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프리드 자하의 우승 이력 | ||||
{{{#!folding ▼ | 둘러보기 틀 모음 | |||
클럽 경력 | ||||
| | | ||
국가대표 경력 | ||||
윌프리드 자하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둘러보기 틀 모음 | |||
개인 수상 | ||||
| 2015-16 · 2016-17 · 2017-18 | |||
베스트팀 | ||||
|
| |||||
<colbgcolor=#0085ca> 샬럿 FC No. 10 | |||||
윌프리드 자하 Wilfried Zaha | |||||
<colcolor=#fff> 본명 | 다제 윌프리드 아르멜 자하 Dazet Wilfried Armel Zaha | ||||
출생 | 1992년 11월 10일 ([age(1992-11-10)]세) | ||||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 |||||
국적 |
|
(
) | ||||
신체 | 키 180cm / 체중 66kg | ||||
포지션 | 윙어 | ||||
주발 | 오른발 | ||||
소속 | <colbgcolor=#0085ca><colcolor=#fff> 유스 | ASEC 미모사 (2004~2007) 크리스탈 팰리스 FC (2007~2010) | |||
선수 | 크리스탈 팰리스 FC (2010~2013)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13~2015) → 크리스탈 팰리스 FC (2013 / 임대) → 카디프 시티 FC (2014 / 임대) → 크리스탈 팰리스 FC (2014~2015 / 임대) 크리스탈 팰리스 FC (2015~2023) 갈라타사라이 SK (2023~ ) → 올랭피크 리옹 (2024~2025 / 임대) → 샬럿 FC (2025~ / 임대) | ||||
국가대표 | 2경기 (잉글랜드 / 2012~2013) 33경기 5골 (코트디부아르 / 2017~ ) | ||||
SNS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85ca><colcolor=#fff> 등번호 | 갈라타사라이 SK - 14번 올랭피크 리옹 - 12번 코트디부아르 대표팀 - 9번 |
1. 개요
코트디부아르 국적의 샬럿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윙어.2. 클럽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윌프리드 자하/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윌프리드 자하/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국가대표 경력
잉글랜드 각 연령별 대표팀을 모두 거치며 엘리트 코스를 밟아왔다. 그리고 2012년 11월 11일 부상으로 제외된 웨인 루니 대신 잉글랜드 대표팀에 추가 소집되었고, 11월 14일 A매치 스웨덴전에서 데뷔전을 치렀다.하지만 이 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에서 부진하는 등 월드 클래스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자연스럽게 국가대표에서도 멀어져갔다. 결국 2016년 11월, 자신이 태어난 국가인 코트디부아르가 자하의 합류를 위해 몇 차례 만남을 가졌고 자하도 코트디부아르 대표팀 합류에 긍정적인 의사를 보냄과 동시에 국제축구연맹(FIFA)에 국가 대표팀 변경 양식을 제출함[1]에 따라 앞으로는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의 유니폼을 입고 A매치에 나서게 되었다.
2017년 1월 6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토고전에서 코트디부아르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공식경기에 출장하였으므로 더는 잉글랜드 대표로 뛸 수 없다.
4. 플레이 스타일
2010년대 후반, 흔히 알랑 생막시맹, 아다마 트라오레와 함께 프리미어리그 3대 드리블러로 불리며 PL 윙어의 관문, 첫판왕으로 여겨졌던 선수다. PL로 이적해왔거나 갓 주전으로 올라선 윙백/풀백이 자하 상대로 보여주는 퍼포먼스에 따라 빅클럽에서 뛸만한 수준이냐 아니냐를 판단하는 기준점으로도 자주 거론됐다.앞서 언급한 것처럼, 자하의 플레이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플레이는 바로 드리블. 경기당 드리블 시도를 평균 7~8회정도 시도한다고 했을 때, 60~70프로 정도의 꽤 높은 성공률을 보인다. 물론, 실패가 다소 많은 것을 부정하기 힘들지만, 몇 시즌 동안 드리블 수치를 확인하면 턴오버가 줄어들고 드리블 성공률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2] 단순히 한정된 테크닉을 이용한 드리블 패턴만 가지고 있는 선수가 아니라, 드리블 실력을 뒷받침하는 빠른 주력과 밸런스를 바탕으로 버텨주고 싸워주는 경합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 무엇보다 과감한 플레이를 자주 시도하는 저돌성 때문에 상대 입장에서는 늘 2~3개의 선택지를 두고 고민하게 만드는 굉장히 까다로운 드리블러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자하는 전 팀 동료인 야닉 볼라시처럼 상당히 과감한 플레이를 즐겨하고 선호하는 선수지만, 반대로 폼이나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에는 이 과감함이 무모함으로 바뀌며 상당히 다혈질적인 모습을 보이고 경기력에 기복이 있다는 평가를 많이 받는다. 또한 자하의 아쉬운 점은 바로 킥과 패스를 이용한 스탯 생산력. 이것이 자하가 빅클럽으로의 진출 및 빅클럽에서의 성공을 못 한 이유로 꼽히는데, 잘하는 날에 드리블로 상대를 다 헤집어놓고 마지막 마무리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인다. 물론, 수정궁 복귀 이후에는 자하를 중심으로 공격이 전개되면서 전체적인 패스 판단이나 패싱력, 골 결정력이 크게 올라왔지만, 타 클럽 윙어들에 비해서 여전히 아쉬운 것은 사실이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13~2015)
