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17:42:30

유대인 배후자본설

유대인 관련 음모론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유대인 배후자본설|{{{#!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1. 개요2. 실제 역사의 경우3. 음모론의 경우
3.1. 한국에서3.2. 필수요소
4. 연준과의 대립의 역사
4.1. 독립전쟁까지4.2. 독립에서 남북 전쟁까지4.3. 앤드루 잭슨 시대 4.4. 남북 전쟁4.5. 연방준비은행, 1939년 경제 대공황 그리고 2차 세계대전4.6. 마지막 대항자, 존 F. 케네디 그리고 현재
5. Happy Merchant 밈6. 관련 문서

1. 개요

어떠한 사건이나 세력의 배후에 유대인이나 유대계 금융 자본이 있다는 주장이다.

현대 이스라엘도 브랜드 이스라엘과 같은 공공외교나 선전전을 하기에 당연히 유대 금융 자본이 배후에 있는 경우가 실제로 존재하고, 역사적으로는 로스차일드 가문이 시오니즘 운동을 지원하면서 시오니즘에 대한 유대인 배후 자본의 역할을 실제로 하기도 했다.# 오늘날 AIPAC과 같은 유대인 로비 단체가 미국에서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미어샤이머 교수의 이스라엘 로비에서도 이를 다룬다. 또한 경제사에서 유대계 금융자본은 자본주의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였다.

음모론의 경우에는 시온 의정서와 같은 유대 프리메이슨 음모론이 있으며, 관련한 유명한 자료로는 헨리 포드의 'International Jew'(국제 유대인)라는 책이 있다. 일부 음모론자들은 '유대인들이 부를 축적하고 권력을 획득하여, 최종적으로는 비유대인을 완전히 절멸, 혹은 노예화하고, 유대인만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낙원을 건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2. 실제 역사의 경우

AIPAC과 같은 유대인 로비 단체가 미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존 미어샤이머 교수도 이스라엘 로비에 대해서 저술하였다. 폴 핀들리(Paul Findley)는 일찍이 1985년에 <They Dare to Speak Out>(그들이 감히 말하려고 한다) 라는 제목의 책을 저술하여 이스라엘의 로비 문제를 다루었다.
There is a high level of intolerance among the Aipac leadership and a very arrogant response to any criticism of Israel. Indeed, if I were in Israel, if I were a member of the Knesset, I would be freer to criticize Israel than I am today as a member of Congress.

이스라엘을 향한 어떠한 비판에 대해서도 매우 강한 불관용과 고압적인 태도가 AIPAC 지도부에 있습니다. 만약 제가 차라리 이스라엘의 크네세트 의원이었다면 이스라엘의 정책을 자유롭게 비판할 수 있었을지 몰라도, 오늘날 저와 같은 (미국의) 정치인이 의회에서 이스라엘을 비판할 수는 없습니다.'''
머빈 다이맬리(Mervyn Dymally) 하원의원, 1987년 7월 7일,#1, #2
2006년 7월 18일 미 연방 상원이 이스라엘의 레바논 폭격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킨데 이어, 20일에는 하원도 찬성 410표, 반대 8표라는 압도적인 표차이로 이스라엘 지지 안을 통과시켰다. 이스라엘은 매년 미국 대외원조의 20%인 30억 달러씩, 지금까지 모두 1400억 달러를 받아왔다. 국민 1인당 매년 500달러를 받는 셈이다. 1982년 이후 미국은 유엔 안보리에서 이스라엘을 위해 32번이나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는 다른 안보리 국가 모두가 했던 것보다 많은 규모이다.미국의 이러한 중동정책에 대해 최근 미국 내 일부 학자(John J. Mearsheimer, Stephen M. Walt)들이 미국의 친이스라엘 중동정책의 이면에는 AIPAC 등의 단체가 강력한 이스라엘 로비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나서면서 정계와 학계에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 내에서 친이스라엘 중동정책을 비판하거나 로비를 지적할 경우 자칫 ‘반유대주의(antisemitism)’로 매도를 받기마련인 학문풍토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금기를 깨고 과감히 문제를 제기했다는 점에서 찬반격론과 함께 파장이 확대되고 있다. 세계 인구의 0.3%에도 못 미치는 유대인이 10억이 넘는 이슬람권과 상대하고 나아가 60억 인구의 세계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 내에서 유대인은 전체인구의 3% 정도인 600만으로 아시아계 950만과 비교할 때 대단한 숫자는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미국사회에서 정치경제적 영향력을 크게 발휘하면서 미국의 국가발전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그리고 유대인은 국제사회에서 패권을 장악하고 행사하고 있는 미국의 정치, 외교, 경제, 언론 등에서 더욱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다.
미국의 유대인 단체와 AIPAC의 친이스라엘 정치활동
Aipac keeps a meticulous record of lawmakers' votes on foreign aid, arms sales and other issues affecting Israel.

(중략)

In a speech to the Council of Jewish Federations in Chicago last November, Mr. Dine, a former aide to three Democratic senators, gave his assessment of 13 newly elected Senate members. Eight would be more friendly to Israel than the senators whom they were replacing, he said, and the other 5 would be as supportive as their predecessors.

In the 1985-86 campaign, he said, “Aipac lay leaders and staff met with every senator up for re-election except one, plus 49 Senate challengers and 205 House challengers, including every new freshman member.”
AIPAC은 이스라엘에 영향을 미치는 외국 원조, 무기 판매 및 기타 문제에 대한 의원들의 투표를 꼼꼼하게 기록합니다.

