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2 15:27:50

음양사(소설)/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음양사(소설)
NETFLIX 오리지널
음양사 (2023)
陰陽師
파일:음양사 애니 비주얼1.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전기소설
원작 유메마쿠라 바쿠
감독 야마모토 소우비
시리즈 구성
캐릭터 디자인
크리처 디자인
이펙트 설계
크리처 / 이펙트
총 작화감독
프롭 디자인
미술 감독
미술 설정
색채 설계
특수 효과 감수
특수 효과
3D CGI
CG 디렉터
CG 모델링 디렉터
촬영 감독
편집
음향 감독
음악
프로듀스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애니메이션 제작 Marvy Jack
제작
송신 시기 2023. 11. 28.
스트리밍 넷플릭스독점
편당 러닝타임
화수 13화
시청 등급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등장인물4. 주제가
4.1. OP4.2. ED
5. 회차 목록6. 평가
6.1. 방영 전6.2. 방영 후
7. 기타

[clearfix]

1. 개요

유메마쿠라 바쿠 가 집필한 소설 음양사 원작으로 하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감독은 야마모토 소우비. 송신 시기는 2023년.

2. 공개 정보

2.1. PV

PV 제1탄

2.2. 키 비주얼

파일:음양사 애니 비주얼2.jpg
티저 비주얼

3. 등장인물

  • 주역
    • 아베노 세이메이(安倍晴明) : 나미카와 다이스케[1]
      본편의 주인공 1. 세상사 전반에 냉담한 듯하고, 특히 궁궐 내에서 벌어지는 권력다툼이나 출세 같은 것에는 영 무심하다. 히로마사를 놀릴 때는 약간 능글맞은 모습도 보여준다.
    • 미나모토노 히로마사(源博雅) : 아사누마 신타로
      본편의 주인공 2. 주작대로에 등장하는 수수께끼의 우차 사건[2]에 대한 해결을 위해 세이메이를 찾아오면서 처음 세이메이와 만났다.[3] 이후부터는 충실한 조수 포지션. 성실하고 올곧은 성격이라 세이메이에게 자주 잔소리를 하곤 한다.
  • 조역
    • 아시야 도만(芦屋道満) : 사토 리나
      아베노 세이메이의 라이벌적인 존재이다. 실존인물이나 원작에서는 분명히 남자이고 나이 든 노인이지만 애니에서는 젊은 여성으로 나오는데, 세이메이의 언급으로는 어떤 때는 노인의 모습이었다가 어떤 때는 여성의 모습이었다가 하는 식으로 매번 모습이 바뀐다고 하므로 그게 진짜 모습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3화 '아시야 도만'에서 처음 등장했으며[4] 3화에서 벌어진 사건의 흑막 비슷하게 등장한다. 세이메이에 따르면 "사람을 속이고 심심풀이로 그 마음을 먹는 음양사"라고.
    • 카모노 야스노리(賀茂保憲) : 키시오 다이스케
      세이메이의 사형으로 세이메이와는 애증의 관계. 궁궐내 사람들이나 대신들로부터 괴물 취급 받는 사제와는 달리 이 인물은 적절한 처세와 수완으로 미카도 측근의 잘나가는 음양사이다.
    • 아츠미(敎実) 친왕 : 하마다 켄지
      미나모토노 히로마사의 피리 스승 격인 인물. 피리 말고도 다방면에 지식과 재주가 있는 교양인. 히로마사의 부탁으로 사건 해결을 돕기도 하고 사람들이 꺼리는 세이메이와도 꽤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기타
    • 오니히메(鬼姬) : 코마츠 미카코
      지금의 미카도가 즉위하기 전, 연인이었던 여인. 미카도가 약속을 어기고 자신을 찾아주지 않는 것에 원통함을 품고 오니가 되어 미카도를 찾으려 한다.
    • 미카도(帝) : 카와다 신지
      1화 사건의 원인 제공자. 이후 여러 사건들에서 간간히 등장한다.
    • 후지와라노 카네이에(藤原兼家) : 이토 켄타로
      조정의 대신으로 2화 '머리만 남은 대신님'의 사건 의뢰인. 이름난 호색가로, 절세미녀를 탐내 자신의 몸을 걸고 주작문의 오니와 내기를 했다가 목만 남기고 몸을 빼앗긴다.
    • 후지와라노 미치나가(藤原道長) : 오카모토 노부히코
      카네이에의 아들. 아버지의 일을 의논하러 세이메이를 찾아온다. 이후 6화 사건을 세이메이에게 가져온 것도 이 인물.
    • 주작문(朱雀門)의 오니 : 하야시 유우
      주작문 지붕 위에 사는 오니. 내기를 걸어 상대의 재주를 빠앗는 것을 즐긴다. 하후타츠라는 영험한 피리를 히로마사에게 준다.
    • 후지코(藤子) : 노토 마미코
      남편을 잃은 귀부인. 자신의 집을 찾아 비파를 연주하는 쿠조를 여동생처럼 아낀다.
    • 쿠조(九条) : 히다카 리나
      비파를 연주하는 소녀로, 후지코의 집을 드나들며 그녀와 친해졌지만 죽은 후 아시야 도만에 의해 반혼술로 시체에 영혼이 깃든 채 후지코를 다시 찾아온다.
    • 미부 타다미(壬生忠見) : 오노 켄쇼
      미카도가 개최한 시가 연회에서 패한 후 원통한 마음에 죽어 오니가 된 인물.
    • 시를 읊는 오니(歌詠みの鬼) : 미야케 켄타
      미부 타다미가 생전에 누린 가인으로서의 명성과 그의 죽음에 관련된 존재.
    • 츠유코(露子) : 이시카와 유이
      6화 '벌레를 사랑하는 아가씨'[5]에서 처음 등장했다. 벌레를 좋아하는 등 기행이 심해 딸의 문제를 상담하러 아버지가 아시야 도만을 찾아가게 되었는데, 거꾸로 도만의 책략에 말려들어 사람을 해치는 적잠충을 키우게 된다. 적잠충 사건이 해결된 후에도 주인공들과 자주 어울리며 준레귤러 캐릭터로 등장.
    • 카모노 타다유키(賀茂忠行) : 시모야마 요시미츠
      세이메이의 스승이자 야스노리의 아버지. 세이메이의 유년기가 나오는 8화에서 등장한다. 작중 현재시점에서는 고인.

