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21:13:36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함장/영연방 함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함장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함장 목록
미국 함장 일본 함장 영국 함장 독일 함장
프랑스 함장 소련 함장 이탈리아 함장 범유럽 함장
{{{#!wiki style="margin: -16px -11px;" 범아시아 함장 네덜란드 함장 스페인 함장 }}}
영연방 함장 범아메리카 함장


1. 개요2. 다용도 함장(Jack of All Trades)
2.1. 레너드 W. 머레이 ○
3. 순양함 함장
3.1. 해롤드 B. 판콤 ○
4. 구축함 함장
4.1. 헥터 월러 ○

1. 개요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의 영연방 함장 일람
아이콘 소분류
기본
게임 이벤트
콜라보 한정(외관 불가능)
현재 획득 불가능 ×

2. 다용도 함장(Jack of All Trades)

2.1. 레너드 W. 머레이 ○

파일:함장 레너드 W. 머레이.png
파일:개인 특성 더욱 커다란 것의 일부.png
더욱 커다란 것의 일부
최대 내구도 최대 +4%
최고 속력 최대 +1.5%
함장의 역사 펼치기 ·접기
Leonard Warren Murray(1896~1971)는 캐나다 왕립 해군의 소장으로서, 대서양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었다. 그는 2차 세계 대전 때 캐나다 출신으로는 유일하게 전장의 연합군을 지휘했다.
스킬 구성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스킬 접근 임박.png
접근 임박
[CoiIm]
파일:스킬 모든 걸 불태워 특별판.png
모든걸 불태워 특별판
[BiD]
파일:스킬 비행 금지 구역.png
비행 금지 구역
[NFZ]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스킬 달라진 내 모습.png
달라진 내 모습
[LaMN]
파일:스킬 이리저리.png
이리저리
[Crc]
파일:스킬 너무 늦기 전에.png
너무 늦기 전에
[BTL]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스킬 어뢰 재입고.png
어뢰 재입고
[BkiSt]
파일:스킬 고속.png
고속
[Voi]
파일:스킬 다시 한번 생각해보니....png
다시 한번 생각해보니...
[OST]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스킬 더 멀리까지 특별판.png
더 멀리까지 특별판
[ROXXL]
파일:스킬 바다 위의 연기.png
바다 위의 연기
[SmOTW]
파일:스킬 회피 기동.png
회피 기동
[SC]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전설 스킬 저지 불가.png
저지 불가[UnStop]
파일:전설 스킬 재건의 의지.png
재건의 의지[WtR]
파일:전설 스킬 가득 채웠습니다.png
가득 채웠습니다
[FulPa]
}}}

마이소르[16]를 입수했거나 특정 이벤트 기간[17]에 퍼스를 구입했을 경우, 상점에서 하이다 구입 혹은 캠페인 완주를 통해 뱀파이어 II를 입수한 경우 등, 여러 루트를 통해 영연방 함선을 얻을 경우 지급되는 영연방 범용 함장이다.

영연방 함선을 입수할 경우 함종에 맞는 영연방 전용 함장이 기본적으로 지급되는 관계로, 실사용은 물론이고 영감 혹은 설계국 용도로도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굳이 많은 함장 재화를 들여 육성할 필요는 없다.