- FA 커뮤니티 실드: 2013
5.2. 개인 수상
- 프리미어 리그 이달의 선수: 2018년 4월
- PFA 올해의 팀 EFL 챔피언십: 2012-13
- 풋볼 리그 올해의 영플레이어: 2013[3]
- 풋볼 리그 이 달의 영플레이어: 2012년 10월
- 크리스탈 팰리스 FC 올해의 선수: 2015-16, 2016-17, 2017-18
- 노던트러스트 영플레이어: 2016
5.3. 클럽 기록
시즌 | 클럽 | 리그 | 국내 컵 | 유럽 클럽 대항전 | 기타 컵 대회[4] | 총계 |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
2009-10 | 크리스탈 팰리스 | 1 | - | - | - | - | - | - | - | - | - | - | - | 1 | - | - |
2010-11 | 41 | 1 | 5 | 3 | - | - | - | - | - | - | - | - | 44 | 1 | 5 | |
2011-12 | 41 | 6 | 7 | 7 | 3 | 4 | - | - | - | - | - | - | 48 | 9 | 11 | |
2012-13 | 43 | 6 | 10 | 4 | - | 1 | - | - | - | 3 | 2 | 1 | 50 | 8 | 12 | |
시즌 | 클럽 | 리그 | 국내 컵 | 유럽 클럽 대항전 | 기타 컵 대회[5] | 총계 |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
2013-14 | 맨유 | 2 | - | - | 1 | - | - | - | - | - | 1 | - | - | 4 | - | - |
1시즌 | 합계 | 2 | - | - | 1 | - | - | - | - | - | 1 | - | - | 4 | - | - |
시즌 | 클럽 | 리그 | 국내 컵 | 유럽 클럽 대항전 | 기타 컵 대회 | 총계 |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
2013-14 | 카디프 | 12 | - | 1 | 1 | - | - | - | - | - | - | - | - | 13 | - | 1 |
1시즌 | 합계 | 12 | - | 1 | 1 | - | - | - | - | - | - | - | - | 13 | - | 1 |
시즌 | 클럽 | 리그 | 국내 컵 | 유럽 클럽 대항전 | 기타 컵 대회 | 총계 |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경기 | 득점 | 도움 | ||
2014-15 | 크리스탈 팰리스 | 31 | 4 | 2 | 4 | - | 2 | - | - | - | - | - | - | 35 | 4 | 4 |
2015-16 | 34 | 2 | 5 | 9 | 3 | 2 | - | - | - | - | - | - | 43 | 5 | 7 | |
2016-17 | 35 | 7 | 11 | 2 | - | - | - | - | - | - | - | - | 37 | 7 | 11 | |
2017-18 | 29 | 9 | 3 | - | - | - | - | - | - | - | - | - | 29 | 9 | 3 | |
8시즌 | 합계 | 255 | 35 | 37 | 29 | 6 | 9 | - | - | - | 3 | 2 | 1 | 287 | 43 | 47 |
9시즌 | 통산 | 269 | 35 | 38 | 31 | 6 | 9 | - | - | - | 4 | 2 | 1 | 304 | 43 | 48 |
5.4. 국가대표 기록
소속 대표팀 | 연도 | 경기 | 득점 | 도움 |
잉글랜드 | 2012 | 1 | - | - |
2013 | 1 | - | - | |
통산 | 2 | - | ||
- |
<rowcolor=#373a3c> 소속 대표팀 | 연도 | 경기 | 득점 | 도움 |
코트디부아르 | 2017 | 8 | 2 | 1 |
2018* | 1 | - | - | |
통산 | 9 | 2 | ||
1 |
6. 여담
- 알랑 생 막시맹, 아다마 트라오레와 함께 PL 윙어의 관문, 첫판왕으로 여겨지는 선수다. PL로 이적해왔거나 갓 주전으로 올라선 윙백/풀백이 이들을 상대로 보여주는 퍼포먼스에 따라 빅클럽 주전급인가 아닌가를 구분하며 빅클럽에서 뛸만한 풀백이냐 아니냐의 기준점으로도 곧잘 거론된다.
- 태생은 코트디부아르인 이지만, 어릴 때 부모님과 함께 잉글랜드로 왔다. 그래서 잉글랜드와 코트디부아르 두 국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었다. 처음엔 잉글랜드 쪽으로 기우는듯 했으나,[6] 잉글랜드는 한눈에 봐도 포워드 자원 경쟁률이 너무 심했고 자하는 코트디부아르가 잉글랜드에 비해 경쟁률이 확연하게 낮을 거라고 판단,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을 선택했다.
- 본인의 우상은 호나우지뉴라고 한다. 어린 시절 호나우지뉴의 경기에 관한 유튜브 영상을 많이 봤다고 한다.