4. 주제가

4.1. OP

OP
孤独の才望
고독의 재망
WEB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린토시테시구레
작사 TK
작곡
편곡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 작화감독 -
}}}}}}}}} ||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4.2. ED

ED
kioku
WEB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ao
작사 -
작곡 -
편곡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 작화감독 -
}}}}}}}}} ||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5.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6]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제1화 귀신이 가는길
제2화 머리만 남은 대신님
제3화 아시야 도만
제4화 사랑의 소문
제5화 사랑을 하느냐고
제6화 벌레를 사랑하는 아가씨
제7화 시끌벅적하도다
제8화 여우의 아이
제9화 궁중에서 술법을 겨루다
제10화 사라진 저주
제11화 나마나리
제12화 태산부군제
제13화 마음속에 깃든 귀신

6. 평가

6.1. 방영 전

6.2. 방영 후

7. 기타



[1] 유년기는 하나와 마나미가 연기했다.[2] 원작 1권에서 다룬 '귀신이 가는 길' 에피소드이다.[3] 원작에서는 1권 1화에서 이미 세이메이와 안면이 있는 것으로 나오며, 어떻게 두 사람이 친해졌는지에 대해서는 묘사가 없다.[4] 해당 에피소드는 원작 3권의 '헤매는 혼령' 에피소드에서 따온 것으로 반혼술을 다루고 있다.[5] 원작 5권의 '벌레를 사랑하는 아가씨'에서 따온 에피소드이다.[6]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넷플릭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