3. 순양함 함장

3.1. 해롤드 B. 판콤 ○

파일:함장 해롤드 B. 판콤.png
파일:개인 특성 조심해.png
조심해
연막내 포격 패널티 피탐지 거리 최대 -15%
연막내 포격 패널티 피탐지 시간 최대 -15%
주함포 장전 시간 최대 -3%
함장의 역사 펼치기 ·접기
Harold Bruce Farncomb(1899~1971)은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해군의 해군 소장(1947)이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해군에서 그는 오스트레일리아 태생으로는 처음으로 장성 계급에 오른 인물이었다.
스킬 구성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스킬 모든 걸 불태워 특별판.png
모든걸 불태워 특별판
[BiD]
파일:스킬 사거리 너머로.png
사거리 너머로
[BR]
파일:스킬 비행 금지 구역.png
비행 금지 구역
[NFZ]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스킬 굴뚝.png
굴뚝
[Smkstk]
파일:스킬 유령의 포탄.png
유령의 포탄
[ShFTG]
파일:스킬 라이터.png
라이터
[Int]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스킬 빛의 요새.png
빛의 요새
[LihtFt]
파일:스킬 고속.png
고속
[Voi]
파일:스킬 펀치력.png
펀치력
[PH]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스킬 집중 공격.png
집중 공격
[Ft]
파일:스킬 경계 태세.png
경계 태세
[OnAlt]
파일:스킬 바다 위의 연기.png
바다 위의 연기
[SmOTW]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전설 스킬 가득 채웠습니다.png
가득 채웠습니다
[FulPa]
파일:전설 스킬 규칙대로.png
규칙대로
[ByTBk]
파일:전설 스킬 충전소.png
충전소
[RefSta]
}}}

특정 이벤트나 캠페인을 통해 영연방 순양함을 입수했을 경우 지급되는 '공격형' 순양함 함장으로, 기본 특성으로 주함포 재장전 시간 최대 3% 감소, 연막 내부에서 주함포 발사 후 피탐지 시간 및 거리 최대 15% 감소 스킬을 갖고 있으며 순양함 주함포 사거리 증가, 고폭탄 화재 유발 확률 증가, 연막 내부에서 주함포 사거리 및 포탄 집중도 증가, 철갑탄 공격력 및 관통력 증가, 순양함 주함포 집탄 증가, 연막 전개 및 확산 시간 증가 등 '공격형' 스킬 구성을 갖추고 있다.

기본 특성과 전반적인 스킬 구성이 연막 내 사격에 특화되어 있다. 판콤이 처음 출시됐을 땐 기존에 출시된 영연방 순양함들이 연막 소모품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는 것과 달리 영연방 진영의 주력 함선인 브리즈번은 레이더 소모품만 사용 가능하여 판콤 함장 채용 시 기본 특성의 효과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스킬 선택 또한 제약이 발생하는 이유로 평가가 좋지 않았지만, 2024년 9월 패치를 통해 브리즈번에 레이더 대신 연막 소모품을 선택할 수 있게 되면서 기존보다 더욱 안정적인 화력 투사가 가능해지고 기본 특성의 스킬 효과를 온전히 받을 수 있게 개선되었기에 판콤의 가치도 덩달아 자연스럽게 오르게 되었다. 현재 스킬 구성 자체는 연막 소모품 쪽에 좀 더 힘이 실려있지만, 연막 대신 레이더 소모품을 사용한다고 해도 딱히 문제 될 것은 없는 수준.

스킬 구성이 좋아 레벨에 투자한 만큼 스킬 효율이 선형적으로 오르는 만큼 16+2 이상의 고육성이 권장되며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을 최대 10% 줄여주는 '충전소' 전설 스킬을 사용 할 예정이라면 16+4까지의 육성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영감으로는 소련의 니콜라이 쿠즈네초프[쿠즈네초프]와 일본의 미카와 군이치[미카와]로 사거리는 늘리고 피탐지는 낮춘 순양함 교복 세팅이 추천되며 레이더 브리즈번으로 운용 시 쿠즈네초프를 빼고 예지 시비르스키[예지]를 더한 쌍피탐 세팅 또한 고려해 볼 수 있다.