7.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 등번호 | 국적 | 포지션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비고 |
1 | | GK | 크리스티얀 카흘리나 | Kristijan Kahlina | 1992년 7월 24일 | ||
2 | | DF | 얀 소보신스키 | Jan Sobociński | 1999년 3월 20일 | ||
3 | | DF | 팀 림 | Tim Ream | 1987년 10월 5일 | ||
4 | | DF | 구스만 코루조 | Guzmán Corujo | 1996년 8월 2일 | ||
5 | | DF | 안톤 워크스 | Anton Walkes | 970208-230119 | 🤍[2] | |
6 | | DF | 빌 투이로마 | Bill Tuiloma | 1995년 3월 27일 | ||
7 | | FW | 카밀 유주비아크 | Kamil Jóźwiak | 1998년 4월 22일 | 지정선수 | |
8 | | MF | 애슐리 웨스트우드 | Ashley Westwood | 1990년 4월 1일 | ||
9 | | FW | 엔조 코페티 | Enzo Copetti | 1996년 1월 16일 | 지정선수 | |
10 | FW | | 윌프리드 자하 | Wilfried Zaha | 1992년 11월 10일 | [3] | |
11 | | FW | 리엘 아바다 | Liel Abada | 2001년 10월 3일 | 지정선수 | |
13 | | MF | 브랜트 브로니코 | Brandt Bronico | 1995년 6월 20일 | ||
14 | | DF | 네이선 번 | Nathan Byrne | 1992년 6월 5일 | ||
15 | | MF | 벤 벤더 | Ben Bender | 2001년 3월 7일 | ||
16 | | MF | 펩 비엘 | Pep Biel | 1996년 9월 5일 | [4] | |
17 | | FW | 맥킨지 게인즈 | McKinze Gaines | 1998년 3월 2일 | ||
18 | | FW | 케르윈 바르가스 | Kerwin Vargas | 2002년 1월 2일 | ||
19 | | MF | 크리스 헤가트 | Chris Hegardt | 2002년 1월 6일 | ||
20 | | DF | 데릭 존스 | Derrick Jones | 1997년 3월 7일 | ||
21 | | DF | 술레만 둠비아 | Souleyman Doumbia | 1996년 9월 24일 | [5] | |
23 | | GK | 파블로 시스니에가 | Pablo Sisniega | 1995년 7월 7일 | ||
24 | | DF | 제일린 린지 | Jaylin Lindsey | 2000년 3월 27일 | ||
25 | | DF | 해리슨 애풀 | Harrison Afful | 1986년 7월 24일 | ||
27 | | FW | 님파사 베치마스 | Nimfasha Berchimas | 2008년 2월 22일 | ||
28 | | DF | 조셉 모라 | Joseph Mora | 1993년 1월 15일 | ||
29 | | DF | 아딜슨 말란다 | Adilson Malanda | 2001년 10월 29일 | ||
31 | | GK | 조지 마크스 | George Marks | 1999년 11월 10일 | ||
32 | | DF | 하마디 디오프 | Hamady Diop | 2002년 6월 6일 | ||
33 | | FW | 패트릭 아지만 | Patrick Agyemang | 2000년 11월 7일 | ||
34 | | MF | 앤드류 프리벳 | Andrew Privett | 2002년 8월 2일 | ||
35 | | MF | 닉 스카르디나 | Nick Scardina | 2001년 6월 22일 | ||
36 | | MF | 브랜든 케임브리지 | Brandon Cambridge | 2002년 2월 9일 | ||
<colbgcolor=#0085ca> 구단 정보 | |||||||
회장: 데이비드 테퍼 / 감독: 공석 / 홈 구장: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 | |||||||
출처: 샬럿 FC 홈페이지 |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2] 영구결번 지정[3] 갈라타사라이 SK에서 임대[4] 올림피아코스 FC에서 임대[5] 스탕다르 리에주에서 임대
}}}}}}}}}}}}}}} ||
[1] 공식 경기에 한 번이라도 뛰면 신생국이 아닌 한 국가대표팀을 바꿀 수 없지만, 친선 경기는 이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2] 그 거친 프리미어 리그에서 통할 수준의 드리블러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무엇보다 자하가 크리스탈 팰리스에서 키패스, 골, 드리블 모든 모습을 보여줘야 하는 입장이라는 걸 감안해야 한다.[3] 풋볼리그는 잉글랜드 2~4부 리거를 대상으로 선정.[4] 챔피언십 플레이오프[5] FA 커뮤니티 실드[6] 실제로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에 소집 됐었던 적이 있다.
분류
- 1992년 출생
- 2010년 데뷔
- 아비장 출신 인물
- 영국계 코트디부아르인
- 코트디부아르의 남자 축구 선수
- 크리스탈 팰리스 FC/은퇴, 이적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
- 카디프 시티 FC/은퇴, 이적
- 갈라타사라이 SK/은퇴, 이적
- 올랭피크 리옹/은퇴, 이적
- 샬럿 FC/현역
- 코트디부아르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
- 201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봉 참가 선수
- 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 참가 선수
-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 참가 선수
- 프리미어 리그 이달의 선수 수상자
- 프리미어 리그 이달의 골 수상자
- 윙어
- 복수의 대표팀에서 뛴 축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