(중략)

지난해 11월 시카고에서 열린 유대인 연맹 이사회 연설에서 민주당 상원의원 3명의 보좌관이었던 다인 씨는 새로 선출된 상원의원 13명에 대한 평가를 내렸습니다. 그는 8명은 교체당할 상원의원보다 이스라엘에 더 우호적이고 나머지 5명은 전임자만큼 이스라엘을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1985-86년 선거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AIPAC 지도자들과 회원들은 재선을 위해선 한 명을 제외한 모든 상원의원들과 만나 보았고, 상원의원 후보 49명과 하원의원 후보 205명, 그리고 모든 신입들을 만나보았습니다.”
PRO-ISRAEL GROUP EXERTS QUIET MIGHT AS IT RALLIES SUPPORTERS IN CONGRESS

The Influence of AIPAC on U.S. Political Dynamics: A Historical and Contemporary Analysis
The Origins of the Israel Lobby in the US

국내언론
[朴宰善의 유대인 탐구] 미국을 쥐고 흔드는 유대인 로비
세계를 지배하는 유대인 파워의 실체
유대 로비 핵심으로 떠오른 AIPAC 영향력 논란
미 의회에 親이스라엘 인맥 만든 선구자
낙선운동으로 反유대 정치인 본때, 막강 파워로
유대인 조직, 미 선거에 ‘돈 폭격’…가자학살 비판 의원들 낙마
미국 대외정책 좌우하는 유대인 로비단체 AIPAC ‘2.5%의 힘’
美 대선은 AIPAC이 결정?
'글로벌 파워' 트럼프 움직이는 '유대인 슈퍼 파워'
“오직 이스라엘 !”… 돈·조국愛로 美 주무르는 ‘神의 조직’

외신
Members of Congress have taken hundreds of AIPAC-funded trips to Israel in the past decade
The pro-Israel groups planning to spend millions in US elections
Pro-Israel money pours in to unseat progressives in congressional races
The dark roots of AIPAC, ‘America’s Pro-Israel Lobby’
The Israel Lobby’s Return to Congress

유대인 네오콘들이 미국을 전쟁으로 끌고 간다는 비판도 있다. 팻 뷰캐넌과 같은 현실주의 고보수주의자도 주장하였다. 네오콘 중에서 어빙 크리스톨, 빌 크리스톨, 도널드 케이건, 로버트 케이건, 폴 월포위츠, 리처드 펄은 모두 유대인이다.
美 지배하는 유대인 슈퍼파워 네오콘
유대인 네오콘에게 휘둘리는 美 대외 강공책
네오콘 대변자 윌리엄 새파이어
평화 위한 선제공격론 만들어 반테러 전쟁 뒷받침
국무부에서 일할 당시 나는 무기판매를 담당했고, 여러 전략상의 이유로 이스라엘에 광범위한 무기판매를 추진했다. 내가 원래 이런 무기 판매에 반대했다는 사실을 내부소식통을 통해 알아낸 이스라엘 내의 다양한 단체들은 나를 맹공격했다. 이런 공격들 중 하나를 어머니 덕에 알게 됐다. 양로원에 계신 어머니가 어느 날 내게 전화를 해 눈물을 흘리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예루살렘 포스트>를 읽는데 네가 냉혹한 유태인이고 이스라엘을 돕지 않을 거라지 뭐니.”
레슬리 겔브(Leslie H. Gelb), 권력의 탄생(Power Rules), 206p
“If it were not for the strong support of the Jewish community for this war with Iraq, we would not be doing this. The leaders of the Jewish community are influential enough that they could change the direction of where this is going, and I think they should.”

“만약에 이라크와의 전쟁에 대한 유대인 공동체의 강력한 지지가 없었다면, 우리는 이 일을 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유대인 공동체의 지도자들은 현재 방향을 바꿀 수 있을 만큼 영향력이 있으며, 저는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임스 모란 하원의원 #

베냐민 네타냐후는 9.11 테러를 몇 년 전에 이미 예측했었다고 한다.Netanyahu claimed to have predicted WTC attacks
In the worst of such scenarios, the consequences could be not a car bomb but a nuclear bomb in the basement of the World Trade Center.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는 자동차 폭탄이 아니라 세계무역센터 지하실의 핵폭탄이 될 수 있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Fighting terrorism(테러와의 전쟁), 125p, 1995년
So I wrote a book in 1995, and I said that, if the West doesn`t wake up to the suicidal nature of militant Islam, the next thing you will see is militant Islam is bringing down the World Trade Center.

그래서 저는 1995년에 책을 썼는데, 서구가 호전적인 이슬람의 자살적인 본질을 깨닫지 못한다면, 호전적인 이슬람이 세계 무역 센터를 무너뜨리는 모습을 보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인터뷰, 2006년 #

네타냐후는 9.11 테러가 벌어진 덕분에 이스라엘이 이익을 얻게 되었다고 말했다.#1, #2, #3, #4

유대인 자본가인 래리 실버슈타인은 9.11 테러가 발생하기 불과 몇 주전에 세계 무역 센터 건물을 99년간 임대해서 수십억 달러의 보험을 계약했고, 테러가 발생하자 막대한 보험금을 얻었다.# 래리 실버슈타인은 평소에는 세계무역센터 단지 북쪽 타워 107층에 있는 레스토랑에서 매일 아침 식사했었는데, 우연히도 테러가 발생한 날은 병원 진료 예약이 있어서 테러 현장을 피해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한다.# 래리 실버슈타인은 아리엘 샤론베냐민 네타냐후와 서로 연락하는 친한 사이라고 한다. 네게브 자유무역지대 프로젝트를 하며 이츠하크 라빈, 베냐민 네타냐후, 에후드 바라크, 아리엘 샤론과 친분을 쌓았다고 한다.#

글로벌리즘과 세계 단일 정부에 의한 통치와 신세계 질서를 진짜로 주장하기도 한다.단일 정부에 의한 국제질서 역설 … ‘세계화’ 개념 전도사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에서 인종청소를 하는 영상이 유포되는 것을 막고, 정보를 검열 통제하기 위해서 유대인들이 틱톡 금지법을 추진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아미차이 치클리 이스라엘 디아스포라 장관이 틱톡에서 반유대주의가 유포되는 것을 막아야 된다고 발언했었다. 반명예훼손연맹과 북미 유대인 연합은 틱톡 금지 법안을 지지했다.
New Israel TikTok Ban Theory Sweeps Through Social Media
‘Shalom, friends’: US Jews on TikTok brace for app’s ban after Supreme Court ruling
TikTok faces calls for ban amid claims of anti-Israel ‘indoctrination’
Israel’s TikTok Problem
US TikTok ban linked to pro-Palestine content rather than China threat, insiders reveal
Israel is banning Al Jazeera, America is banning TikTok. We know why
존 미어샤이머: 그들이 대화를 막으려 한다는 건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의아할 것도 없죠. 틱톡을 폐쇄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였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증거는 로비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터커 칼슨: 세계에서 가장 큰 소셜 미디어 앱 중 하나를 금지하는 겁니다. 싫어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니까요.