추천 스킬은 위에서부터 2 / 1 or 2 or 3 / 1 or 2 / 2 or 3 / 1 or 3[36]

4. 구축함 함장

4.1. 헥터 월러 ○

파일:함장 헥터 월러.png
파일:개인 특성 헥터식 전타.png
헥터식 전타
받는 포격 분산도 최대 +3%
조타시간 최대 -5%
함장의 역사 펼치기 ·접기
Hector Waller(1900~1942)는 호주 해군 대령(1940)이었습니다. 호주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영국 전함 Agincourt에 배치되었으며 이후 몇 년 동안 HMAS Sydney 등의 다양한 호주 순양함에서 복무했습니다. 1930년대에는 호주 해군 작전 참모 본부에서 신호 장교로 근무했으며 해군 정보과에서도 복무했습니다. 1937년 Waller는자신의 첫번째 군함인 B급 구축함 HMS Brazen의 지휘를 맡게 됩니다.
스킬 구성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스킬 접근 임박.png
접근 임박
[CoiIm]
파일:스킬 관찰자의 분노.png
관찰자의 분노
[ObvnRg]
파일:스킬 비행 금지 구역.png
비행 금지 구역
[NFZ]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스킬 달라진 내 모습.png
달라진 내 모습
[LaMN]
파일:스킬 박격포.png
박격포
[Mortar]
파일:스킬 모 아니면 도.png
모 아니면 도
[StOFa]
파일:스킬 긴급 수리.png
긴급 수리
[QikFix]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스킬 어뢰 재입고.png
어뢰 재입고
[BkiSt]
파일:스킬 정찰 기동.png
정찰 기동
[TwTck]
파일:스킬 통찰력.png
통찰력
[Pertiv]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스킬 회피.png
회피
[Sidstp]
파일:스킬 바다 위의 연기.png
바다 위의 연기
[SmOTW]
파일:스킬 고철 소함대.png
고철 소함대
[ScIFlta]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전설 스킬 저지 불가.png
저지 불가
[UnStop]
파일:전설 스킬 불 지르기 선호.png
불 지르기 선호
[RheBTch]
파일:전설 스킬 굳건한 군인.png
굳건한 군인
[StfaSol]
}}}

특정 캠페인을 통해 영연방 구축함[53]을 입수했을 경우 지급되는 '하이브리드형' 구축함 함장으로, 기본 특성으로 받는 포격 분산도 최대 3% 증가, 조타 시간 최대 5% 감소 스킬을 갖고 있으며 구축함 주함포 재장전 시간 감소, 고폭탄 및 철갑탄 공격력 증가, 주함포 회전속도 증가, 어뢰 속력 증가, 정밀 탐지[짭레], 구축함 피탐지 거리 감소, 잃은 HP 1%당 주함포 및 어뢰 재장전 시간 감소, 잃은 HP 1%당 구축함 주함포 회전 속도 증가 및 구축함이 받는 투사체 피해 감소, 구축함 최대 내구도 증가 및 구축함 엔진/조타 장치 작동 불능 확률 감소[55] 등 공격형 스킬과 생존형 스킬이 혼합된 '하이브리드형' 스킬 구성을 갖추고 있다.

그동안 범용 함장 사용이 강제되었던 영연방 구축함 진영에 새로 합류한 '하이브리드형' 구축함 함장으로, 공격형 함장의 핵심 스킬[56]과 생존형 함장의 핵심 스킬[57]들을 하나의 함장에 몰아넣은 듯한 스킬 구성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핵심 스킬들의 배치가 좋지 않아 구축함의 필수 스킬인 피탐지 감소를 찍으면 전형적인 포격형 구축함용 스킬 세팅이 강제되고, 그렇다고 피탐지 감소를 포기하자니 구축함끼리의 선스팟 싸움에서 지고 들어가는 모양새가 나오는지라 스킬이 많은 것에 비해 스킬 선택의 다양성은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다.

