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17:37:14

이루샤

파일:Irusan.png 파일:irusan11.png
인게임 포트레이트 SCG 인게임 3D 모델링

Irusan

1. 개요2. 패턴 및 공략
2.1. 상시 패턴2.2. 특수 패턴
3. 기타

1. 개요

요정과 포워르의 힘을 모두 가진 혼혈
귀여운 외모와는 다르게 강력한 힘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힘에 걸맞은 흉포한 성질도 갖추고 있습니다.
이 작은 고양이를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방법은 달콤한 것을 먹이는 것뿐.
이루샤가 크롬 바스에 군림하게 된 이유 중 하나는 더 많은, 더 맛있는 사탕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마비노기의 몬스터로 크롬 바스에 등장한다. 30 난이도에서는 보스, 50 난이도와 100 난이도에서는 중간보스다.

과거엔 마그 멜에서 요정들에게 보살핌받으며 행복하게 지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어느 순간 시오라가 마그 멜을 버리고 떠나며 마그 멜에서 갑작스럽게 쫒겨난 후 돌아갈 수 없게 되었으며[1][2] 그 후 이계신으로 추정되는 존재에게 유혹당해 수하가 되었다. 귀여운 외모와 다르게 매우 더럽고 잔인한 성질머리를 가지고 있으며[3] 자신의 죄를 반성하며 성불한 펠롬과 다르게 스토리에서 이후의 행방이 밝혀지지 않았다. 자꾸 구슬을 뗀다유저들의 인식과 디자인상 수컷 캐릭터로 알려져 있으나 패턴 사용시 자신이 여왕이 되겠다는 대사를 보아 암컷으로 추정된다. 일종의 괴담처럼 전해지는 얘기인데 실제로는 여왕이 아닌 왕이 되겠다고 한다.

인게임에선 마비노기 보스들 중 유일하게 보이스를 가지고 있는 캐릭터[4]이며 요정의 인격으로 보이는 소심한 말투와 포워르의 인격으로 보이는 난폭한 말투를 섞어서 사용하며 두 힘을 동시에 사용하는 패턴에선 두 목소리가 겹쳐져서 출력된다.[5]

2. 패턴 및 공략

과거에는 기형적인 클리어 방식을 사용해야 했으나 현재는 매우 단순화되었다.

우선 이루샤의 마법의 장난은 주요 패턴들이 진행중일때엔 작동하지 않으므로 디바인 링크등의 대비책을 준비하고 입장하자마자 이루샤에게 디버프를 걸고 체력을 90% 이하로 감소시켜 솥 패턴을 사용하도록 하면 로나운이 다량으로 등장하는데 이를 이루샤에게 데스마커를 사용해 유저의 광역기에 휩쓸리게 하거나 디바인 링크를 사용한 펫을 인식하도록 하고 이루샤에게 계속하여 딜링을 한다, 딜이 부족하여 시간 내에 끝나지 못할 것 같은 경우에는 34초 경과 즈음에 누군가는 솥을 누르러 가는편이 좋다.
또한 꺼양의 소환 스킬을 사용시 로나운의 속박이 바로 해제되며 실드 오브 트러스트의 슈퍼아머가 작동중일떄는 로나운이 와이어 바인딩을 사용하지 못한다. 다른 슈퍼아머의 경우엔 전부 무시하니 주의

