정되었는데, 5월 28일 기준 외야수 9위로 베스트 12 안에는 들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감독 추천 선수로 나오길 바라는 팬들이 많다.

5월 29일 키움과의 경기에서 3안타 포함, 추격의 투런 홈런을 쳤다. 시즌 8호. 그러나 좌승현이 3이닝 8실점으로 제대로 경기를 망쳐버리며 팀은 4연패에 빠졌다.

5월 30일에는 2경기 연속 3안타와 함께 9회 쐐기 솔로 홈런을 쏘아올렸다. 이틀 연속 홈런이자 시즌 9호. 본인의 홈런 커리어하이인 2020년의 10개는 가뿐히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후 9회초에 김태훈오승환이 2점을 내주며 리드가 불안해졌기에 이 홈런이 더욱 빛을 발했다.

5월 31일 한화전에서는 무려 3번 타자로 선발출장했다. 그러나 6회 전까지는 3타수 무안타에 5회말 무리한 주루플레이로 주루사하는 등 영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으나, 6회말 동점 1타점 적시 2루타를 때려내면서 상술했던 삽질들을 한 번에 만회했다. 그 이후 박병호의 홈런 때 득점까지 성공했다. 그 이후에 사구로 한 번 더 출루하면서 이날 최종 기록은 4타수 1안타 1사구 2타점 2득점.

5월 성적은 클러치 상황에서의 활약은 좋으나 기복이 극도로 심하다. 못할 때에는 열 타석 넘게 연속 무안타를 친다거나, 주간 타율이 1할대 초반까지 가는 등 하염없이 못했지만 중요한 상황마다 한 방을 때려주며 2023시즌까지에 비해서는 나은 모습을 보여줬다.

3.3. 6월

6월 1일 한화전 3번 타자로 출전하여 3타수 1안타 1도루를 기록하였다. 첫 타석 무사 1, 3루에서 삼진 당한 것이 옥의 티.

6월 2일 한화전에는 5번 타자로 출전한다. 그러나 4타수 무안타에 번트플라이로 아웃되는 등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6월 4일 SSG전에 6번 타자로 선발 출장했으나 4타수 무안타로 부진했다. 홈런 치고 다시 타격감이 식는 루틴이 반복되고 있다...

하지만 6월 5일 7번 타자로 선발 출장하여 3타수 2안타에 2020년 이후 4년만에 시즌 10호 홈런을 쏘아올렸다. 시즌 시작 전에 이성규가 구자욱보다 먼저 10홈런 칠 거라고 말했다면 누가 믿었을까? 이 홈런으로 한 시즌 개인 최다 홈런 타이 기록을 달성했다. 올시즌 팀 내에서는 김영웅에 이어 두번째로 두자릿수 홈런을 달성한 선수. 추가로 몸에 맞는 공 하나를 기록했다. 다만 8회초 2사 1, 2루 상황에서 삼진을 당한 것은 아쉬운 부분. 팀은 공민규의 치명적인 실책성 플레이로 인해 5회말 분위기를 완전히 내주며 패배했다. 하지만 이성규는 완전히 주전 우익수를 차지한 모양새이며 삼성은 구자욱-김지찬-이성규로 이어지는 외야 라인을 확보했다.

6월 6일 SSG전에서 3타수 무안타 1볼넷을 기록했다. 상대 선발 오원석의 칼날 제구로 억까당한 부분도 없지 않아 있다. 한편 6월 7일 기준 올스타 투표 외야수 7위까지 올라왔으며, 앞으로의 활약에 따라 외야수 5위까지도 노려볼 수 있을만하다. 참으로 감개무량한 부분.
6월 기록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0 0 0 0 0 0 0 0 0 0 0 0 .000 .000 .000 .000

3.4. 7월


7월 기록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0 0 0 0 0 0 0 0 0 0 0 0 .000 .000 .000 .000

3.4.1. 전반기 총평

3.5. 8월


8월 기록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0 0 0 0 0 0 0 0 0 0 0 0 .000 .000 .000 .000

3.6. 9월


9월 기록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0 0 0 0 0 0 0 0 0 0 0 0 .000 .000 .000 .000

3.7. 10월


10월 기록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4. 총평

5. 시즌 후



[1] 물론 아직 완벽하지는 않지만, 게스 히팅 성향이 강하다는 것을 감안하면 나쁘지 않다 수준까지는 올라왔고 심지어 최근에는 공을 보고 치려는 성향이 강해져 볼넷도 가끔 얻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