(중략)

존 미어샤이머: 네, AIPAC, 반명예훼손연맹 등 개인과 단체들이 오랜 시간 동안 이스라엘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는 느슨한 연합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느슨하게 조직된 연합이라는 표현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유대인 로비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많은 유대인들이 이스라엘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기 때문에 유대인 로비가 아닙니다. 그리고 많은 유대인들이 이스라엘이나 이스라엘 로비가 하는 일에 반대합니다.

터커 칼슨: 많은 종교적 유대인, 토라 유대인, 진정한 유대 유대인을 포함하여, 이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몇몇은 알고 있습니다.

존 미어샤이머: 저는 유대인 중에 반시오니스트가 상당수 있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터커 칼슨: 알겠습니다.

존 미어샤이머: 네, 맞는 말씀이시군요. 그런 이유로 유대인 로비는 아니죠. 하지만 기독교 시오니스트들도 있습니다.

터커 칼슨: 그렇습니다.

존 미어샤이머: 그 로비의 핵심 구성원은 누구인가요? 예를 들어, 기독교연합 이스라엘 로비가 있죠. 그래서 저희는 그것을 이스라엘 로비라고 부릅니다.
John Mearsheimer: The Palestinian Genocide and How the West Has Been Deceived Into Supporting It, 전문

한국과 관련된 것으로 오페르트 도굴 사건이 있었고, 러일전쟁에서 제이콥 쉬프와 같은 유대계 금융자본이 일본제국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제이콥 쉬프는 자본가이면서도 적백내전에서 공산주의 볼셰비키를 지원했는데, 이것을 헨리 포드가 '국제 유대인'에서 지적하였다.
이 논문은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할 수 있었던 요인을 외교사 관점에서 재조명하여 두 가지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전비(戰費) 조달 외교에서 일본이 거둔 성과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여기에는 미국 은행가 쉬프(Jacob H. Schiff)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그가 수행한 역할 배후에는 글로벌 유대계 금융 네트워크가 있었다. 둘째, 유대인 금융 네트워크가 러일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다분히 당시 국제정치 상황에 기인했다. 영국이 비록 일본 동맹국이었지만 정부 차원에서 적극 지원에 나설 수 없었다. 한편으로는 러일전쟁에 대처하는 방향에 대해 영국 정부가 분열되어 있었고, 다른 한편 프랑스가 러시아와 동맹관계에 있었기 때문이다. 영국이 일본 지원에 적극 나설 경우 러불동맹을 자극하여 프랑스 개입을 불러들일 가능성이 있었다. 새로운 안보 위협으로 등장한 독일을 견제하기 위해 영국은 프랑스와 손을 잡고자 원했기 때문에 이는 바람직하지 않았다. 이런 고려에서 영국 정부는 동맹국 일본을 간접적인 방법으로 도왔다. 전쟁 비용 지원 역시 민간 금융계에 맡겼다. 여기에서 유대계 금융네트워크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었던 것이다.
러일전쟁과 유대계 금융의 힘

또한 경제사에서도 유대 금융자본에 대하여 중요하게 다뤄지는데, 니얼 퍼거슨 교수는 로스차일드에 대한 책을 저술했다.#

소금 상권 장악한 유대인, 근대 첫 주식회사 설립… 자본주의 열었다
'청어 재테크'로 쌓은 유대인 자본, 17세기 은행·주식회사 밑천 됐다
영국이 해상권력 거머쥐자… 유대인의 돈도 도버해협을 건넜다 - 유대인의 영국 이주와 美연준 탄생 역사 [上]
네덜란드 유대인이 주식 시스템 이식… 영국을 금융허브로 만들다 - 유대인의 영국 이주와 美연준 탄생 역사 [中]
유대인들 영국 전쟁자금 모아주고 화폐 발행권을 쥐다 - 유대인의 영국 이주와 美연준 탄생 역사 [下]
로스차일드, 나폴레옹 경고에도 대출사업 강행... 국제적 금융가 급부상 - 금융 명문 로스차일드 <상> 국제 자본가의 탄생
정보가 곧 돈... 워털루 승전보 먼저 입수, 주식·채권 20배 차익 - 금융 명문 로스차일드 <중> 영국 시장을 장악하다
미국 움직여 1차대전 참전시키고… 이스라엘 세울 땅 80%를 샀다 - 금융 명문 로스차일드 [하] 세계가 그들 손에

할리우드와 같은 문화 예술계에서도 유대계 자본이 활약하는데,# 영화 월드워Z에서는 좀비사태에서 자비로운 이스라엘 군인들이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장벽 안으로 피신시켜주는데, 그렇게 들여보내준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시끄럽게 소리를 내서 좀비들을 자극하고, 팔레스타인 좀비들이 장벽을 넘어 이스라엘을 침공하자, 이스라엘 군인들이 감염된 팔레스타인 좀비들을 학살하는 장면이 나온다. 또한 미국에서 언론과 출판계에서도 검열이 이루어진다.#1. #2 리처드 닉슨과 빌리 그레이엄은 유대인들이 미국 언론을 장악하고 있다고 말했는데, 미국 언론의 95%이상을 유대인들이 장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리처드 닉슨은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축출당했다.