2.1. 상시 패턴

이루샤는 에르그 레벨이 높아질수록 호전성이 점점 증가하며 샤프클로등의 스킬을 사용하는 빈도가 늘어난다.
  • 평타
    안타깝게도 인식 해제 외에는 대처법이 없다 인식한 후 천천히 날아온다면 스매시와 평타를 사용하러 오는 것인데 디펜스나 카운터가 슈퍼아머로 인해 의미가 없다.
  • 받아라! 이 몸의 샤프클로!
    캐릭터의 바로 앞으로 순간이동하며, 이루샤의 전방의 좁은 거리에 높은 데미지와 죽음의 낙인(2회 중첩시 즉사) 디버프를 건다. 죽음의 낙인은 1랭크의 응급 처치 스킬로 해제 가능하다.
  • 장판
    플레이어와 펫 아래에 붉은 장판을 소환한다. 약 3초후 폭발하며, 장판 위의 캐릭터의 생명력, 마나, 스테미나가 1이 되며, 죽음의 낙인 디버프에 걸린다 또한 장판이 겹쳐진 상태에서 맞을 경우 반드시 즉사하게 되니 파티원과 위치가 겹치지 않도록 하는것이 좋다.
  • 레이저
    기합을 모으는 소리가 들린 후 예고 이펙트가 나오며 이루샤 기준으로 일직선의 좁고 긴 거리에 데미지를 입힌다. 피격 시, 허약의 낙인(걷기 외의 모든 동작 봉쇄, 포션 사용 불가) 디버프를 건다.
  • 중급 마법
    인스턴트 캐스팅을 사용한 상태라면 높은 확률로 이어서 중급 마법을 시전한다. 이 역시 명확한 대처법은 없다, 실드 오브 트러스트를 눈치껏 사용해 대비하는게 그나마의 방법.

2.2. 특수 패턴

  • 이루샤의 장난
    보스전 진입 후부터 20초가 경과할 때마다 부하 몬스터를 하나씩 소환하기 시작한다 부하 몬스터가 5마리를 초과한 상태에서 20초가 경과하면 플레이어중 한명이 랜덤으로 전투능력이 없는 상태로 강제 변신당한다, 마법 솥 패턴과 타수패턴중에는 해당 기믹이 진행되지 않는다.
  • 마법 솥
    체력이 90%, 65%, 15% 남았을 때 사용한다. 이루샤가 최초에 한번 20초 경과 후 한번 대량의 로나운을 소환하며 45초 이내에 입구기준 북쪽에 위치한 마법솥과 7초간 상호작용 하여야 한다. 피격시 상호작용 무효화.
    파훼하지 못했을 경우, 솜사탕 구름 등 무엇인가로 변신하며 이동 속도가 느려진다. 펫을 타고 있다면 펫 위에 그대로 변신된다.
    해당 패턴 사용중에는 즉사장판을 사용하지 않으며 다른 패턴이 무시되기에 이때 극딜을 하면 패턴을 보지 않고 잡을 수 있다.
  • 악몽으로 인도하겠샤
    즉사기. 25, 50, 75%에 사용
    이루샤를 일정 타수를 때리지 않으면 파티원과 펫 모두 사망한다.
    1인 60타, 4인 340타(어둠의 에르그 80% 이상일 시, 360타).
    발동되는 순간 좌우 화살표 키를 연타하라는 알림과 함께 캐릭터가 멈추며 지속 피해가 들어오기 시작한다, 좌우 키를 연타해 풀어준 뒤 듀얼건 등으로 타수를 채우는 패턴이다 밑에 장판이 깔린 상태에서 체력을 깎아버려 타수패턴에 돌입하게 되면 위험하니 장판을 잘 확인 후 딜링을 하도록 하자, 또한 타수를 사용하기 직전에 뜬금없이 장판을 하나 깔고 돌입하는 억까스러운 상황도 종종 생기는데 이 경우에는 파티원끼리 장판이 겹치지 않도록 주의하고 있었다면 살아남을 수 있다.

이루샤는 마법 솥 패턴이 진행중일때는 타수패턴을 사용하지 않으며, 오히려 이 동안 대미지를 강하게 꽂아넣어 타수나 다음 솥 패턴을 스킵할 수도 있다. 마법 솥 패턴 도중에 타수패턴을 발동하는 체력까지 감소시켜두었다면 플레이어를 변신시킴과 동시에 타수패턴을 시작하는데 본래는 이렇게 될 경우 공략에 실패할게끔 작용하는 구조였겠지만 현재는 파트너 캐릭터에게 봉제인형가방[6]을 착용시켜 대신 타수를 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루샤는 평상시에는 발광을 하며 이리저리 튀어다녀 레인 캐스팅 관리나 디버프를 넣기 힘들게 만들지만 타수 패턴중에는 제자리에 가만히 서서 꼼짝도 하지 않으므로 이 타이밍 동안에 파트너를 이루샤에게 붙여놓은 후 그림자 은신을 사용하고 맵 중앙으로 가 레인 캐스팅을 재설치하고 디버프나 버프를 관리하는게 좋다.

