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30 20:07:20

의정부고등학교



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 경기도 의정부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기북과학고등학교 경민고등학교 경민비즈니스고등학교 경민IT고등학교
동대부속영석고등학교 발곡고등학교 부용고등학교 상우고등학교
송양고등학교 송현고등학교 의정부고등학교 의정부공업고등학교
의정부광동고등학교 의정부여자고등학교 호원고등학교 효자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의정부고등학교
議政府高等學校
파일:의정부고등학교 교표.svg
<colbgcolor=#00af83><colcolor=#fff> 개교 <colbgcolor=#fff,#2d2f34> 1974년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성별 남자고등학교
형태 공립
교장 심현철
교감 이철규
교훈 성실인(誠實人)
관할교육청 경기도교육청
학생 수 727명
(2023년 2월 21일 기준)
교직원 수 73명
(2023년 2월 21일 기준)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녹양로 29 (가능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상징4. 학교 특징5. 학교 시설
5.1. 기숙사
6. 학교 생활
6.1. 매우 창의적인 졸업 사진
7. 운동부8. 평가9. 출신 인물10.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10.1. 버스10.2. 지하철
11. 사건 및 사고12. 기타

1. 개요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한 공립 고등학교.

2. 학교 연혁

1974.1 학교 설립 인가(15학급)
1974.3 입학식 및 개교, 초대 국중일 교장 취임
1977.1 제1회 졸업식 (280명)
1986.9 3학급 증설 인가(30학급)
1997.9 체육관(수신관) 준공
1999.8 학생급식시설 완공(200여평, 400석 규모)
2001.9 12학급 증설 인가(42학급)
2002.3 신축교사(별관) 준공
2005.9 청운학사(기숙사) 준공
2008.10 급식실 및 특별실동 증축
2010.6 교과교실제 A형 선정
2011.3 선진형 교과교실제 운영(2011~2018)
2012.3 학교 숲 가꾸기 및 과학교육선도학교 운영
2014.3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2014~ )
2015.6 아리재(동아리실) 준공
2016.3 더 좋은 일반고 운영(2016~ )
2019.3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운영(2019~ )
2024.3 제51회 입학식
2024.9 제15대 심현철 교장 취임
2025.2 제49회 졸업식

3. 학교 상징

파일:의정부고등학교 학교상징.jpg

4. 학교 특징

5. 학교 시설

5.1. 기숙사

의정부 관내 학교 중 경기북과학고등학교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기숙사(청운학사)를 운영하고 있다. 보통 1학년과 2학년에서 30명씩, 3학년에서 40명 가량 선발하며[1], 내신과 모의고사 점수를 합산해 성적순으로 선발한다. 거리 가산점이 있기는 하지만 미미하다. 다만, 원거리 통학생 전형으로 1~2명 정도를 뽑는데, 다른 지방에서 통학해야 지원 가능하다.

과거 포천시 일동면, 이동면과 연천군 백학면, 전곡읍, 파주시 광탄면 출신 학생이 원거리 기준으로 청운학사에 입사한 사례가 있다.

청운학사는 5층으로 이뤄져 있다. 1층은 사감 집무실과 1,2학년 자습실이며, 2층부터 5층까지는 학생 기숙사다. 한 층에 5호실까지 있으나, 401호는 사감이 취침하는 곳이라, 일반 학생들은 사용할 수 없다. 4인 1실로 구성되며, 층별로 화장실 및 샤워실이 각 1개씩 위치한다.

6. 학교 생활

6.1. 매우 창의적인 졸업 사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의정부고등학교/졸업 사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의정부고등학교/졸업 사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의정부고등학교/졸업 사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운동부

빙상부와 컬링부가 있다.

8. 평가

과거 한수이북 명문고로 이름을 날리던 시절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뿐만 아니라 고양시, 파주시, 연천군에서 통학하는 학생도 존재했다. 비평준화 시절 연합고사를 치르고 입학한 재학생들은 대부분 중학교 전교 성적 상위권 출신으로, 우수한 성적의 학생들이 모인 만큼 학교 분위기와 입시 결과도 우수했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서울대학교 10여 명,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에 30여 명이 합격했으며, 서울 상위권 대학 및 사관학교, 특수대학교와 해외 대학 입학생도 꾸준히 배출했다. 학생 수 역시 상당해 비슷한 시기 전교생이 약 1600명에 이르렀다. 여담이지만 이웃 의정부여자고등학교의 경우 2005년 입학생 기준 20학급까지 존재했다.

다만 2013년 의정부시 관내 학군에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도입이 시작되면서, 의정부의 명문 공립고 타이틀을 가지고 있던 의정부고등학교(의고)는 과거의 빛바랜 명성만 남았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사실 의고는 평준화 실시 몇 년 전부터 입학 지원자 및 대학 진학률에서 과거 대비 하락세를 나타냈다. 수시 위주의 입시 정책이 자리매김하면서 내신 관리가 힘든 학교로 알려졌고 우수한 학업 인프라를 갖춘 특목고와 자율형공립고가 경기북부 지역에 대거 개교하면서 이러한 분위기를 부채질했다. 이에 관내 중학교 상위권 학생들이 특목고 및 자공고 또는 내신을 따기 위해 일반계 고등학교를 찾게 되면서 빈 자리를 내신 미달 학생들이 채우는 사태가 발생했다.

그래서 비평준화 시기 입학한 일부 동문들은 평준화 입학생부터 동문에서 제외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몇 년 전 동문회에서 반장 간담회를 통해 밝힌 의견에 따르면, 의고에 지원한 학생들의 본질은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평준화 세대도 의고인으로 여긴다고 한다.

또한 출신 선배들이 의정부시를 비롯한 경기북부 지역 각계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의고'에 대한 이미지는 크게 나쁘지 않다. 여기에 졸업앨범 신드롬으로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으면서 긍정적 이미지를 획득하는 계기가 됐다. 옥의 티가 있다면 정당을 막론하고 아직 중량감 있는 정치인을 배출하지 못한 점이다. 국회의원의 경우, 2025년 의정부시 기준 박지혜(1978) 의정부시 갑 의원, 이재강 의정부시 을 의원은 타교 또는 타 지역 출신 인사다. 김동근 의정부시장의정부공업고등학교를 졸업했다. 2026년 2월 50회 졸업생을 앞두고 다소 아쉬울 수 있는 기록이다.

9.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10.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10.1. 버스

의정부고등학교.법원.검찰청(08020)
일반시내버스
마을버스
의정부고등학교.법원.검찰청(08021)
일반시내버스
마을버스

10.2. 지하철

수도권 전철 1호선 녹양역(도보 20분),가능역(도보 20분), 의정부경전철 흥선역(도보 25분)이 가장 근접한 역이다. 실제로는 버스를 이용하는 학생들이 많지만, 배차가 큰 버스들이 많아 어쩔 수 없이 전철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11. 사건 및 사고

11.1. 의정부고등학교 흑인 코스프레 인종차별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의정부고등학교 흑인 코스프레 인종차별 논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의정부고등학교 흑인 코스프레 인종차별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의정부고등학교 흑인 코스프레 인종차별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기타

  • 운동장 우레탄 트랙이 모래로 교체 완료됐다. 운동장의 대부분은 축구용 잔디밭이 깔린 상태이고 나머지 부분은 모래로 덮인 상태이며 농구 골대가 세워져 있다.
  • 2018년도 하반기 이후 체육관 리모델링이 완료돼 보다 쾌적하게 변했다. 점심시간에 체육관 내에서 탁구나 배드민턴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원칙은 학년당 38명이라고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