국제 유대 금융 자본가인 조지 소로스로스차일드가문의 지원을 받아서 퀀텀 펀드를 설립하였다. 조지 소로스는 환투기와 공매도 투기 자본으로 유명한데, 헤지 펀드사모 펀드와 같은 투기 자본들은 기존 회사를 헐값에 잠시 인수한 다음 직원을 해고해서 비용을 절감하며, 회사의 부채를 늘려서, 겉으로 보여지는 회사의 가치를 부풀려서 비싸게 팔아넘겨 차익을 남기고 빠져나가는 식으로 돈을 벌기도 한다. 조지 소로스는 1997년 한국에 투자했던 돈을 일시에 회수하여 매도함으로써 당시 한국의 원화가치가 폭락하고 유동성 위기가 오면서 IMF 사태의 발생에 기여하였다. 그리고 IMF 이후 헐값으로 나온 한국의 자산들을 사들였다가 비싸게 팔며 시세차익을 남겼다.# 당시에 소로스는 아시아 금융 위기에서 한국의 금융이 취약하다면서 목표로 설정했다고 한다.[소로스] "다음 타깃은 한국" IMF 두달전 말했었다 아시아 금융 위기와 IMF 사태로 큰 돈을 벌어들인 소로스는 IMF를 세계 중앙은행으로 만들자고 제안하였다.#
조지 소로스는 동남아 외환 위기의 배후조정자다. 그는 힘있는 달러화나 파운드화는 건드리지 않고, 가난한 나라의 약한 통화에 시비를 거는 비열한 짓을 했다. 소로스는 정치적 동기를 가진 이중 인격자이며, 동남아가 수십 년간 이룩한 결실을 단 2주일만에 거둬갔다.
마하티르 빈 모하맛 말레이시아 총리, #1, #2, #3, #4

소로스는 그렇게 벌어들인 돈으로 자신이 소유한 오픈 소사이어티 재단에서 리버럴 성향의 사회 운동들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1, #2 이것을 비록 악착같이 벌어들인 돈이지만 자선사업에 기부하면서 다시 사회에 환원하는 것으로 착각할 수도 있는데, 조지 소로스의 오픈 소사이어티 재단에서는 마약을 무조건 금지하지 말고 합법화하여 허용하자고 주장하며 마약 합법화에 자금을 지원한다.# 그 외에도 조지 소로스는 성매매#, LGBTQI# 운동 등을 지원한다. 조지 소로스는 USAID 역시도 지원하고 있다.#1, #2 조지 소로스는 위키 미디어 기금에도 자금을 지원하며 위키피디아 편집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마이크로 소프트의 프로그램이 백도어 역할을 하여 사람들의 정보를 감청해서 이스라엘에 넘겨주었다고 한다.#

제프리 엡스틴 성범죄 사건의 범인인 제프리 엡스타인도 유대인 자본가였다. 빌 클린턴도 역시도 제프리 엡스타인의 롤리타 익스프레스라는 개인 전용기를 애용했었는데, 빌 클린턴이 겪은 르윈스키 스캔들, 일명 지퍼 게이트에서 클린턴에게 접근하여 유혹한 모니카 르윈스키도 유대인이었다. 당시 스캔들을 유대계 언론인들이 적극적으로 확산시켰는데, 모니카에게 스캔들을 증언해달라고 요구한 언론인도 유대인이었으며, 심층 취재하고 최초 보도한 언론인도 유대인었고, 적극적으로 보도하며 스캔들을 키운 언론사 사주와 집필진도 유대인었고, 당시 모니카 르윈스키의 변호인도 유대인이었다. 왜냐하면 당시 빌 클린턴이 오슬로 협정을 중재하면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두 국가 해법을 추진하였고, 또한 이스라엘군의 서안 지구 철수를 추진하였기 때문이다.# 참고로 당시 오슬로 협정을 추진하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려 했던 이츠하크 라빈 이스라엘 총리도 암살당했다.

세대주의 기독교와 기독교 시오니즘에도 관련이 있는데, 원래의 기독교에서는 예수가 예루살렘 성전의 파멸을 예언하면서 3일 만에 다시 성전을 재건하리라 말하며 자신의 부활을 예언하였기에,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부활에 대한 믿음이 유대교의 제사와 유대교의 성전을 대체하였다는 신앙을 가지고 있었고, 성경의 예언서에서 나오는 이스라엘은 세상의 나라가 아니라, 교회이며 하늘나라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했었다. 그런데 옥스포드 출판사에서 스코필드가 편집한[1] 스코필드 주석 성경을 보급하면서, 세대주의 사상을 전파하였다. 스코필드 주석 성경은 창세기 12장 3절에서 야훼가 아브라함에게 한 말을 당시 아직 등장하지도 않았던 이스라엘이라고 해석하여 이스라엘에 반대하는 나라는 저주를 받는다고 말했다.[2] 세대주의는 천년왕국에 대해서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을 주장하며, 시오니즘을 지지한다. 한국에서 세대주의 기독교는 휴거와, 예루살렘 성전 재건, 이스라엘에 대한 무조건적인 지지 등을 주장하며,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는데, 대표적인 세대주의 사건으로 다미선교회의 시한부 종말론 휴거 소동이 있었다. 태극기 부대의 시위에서 예수를 그리스도로 인정하지 않는 이스라엘의 국기를 흔드는 사람들은 세대주의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으며, 환난 이전 선택받은 사람들의 휴거를 주장한다면 세대주의 기독교이다.

스코필드는 위조 사기 혐의로 복역하던 중에 존 넬슨 다비를 접하게 되었다고 한다. 스코필드는 미국 유대인 의회 부의장을 역임한 유대인 시오니스트인 사무엘 운터마이어(Samuel Untermyer)의 지원으로 로터스 클럽에 가입하였다. 운터마이어는 연방준비제도를 만드는 데 역할을 했다. 운터마이어는 스코필드를 다른 시오니스트들에게 소개해줬고, 스코필드는 그들의 지원을 받았다.A Little History: Cyrus I Scofield and the Tribulation
운터마이어는 신학을 정식으로 배우지 않은 캔자스시티 변호사인 스코필드를 이용하여 미국 개신교에 시오니스트 사상을 주입했다. 운터마이어와 그가 스코필드에게 소개한 다른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시오니스트들은 스코필드의 유럽 여행을 포함한 경력을 장려하고 자금을 지원했다.
David W. Lutz 교수, <Unjust War Theory: Christian Zionism and the Road to Jerusalem>The Scofield Bible—The Book That Made Zionists of America’s Evangelical Christians