3. 기타

  • 켈트 문화권 곳곳에 전해지는 민담 캐릭터 '고양이들의 왕'에 해당한다. 아일랜드 설화에서는 고양이들의 왕이자 아루산의 아들인 이루산이 원수인 음유시인을 살해하려다 되려 성자(聖子) 치아란에게 죽임을 당하는 이야기가 있다.
  • 등장 이후 부터 마비노기 팀에서 밀고 있는 마스코트인데 아무래도 귀여운 고양이 캐릭터라는 점을 어필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정작 유저들은 전혀 인정하고 있지 않고 있다. 마비노기의 최상위권 컨텐츠의 보스로 나오는데다가 설정상 마족 답게 매우 잔혹한 성격을[7] 지니고 있는데 로나와 판, 나오를 두고 왜 마스코트로 밀고 있는지[8] 모르겠다는 반응이 대다수이다.[9] 이는 넥슨 내부에서도 같은 생각인건지 넥슨 내 타 게임들과 콜라보를 진행할때 나오, 로나, 판과 같은 근본이라 불리는 등장인물들이 나오지 이루샤는 전혀 나오지 못하고 있다. 전형적인 인싸 마인드로 대중성을 위시로 기존 유저들의 니즈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실패한 정책 중 하나로 언급되나 프루메 어린이 병원에 이루샤 그림이 전시되는등 운영진의 편애를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


[1] 메인스트림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시오라가 마그멜을 버림으로서 요정들과 마그멜이 힘을 잃었고 요정들은 생전의 지성을 찾아볼 수 없는 퍄다루루라는 존재로 퇴화했으며 마그멜은 붕괴되기 직전인 상태가 되어 마나난이 힘을 주어 숨을 붙여놓고 영락한 요정들을 거두어 간 것으로 밝혀졌다.[2] 추측해 보자면 마족과 요정의 혼혈이기에 시오라가 떠남과 동시에 요정으로서의 힘을 대부분 잃었지만 혼혈이었기에 퍄다루루가 되지는 않았으며 요정의 힘이 있어야만 출입할 수 있는 마그멜에 존재할 수 없게 되며 추방된 것으로 보인다, 과거와 다르게 성격이 굉장히 흉포해 진 것도 요정의 힘이 약해지고 포워르로서의 면모가 강해진것이 원인으로 추정.[3] 고양이의 모습을 이용해 벨바스트 주민들을 크롬 바스로 유인한 후 산제물로 바쳤다[4] 성우는 손선영.[5] 강철의 연금술사의 진리를 생각하면 쉽다.[6] 타격시 평타를 사용하는 인형 다수 소환하는 아이템[7] 이는 메이플의 보스 출신인데 마스코트인 핑크빈과 가장 큰 다른 점으로 핑크빈은 자의로 플레이어들을 상대하는것도 아닌데다가 성격에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니고 마스코트로 본격적으로 밀기 시작한것도 최상위 보스라는 위상에서 물러서고 나서 부터다.[8] 비슷한 이유로 이루샤와 함께 마비노기 팀이 마스코트로 밀고 있는 아로마 베어에게도 불호를 감추지 않는 유저도 많으나 아로마 베어는 그 의도 부터 거미공포증 방지 차원에서 등장하는 등 어느정도 어필 포인트가 있긴 하다.[9] 게다가 마비노기 친구들이라는 시리즈에서도 출연하는데 원작과 달리 매우 잔혹한 성격을 지니지 않았고 로나와 판이랑 같이있는 모습으로 보아 원작이랑 스토리가 다를것으로 추정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 (이전 역사)
문서의 r1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