특이할 만한 점으론 구축함 함장임에도 주로 범용 함장이나 전함 함장에서 볼 수 있었던 내구도 자동 회복 전설 스킬이 탑재되었다는 점인데, 상술한 스킬 배치와 애매한 성능으로 인해 실전에서 사용하기엔 쉽지 않다. 일단 이 전설 스킬을 채용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던 '저지 불가'[58] 스킬을 사용하지 못하므로 두 번째 스킬군에서 피탐지 감소 스킬 대신 '긴급 수리'[59] 스킬 선택이 강제되는데, 이렇게 되면 가뜩이나 피탐지가 좋지 못한 편인 영연방 구축함 입장에선 구축함 간 선스팟 싸움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 헥터 월러 16+4 레벨과 뱀파이어 II 조합 기준으로 피탐지 스킬을 포기하고 쌍피탐 영감 세팅[60]을 하게 되면 5.5km의 피탐지 거리와 똑같은 내구도 자동 회복 활성화 거리를 가지게 되는데, 저속 연막과 4.4km 소나를 조합하여 내구도 30% 이하인 상태에서 대구축전을 하더라도 적 구축함이 기믹을 간파하고 소나 범위 바깥으로 바로 도망가게 되면 소모품은 소모품대로 낭비하게 된 꼴이 되고, 소모품 아깝다고 쫓아가자니 기존 세팅 대비 늘어난 피탐지 거리 때문에 오히려 자기만 스팟된 채로 질질 끌려다니다가 날아오는 적군 백업에 얻어맞고 침몰하기 십상이다.

소모품에 얽매이지 않고 순수하게 포격 싸움을 한다고 하더라도 30% 이하 내구도에서 초당 0.5% 회복은 교전 중 회복 효과가 활성화 되더라도 몇 틱 회복 되기도 전에 본인이 터져버려 드라마틱한 생존력 강화 효과를 보기 힘들고, 고티어 구축함끼리 교전에선 서로 거리를 벌리면서 싸우거나 상대방이 나를 쫒아오게 유도하는 경향이 심하므로 5.5km의 회복 효과 활성화 범위를 유지하는 것 조차 쉽지 않다. 이처럼 고유 전설 스킬을 채용해도 큰 체감이 되지 않고 오히려 커진 피탐지 범위로 인한 불리함만 커지므로 기존대로 '저지 불가' 전설 스킬과 피탐지 감소 스킬을 조합하여 상대방을 선제 스팟 할 여지를 더 주고 연막+소나 소모품을 이용한 적 구축함 낚시에 도움 받는 편이 훨씬 낫다.

영감으로는 미국의 윌리엄 심즈[심즈]를 기본으로 두고 남은 자리에 범유럽의 예지 시비르스키[예지]나 독일의 에리히 베이[베이] 둘 중 레벨이 높은 영감용 함장을 넣는 1피탐 1피통 일명 구축함 교복 세팅이나 저속 연막+소나 기믹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생각이라면 아예 심즈를 빼버리고 예지 시비르스키와 에리히 베이 조합으로 피탐지를 더욱 줄인 2피탐 세팅 또한 고려해 볼 수 있다.

추천 스킬은 위에서부터 2 / 1 / 3 / 2 or 3 / 1[비상기동]