Cyrus Scofield and the Lotos Club: The Hidden Networks Behind the Theologian Who Shaped Evangelical Zionism
Unlikely Allies: Speculating on Samuel Untermyer's Financing of Cyrus Scofield and the Rise of Christian Zionism
Scofield, Truman, and Zionism
The Unholy Marriage: Scofield, Teller, and the Fire They Lit
The Zionist-Created Scofield 'Bible'

3. 음모론의 경우

이 음모론은 세계적으로 널리 퍼진 반유대주의 정서에 기반하는데 백인 우월주의자들과 기독교이슬람 극단주의 등 종교 근본주의 세력도 이를 지지한다. 흥미로운 것은 개신교 극우 내부에서도 이에 대해서는 입장이 두 가지로 명확히 갈린다는 점이다. 첫째는 선민사상기복 신앙으로 무장하여 유대인들을 찬양하고 그들로부터 배워야 한다는 호의적인 관점이고[3] 둘째는 유대인들은 실상 적그리스도의 주구이며 개신교를 무너뜨리려는 사악한 야욕을 품었으므로 그들의 세력을 경계해야 한다는 음모론적인 관점이다. 서구권에서 가장 대표적인 논자로는 팻 로버트슨이 있다. 한국에서는 에스라하우스의 노우호 목사 등이 거론될 만하다.

이러한 음모론을 진지하게 신봉한 나치 독일은 기어코 수많은 유대인을 학살하는 만행을 저지른다.[4]

음모론 총집합인 QAnon의 핵심사상 중 하나다. 그런데 이들이 적극 지지하는 도널드 트럼프예루살렘 선언을 하는 등 대놓고 친이스라엘 성향을 보이면서 이를 정당화하기 위해 음모론을 체계적으로 수정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아슈케나짐은 가짜 유대인이고 세파르딤만 진짜 유대인이다'식의 유대인 갈라치기가 있다.

3.1. 한국에서

대한민국의 음모론 블로그나 웹사이트 등지에서는 흔히 '국제 유대 자본'이라는 통칭으로 부르는 모양이다.

한국에서는 증산도등 일부 도 계열 민족종교 신자들, 그리고 맹목적인 반미 성향 및 LGBT 혐오 성향의 운동권 사이에서 유포되는 듯하다. 1997년에 나온 <한반도 UFO 프로젝트>라는 유대인 배후자본설과 외계문명기원설+한국기원설, 환빠 사관을 한 세트로 묵은 괴서적도 존재한다. 전술한 말한 기독교 극우 계열 주창자도 한국에 있지만 민족종교 계열에 비하면 수가 좀 밀리는 편이다.

한편 한국에서 이쪽 관련 음모론을 소개한 서적들에서는 유다야 신디케이트라는 표현도 보이는데, 보통 일본어로 유대인을 표기할 때는 ユダヤ[5]라고 하므로 일본에서 펴낸 (주로 오치아이 노부히코 부류의 작가들이 작성한 듯한) 유대인 음모론 관련 그 자체 및 그것을 다루기도 하는 서적들을 중역하면서 나온 표현으로 추정된다.

회선상에서는 PC통신 하이텔 큰마을에서 활동하던 '인드라'라는 핸들네임의 유저가 유명하다. 이 사람은 아직까지도 네이버 블로그를 하는등 건재하다. 인드라는 블로그를 유지하면서 2018년에는 유튜브로 활동을 옮겼다가 2020년 초에 정지당한 이후로 아프리카TV로 옮기고 나서 이전에 비해서 성향이나 영향력 등이 많이 안 좋은 의미로 흑화된 상황이다.[6]

사실 역사적으로 한국도 유대인과의 악연이 아예 없다고 하기에는 애매했다. 유대인 금융자본이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는 계기에 간접적으로 기여하기도 했는데 유대계 금융 거물 제이콥 쉬프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는데 큰 역할을 했고 러일전쟁에서 일본의 승리는 직접적으로 조선 병탄의 기반이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이콥 쉬프조선의 실상에 대해 알 리도 없고, 일제가 조선을 식민지배하는 것도 딱히 관심이 없다. 왜냐하면,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는 것은 100% 일본 자체의 의도이기 때문이다.[7] 러일전쟁 당시 일본 제국은 전비 조달을 위해 국채를 발행했지만 동양국가인 일본을 깔보던 서구에서는 당연히 일본 제국이 러시아의 상대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해 어느 누구도 일본 국채를 매입하려고 하지 않아 전비 고갈로 패배의 위기에 직면해 있던 일본 제국을 구원한 것이 바로 당시 거물 유대인 금융가였던 제이콥 쉬프로, 포그롬으로 유대인을 탄압한 반유대주의의 선두에 서 있던 러시아 제국을 무너뜨리기 위해 러시아와 전쟁하고 있던 일본의 국채를 매입했다. 이때 쉬프는 "러시아 제국에 대항해서 일어난 대일본제국하나님의 지팡이였다!"라고 말하며 일본 제국을 찬양했다. 쉬프가 일본 국채를 매입하고 다른 유대인 금융가들에게도 일본 국채를 매입하도록 주선하여 일본의 전비를 조달해 준 덕택에 유대인 자본의 도움으로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을 병탄하는데 방해가 되는 경쟁세력인 러시아를 물리치고 마음놓고 조선을 합병할 수 있게 되었다. 즉, 구한말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순간에 이른바 '유대인 금융자본'이 큰 역할을 한 것이다. 그래서 한국의 유대인 배후자본설 신봉자들은 이 음모론을 설명할 때 로스차일드와 함께 제이콥 쉬프를 한번씩은 언급하며 한국의 일부 반유대주의자들은 제이콥 쉬프라면 이를 가는 만악의 근원이자 일제강점기의 원흉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물론, 반유대주의는 표면적인 사유에 불과하고 실상은 그레이트 게임의 일환으로 러시아가 어떻게든 남하하지 못하도록 막으려던 영국의 제국주의 정책에 따라 일본이 러시아의 남하를 막을 대리로 택한 결과물이 러일전쟁이다. 실제로 그 돈으로 구매한 전함이 영국에서 건조한 미카사인 점이 결정적이다.

