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22:43:49

유고슬라비아 인민 해군



파일: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엠블럼(1951-1991).svg파일: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엠블럼(1991–1992).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육군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인민 해군 엠블럼.svg 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파일:유고슬라비아 국토방위군 엠블럼.svg
유고슬라비아 인민 지상군
KoV
КоВ
유고슬라비아 인민 해군
JRM
ЈРМ
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RV i PVO
РВ и ПВО
유고슬라비아 국토방위군
TO
ТO
<colbgcolor=#fff> 유고슬라비아 인민 해군
Jugoslavenska ratna mornarica
Југословенска ратна морнарица

Yugoslav Navy
파일:유고슬라비아 인민군 해군 깃발.svg 엠블럼 ()
창설일
해산일
명칭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if 출력 != null
유고슬라비아 SFR}}}}}}]]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유고슬라비아 SFR}}}}}}]]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유고슬라비아 SFR}}}}}}]]
소속 유고슬라비아 국방부
상비군
예비군
징병가능 대상자
참전
전신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1. 개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해군이다.

유고슬라비아 해군은 1945년 설립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해군으로, 유고슬라비아 지역의 해안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해군은 주로 적의 유고슬라비아 상륙을 막고, 오트란토 해협에 진입하는 것을 막는 임무를 맡았다.
왕국군 시절에는 육군, 해군, 공군 3군 체제로 돌아갔는데 사회주의 연방 체제를 갖추게 되면서 지상군 예하의 해상군관구로 재편성되었다. 다시 말해 해병대도 아닌 해군 자체가 육군 예하에 편성 되어있는 구조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주변국은 물론 여느 공산권 해군과 비교해도 다소 특이한 점이며, 소련군도 군 내에서 가장 큰 단위인 전략방면군 예하에 함대가 배정되었지만 딱 거기까지였으며 별개의 군종으로 운용되었다. 파르티잔 작계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고 나름 공산권 국가들 중에서는 소련과 함께 해군의 입지가 드센 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