3.2. 필수요소

흔한 음모론들이 그렇듯이 논자마다 약간씩의 차이가 있지만, 이하의 내용들은 대부분 발견되며 굉장히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다.
  • 록펠러 가문, 모건 가문, 로스차일드 가문 등 굴지의 재벌 가문들은 사실 유대계이거나, 지금 유대계가 그 자리를 차지하였으며[8] 이들이 정유시장ㆍ금융시장ㆍ곡물시장ㆍ언론사 등을 장악했다.
  • 유대인들은 세계 각처에 군산복합체를 소유했으며, 세계 어딘가에 전쟁이 일어날 때마다 누군가는 피를 흘리고 이들은 떼돈을 번다.[9][10]
  • 부유한 유대인들의 전체 재산이 정확히 밝혀지면 세계 100대 부자들의 목록은 다시 쓰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사회불안을 막기 위해 유대인들은 제외된다. 물론 지금까지 공개된 유대인만으로도 최상위를 쥐긴 했다.
  • 유대인들은 자신들이 원한다면 세계의 호경기/불경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호경기에는 돈을 벌고, 불경기에는 헐값에 기업을 사들여서 시장장악을 확대한다. 이에 관해서는 양털 깎기(음모론) 문서 참조.
  • 여러 강대국들의 재무부 장관이나 법무부 장관, 중앙은행의 장 등은 전부 유대인이거나, 유대인에게 조종된다. 미국연준, 헨리 키신저 등이 대표적이다.[11] 그런데 사실 다른 고위층 분야에 비해 정치계에서 유대인의 비율은 오히려 적은 편이다.[12] 아무래도 주류인 복음주의 기독교 층이 표를 잘 안 주는 경향이 있는데, 근래에 들어서 이것도 많이 바뀌긴 했다.
  • 소위 《시온 의정서》의 내용은 이들 유대인 배후세력이 최종적으로 지향하는 바를 잘 정리하여 보여준다.[13]
  • 유대인들이 언론 통제를 하므로 자신들에게 불리한 내용이나 배후세력 관련 내용이 폭로되는 것을 성공적으로 막는다.[14]
  • 유럽다문화 정책은 서방 세계를 파멸시키기 위한 유대인들의 음모이다.
  • 자본권력을 소유한 유대인들의 최종목적 중 하나는 기독교의 완전한 절멸이다.[15]
  • 혹은 기독교조차 비유대인들을 조종하기 위해 유대인이 만들어냈다.[16]
  • 유대인들이 소련공산주의 혁명의 배후이다. 이를 유태볼셰비즘(Judeo-Bolshevism)이라고 일컫는다. 다만, 공산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의 주요 인사들인 카를 마르크스, 블라디미르 레닌, 레온 트로츠키, 로자 룩셈부르크 등이 모두 유대계 혈통인 것도 사실이다. 마르크스는 아예 유대교 랍비 가문 태생이었고 레닌은 외조부가 유대인이었다. 나치 몰락 이후에는 유대 볼셰비즘은 너무 나치즘스러운 용어라고 배척받기 때문에 음모론자들은 (포스트 모던) 문화적 마르크스주의라는 용어를 쓴다.
  •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도 알고 보면 유대인들의 배후에서의 작당으로 인해 촉발된 점이 있다.
  • 나치 독일홀로코스트, 즉 유대인 학살은 없었거나 그 규모가 실제보다 크게 부풀려져 있다.[17]
  • 유대인들은 그 동안 자신들이 받아 왔던 차별과 린치, 핍박에 설움을 느낀 나머지 자신들의 금권력을 바탕으로 비유대인들을 말살하여 피의 복수를 하기를 원한다.
  • 유대인들은 자본주의, 민주주의, 표현의 자유, 인권, 자유지상주의 등을 내세워 사람들을 방종퇴폐에 물들게 하여 사회, 문화에 혼란을 가중시키고 퇴화시키려 한다.[18]

4. 연준과의 대립의 역사

4.1. 독립전쟁까지

북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영국의 식민 사업으로 미국 동부에 13개 주의 기초가 되는 식민지들이 세워진 상황에서 여러 요인들로 식민지와 본국인 영국과의 불화가 생기게 된다. 가장 큰 문제는 역시나 돈으로, 재정 문제로 고민하던 영국은 결국 치안 유지비를 식민지 주민들에게 부담시켰고 이에 반발한 식민지에서는 돈을 자체적으로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영국조지 3세'식민지는 자체적으로 통화를 만들거나 쓰지 못한다.'는 내용을 담은 조례를 통해 이를 금지시키고 강경노선을 선택했다. 이러한 영국의 태도에 식민지 측은 독립전쟁을 선택하고 프랑스 등의 도움을 통해 간신히 독립을 얻어 미국이 탄생하였다.

4.2. 독립에서 남북 전쟁까지

미국 독립 전쟁의 결과로 미국은 1783년에 영국에게서 독립을 얻어낸다. 그러나 독립 직후의 미국에게는 상당한 빚[19]이 쌓여 있었는데 이 때 미국에 돈을 빌려준 로스차일드 가문을 비롯한 유럽의 유대 금융가들은 자신들이 투자한 자본을 빌미로 미국의 중앙은행 설립을 주도한다.

그러나 중앙은행의 공인 연장안이 연방 하원에서 단 한표 차이로 부결처리되면서 로스차일드 가문은 영국을 움직여 전쟁[20]을 일으키게 된다. 이 때문에 큰 피해를 입은 미국은 전후 수습을 위해 다시금 로스차일드 가문을 비롯한 유대 금융가들에게 막대한 자본을 빌리게 되고 전쟁 종결 후 1년 뒤인 20년 기한의 공인으로 중앙은행 설립을 승인하게 된다. 그러나...

4.3. 앤드루 잭슨 시대

앤드루 잭슨이 제 7대 대통령으로 1829년에 임기를 시작한다. 당시 중앙은행은 공인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이였는지라 의회에 다시 20년의 공인기간 연장을 요구하지만 잭슨이 이에 대해 거부권[21]을 행사한다. 의회에서는 거부권을 막을 2/3의 인원을 동원할 수 없었던지라 중앙은행의 공인은 소멸된다. 잭슨은 중앙은행에 예탁되어 있던 정부 자금을 자신의 주 은행, Pig bank라고 불리는 은행들에 예탁시킨다. 은행가에선 이를 1834년에 돈의 유출을 막음으로 경제 대공황을 일으키며 되갚는다.

4.4. 남북 전쟁

미국 정부가 그렇게 그들의 손에서 벗어나 성장세를 이룩하자 그들은 이간책을 사용했다. 남부와 북부를 노예제로 분열시킨 다음 전쟁을 일으키면 남부나 북부가 다시금 그들에게 돈을 빌리게 될 것이고 그러면 누가 이기든지간에 다시 미국을 장악하게 된다는 것이 그들의 계산이었다. 그래서 당시 미국 남부에 있는 프리메이슨 조직 황금의 기사단을 움직여 미국을 분리하고 전쟁을 시작했다. 그리고 남부는 그들의 의도대로 돈을 빌려 썼다. 그러나 당시의 대통령자 북부의 지도자이였던 에이브러햄 링컨은 이러한 계산을 비웃듯 그린백을 발행하며 자체적으로 전쟁 자금을 조달하는 것은 물론 전쟁 승리 후 남부에 대한 채무를 없애주면서 그들의 계획은 실패했다.

4.5. 연방준비은행, 1939년 경제 대공황 그리고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정부는 그들에게서 독립을 유지해 왔으나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연방준비법을 통과시키면서 상황이 뒤바뀌게 된다. 연방준비법 통과로 인해 그 금융투자가들이 미국의 금융 시장과 통화 유통을 완전히 장악하게 된다.

1920년에 들어 미국 정부는 그들에게 빌린 자본을 98%에 달할 정도로 거의 갚지만 그들은 다시금 1929년 경제 대공황을 조성해 경쟁회사들을 잠식하고 수많은 이익을 보았다. 그들의 사람인 F.루즈벨트에게 대통령을 안겨주면서 그에게 자기들의 사람들을 중요 장관 등을 임명하라고 한다. 루즈벨트는 그들의 말대로 했다. 그리고 그들은 조작하고 돈으로 미국 정부를 완전히 장악하게 된다. 미국 정부는 그들의 요청대로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다. 왜냐하면 더 많은 돈을 미국 정부가 쓰게 함으로써 은행가들에게 더 종속되기를 원해서이다.

4.6. 마지막 대항자, 존 F. 케네디 그리고 현재

1961년, 40대의 젊은 케네디가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앤드류 잭슨과 같이 은행을 죽이겠다는 노선에 서 있는 정치가였고 실제로 링컨 대통령 이후로 은행가의 반발로 유통이 중단되다시피 했던 그린백을 유통할 권리를 재무부에 다시 제공하면서 연방준비은행과 대립 노선을 걷게 되며 은행가들이 루즈벨트를 통해서 만든 FBICIA을 없애기 위해 정면으로 선전포고을 하고 싸웠다. 하지만 케네디는 1963년에 암살당하고 그 직을 승계한 존슨 대통령이 그린백 유통 권한을 취소시키면서 통화 유통권은 연방준비은행에게 넘어간다.

현재 케네디 대통령 이후 그들에게 대항하는 이는 사라졌고 미국 정부 역시 그들의 손아귀에 완전히 넘어가 버렸다. 지금은 은행가들의 사주를 받는 정치인이나 그들이 미국 정부를 담당해 왔고 대통령들을 움직여서 연방정부의 힘을 뺏어왔다. 레이건 대통령은 민영화 운동으로 공기업들을 사실상 망하게 했으며 오바마 이후로는 공기업이 한두 개 있을까 말까 하는 처지이며 테러와의 전쟁 등을 만들어서 미국 정부가 더 그들의 돈을 쓰게 만들었다. 그 결과 미국 국민 전체가 1년 치 내는 세금으로는 빚을 오직 3%만 갚을 수 있을 정도로 너무나 많은 빚이 있다.

빌 클린턴 정부 때 화폐를 금본위제로 되돌린다는 NESARA를 비밀리에 통과시켰고 공표하려고 했지만 조지 W. 부시가 이 NESARA의 공표를 막으려고 오사마 빈 라덴과 사주하여 9.11 테러를 일부러 저질렀다고 한다.

이러한 음모론이 기인한 데는 역대 대통령을 통틀어 암살당하거나 암살기도가 있었던 대통령 5명 모두에게서 "중앙은행의 권한을 약화시키거나 뺏기 위해 많은 노력을 들였다."는 유사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 5명이 모두 같은 정책을 펴진 않았지만 금융 방향에 있어서는 비슷한 노선을 지니고 있었기에 그들이 당한 사고와 그들의 정치적 적이었던 상대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5. Happy Merchant 밈

영미권에서 사용되는 Happy Merchant(행복한 상인) 밈을 한국에서도 사용하고는 한다.
제목 : ~가 ~한 원인
파일:유대인 스테레오 타입.png
사악한 유대인으로 추정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현실에서 어떤 사건사고 등이 터지면 위와 같은 글이 올라오곤 한다. 당연히 대부분은 유대인이 원인이 아님을 알고있지만 재미를 위해 올리는 글이다.

가끔씩 대상이 유대인이 아닌 다른 대상으로 바뀌기도 한다.

6. 관련 문서



[1] 스코필드는 위조와 사기 행각을 벌였던 부패한 정치인 출신으로, 스스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고 주장하지만 미국 내 어느 신학교에도 스코필드가 신학을 공부했다는 증거자료가 없다.[2] 터커 칼슨테드 크루즈의 인터뷰에서 테드 크루즈가 이스라엘에 반대하면 저주받는다고 말했었는데, 이것은 스코필드 주석 성경이 왜곡한 내용을 그대로 믿는 것이다.[3] 일명 "백 투 예루살렘" 슬로건이나 "유대인 교육법" 같은 것들이 이쪽에 속한다. 설교 때마다 유대인의 성공을 입이 마르도록 칭찬하는 목회자도 있다. 말인즉 그들의 신앙심이 철저하기(?) 때문에 이렇게 성공하고 출세했다는 얘기다. 가끔은 한민족을 동양의 유대인(…)으로 추켜세우기도 한다.[4] 이들 중에는 슈트라서주의도 있는데 반유대주의지만 양상이 조금 다르다.[5] 아테지로는 猶太라고 하는데, 그렇다. 유태인 할 때 '유태'를 한자로 굳이 표기하자면 이렇게 표현하기 때문이다.[6] 단 민족주의 사관에는 부정적으로 보진 않지만, 그다지 호의적이라고도 할 수 없다. 환단고기 역시 Power that be의 산물이라는 견해를 내세우고 있다.[7] 전세계 모든 나라들은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방관한 것에 가깝지만 제이콥 쉬프는 일본에게 적극적인 지원을 했다. 이 논리대로라면 범죄의 종범을 처벌하려면 목격자에게도 책임이 있으니 목격자도 처벌하라고 요구해야 한다. 한국의 식민지배에 제이콥 쉬프의 책임수위를 논하려면 영일동맹으로 일본을 적극 지원한 영국 정부의 책임과 같이 논해야지 방관자들과 같이 논하는 것은 억지쉴드에 불과하다. 유대인 배후자본설과는 별개로 제이콥 쉬프는 일본 제국주의의 협력자가 맞다. 위 논리가 말이 되려면 2차 세계대전 후 나치가 청산될 때 나치 관련자들을 전범재판 이후에도 자체적으로 색출해 처벌한 독일 정부는 핵심전범이 아니지만 아무튼 처벌당하는 전범들과 동일한 처벌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고, 명령을 따랐을 뿐이라고 주장한 홀로코스트 책임자들은 당대를 살아간 평범한 독일인과 동일한 수준의 죗값을 치러야 한다는 것이다. 제이콥 쉬프가 무죄면 홀로코스트에서 아돌프 히틀러를 제외한 누구도 책임을 져서는 안 된다.[8] 이들 중 로스차일드가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대계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 유대인들은 혈통을 중요시하지 않는다. 그 조상이 유대인이라고 유대인 취급받지도, 유대인이 아니라고 비유대인 취급받지도 않는다. 중요한 것은 유대교를 믿는가의 여부이다. (이 점은 영화 로드 오브 워에서도 나오는데 유대 혈통이 아닌 유리의 아버지는 유대인으로 살기 위해 유대교회를 다니고 유대인의 풍습을 지키며, 이 때문에 유대인으로 인정받는다.)[9] 이러한 음모론에 대해서는 군산복합체 항목에서 자세하게 반박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10] 서구의 다이아몬드를 경영, 유통하는 대다수는 유대인이고 그 다이아몬드가 어떤 식으로 갈취하고 착취하는지는... 블러드 다이아몬드 문서 참조. 다만 반대로 이스라엘은 피만 흘리고 돈은 군대에 다 쏟아부으면서 돌아오는 건 정치적인 입김 말고는 딱히 없다. 군대라는 조직이 결국은 소비만 하는 것이지만 이스라엘은 유달리 군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보니 나오는 말.[11] 미국 연준의장이 역대로 유대인이 많았던 것은 사실이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을 폴 볼커(1979~87), 앨런 그린스펀(1987~2006), 밴 버냉키(2006~2014), 재닛 옐런(2014~2018) 등 4명의 유대인이 연속으로 맡기도 했다.[12] 당장 미국에서도 유대인의 스테레오타입 하면 정치인보다는 변호사, 회계사 같은 직업부터 나온다.[13] 이와 관련된 음모론에 대해서는 시온 의정서 항목을 볼 것.[14] 음모론 대부분이 항상 그렇듯이(…) 이런 류의 주장은 지금 그 주장을 하는 음모론자의 존재 자체 때문에 부정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음모론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나 말고 아무도 믿으면 안 돼!" 메시지에 해당한다.[15] 이쪽은 기독교 우파들이 주로 주장한다.[16] 이쪽은 주로 이슬람, 동양권 반유대주의자들이나 일부 무신론 또는 오컬트 계열 반유대주의자들이 주장한다. 하인리히 힘러도 이러한 입장이었다. 그는 가톨릭, 개신교, 정교회를 포함한 모든 기독교 또한 절멸의 입장으로 보았으며, 더 나아가 이런 기독교를 대체하기 위해 바가바드 기타를 비롯한 '아리아인 종교'인 힌두교불교를 연구했다.[17] 단, 관련 음모론자가 아니면서 이 주장을 펼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다시 말해, 유대인 학살이 부풀려지긴 했지만 유대인 배후자본설은 설득력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사실 대량 학살 등 세계사적으로 커다란 사건은 여러 집단이 각자의 목적으로 사건을 부풀리거나 축소, 은폐하는 것이 흔한 일이고 홀로코스트 또한 예외가 아니다.[18] 일부 반민주주의, 반자유주의, 반유대주의자들이 이 주장을 내세우기도 한다.[19] 당시 돈으로 1000만 달러 이상이였다.[20] 이미 영국은 나폴레옹 전쟁때부터 이미 지배당하고 있었다.[21] 미국 역사상 최초로, 이전에도 분명 존재했음에도 대통령들이 잘 쓰지 않던 권한이였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미국 유태자본 음모론|미국 유태자본 음모론]]}}}{{{#!if external != "o"
[[미국 유태자본 음모론]]}}}}}}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미국 유태자본 음모론?uuid=2bee9452-5b7d-4fa4-9022-bdb95ab415c5|r1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미국 유태자본 음모론?uuid=2bee9452-5b7d-4fa4-9022-bdb95ab415c5#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미국 유태자본 음모론?from=16|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미국 유태자본 음모론|미국 유태자본 음모론]]}}}{{{#!if external != "o"
[[미국 유태자본 음모론]]}}}}}}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미국 유태자본 음모론?uuid=2bee9452-5b7d-4fa4-9022-bdb95ab415c5|r1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미국 유태자본 음모론?uuid=2bee9452-5b7d-4fa4-9022-bdb95ab415c5#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미국 유태자본 음모론?from=16|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