[CoiIm] 어뢰 속력 최대 +5노트[BiD] 고폭탄 및 폭탄 화재 유발확률 최대 +2%[NFZ] 군함의 대공포 초당 평균 피해량 최대 +15%, 군함의 대공포 사거리 최대 +5%[LaMN] 대함 피탐지 거리 최대 -6%[Crc] 구축함 함포 회전 속도 최대 +5도/초, 순양함 함포 회전 속도 +2도/초, 전함 함포 회전 속도 +1.5도/초[BTL] 어뢰 탐지 거리 최대 +15%[BkiSt] 어뢰 발사관 재장전 시간 최대 -8%[Voi] 최고 속력 최대 +5%[OST] 주함포 장전 완료 상태에서 포탄 유형 변경시간 최대 -55%, 주함포 장전 시간 최대 -5%[ROXXL] 주함포 사거리 최대 +4%[SmOTW] 연막 확산 시간 최대 +8%, 연막 전개 시간 최대 +8%[SC] 조타시간 최대 -7%, 조타 장치 수리시간 최대 -7%[UnStop] 엔진 수리 시간 최대 -15%, 엔진이나 조타 장치가 작동 불능 상태더라도 제한적으로 기동할 수 있음, 적이 최대 7.5km 이내에 있을 시 피해 복구반 재사용 대기시간 -50%[WtR] 내구도 복구량 최대 +110%, 군함 수리반 지속시간 최대 -50%, 아군이 최대 3.5km 이내에 근접시 내구도 20% 이하일 경우 해당 수치까지 초당 최대 내구력의 0.3%만큼 수리[FulPa] 모든 소모품 재사용 시간 최대 -5%, 소모품 개수 +1, 아군함이 최대 3.5km 이내에 있을 시 재사용 시간 -20%[16] 5년차 이상 유저 대상으로 매년 4월 캠페인 시즌에 지급됨.[17] 2022 할로원 이벤트 _ 동년 10월 17일 ~ 11월 07일[BiD] 고폭탄 및 폭탄 화재 유발확률 최대 +2%[BR] 순양함 주함포 사거리 최대 +10%[NFZ] 군함의 대공포 초당 평균 피해량 최대 +15%, 군함의 대공포 사거리 최대 +5%[Smkstk] 연막 범위 최대 +8%, 연막 내 포격 패널티 피탐지 범위 최대 -8%[ShFTG] 연막 내부에 있을 때 순양함 주함포 사거리 최대 +5%, 연막 내부에 있을 때 주함포 포탄 집중도 +5%[Int] 순양함 고폭탄 화재 유발 확률 최대 +3%[LihtFt] 순양함이 받는 피해 최대 -8%[Voi] 최고 속력 최대 +5%[PH] 순양함 주함포 철갑탄 공격력 최대 +10%, 순양함의 철갑탄 관통 배수 최대 +6%[Ft] 순양함 주함포 포탄 집중도 최대 +5%, 주함포 분산도 최대 -5%[OnAlt] 피해 복구반 재사용 대기시간 최대 -15%, 조타 시간 최대 -4.5%, 적이 장거리 포격을 가할 시 경고표시가 나타남.[SmOTW] 연막 확산 시간 최대 +8%, 연막 전개 시간 최대 +8%[FulPa] 모든 소모품 재사용 시간 최대 -5%, 소모품 개수 +1, 아군함이 최대 3.5km 이내에 있을 시 재사용 시간 -20%[ByTBk] 피해 복구반 재사용 시간 최대 -15%, 피해 복구반 지속시간 최대 +10%, 아군 군함이 4.5km 에 있을시 순양함이 받는 피해 -20%[RefSta] 순양함 주함포 장전시간 최대 -10%, 아군함이 최대 3.5km 이내에 있을 시 순양함 주함포 사거리 +10%[쿠즈네초프] 순양함 주함포 사거리 최대 6% 증가[미카와] 순양함 피탐지 거리 최대 6% 감소[예지] 모든 함종의 피탐지 거리 최대 4% 감소[36] 본인 플레이스타일 및 연막/레이더 소모품 선택에 따라 취향껏 선택[CoiIm] 어뢰 속력 최대 +5노트[ObvnRg] 구축함 주함포 장전 시간 최대 -5%, 어뢰 탐지 거리 최대 +12%, 조타시간 최대 +10%[NFZ] 군함의 대공포 초당 평균 피해량 최대 +15%, 군함의 대공포 사거리 최대 +5%[LaMN] 대함 피탐지 거리 최대 -6%[Mortar] 구축함 주함포 철갑탄, 고폭탄, 반철갑탄 공격력 최대 + 13%, 구축함 피탐지율 +4%[StOFa] 잃은 내구도 1%당 어뢰 발사기 및 주함포/부함포 장전시간 최대 -0.2%[QikFix] 받는 방사 피해 최대 -8%, 엔진이나 조타 장치가 작동 불능 상태더라도 제한적으로 기동할 수 있음[BkiSt] 어뢰 발사관 재장전 시간 최대 -8%[TwTck] 구축함 함포 회전 속도 최대 +1.5도/초, 가장 가까운 적 군함의 방향이 표시됨.[Pertiv] 구축함이 받는 피해 최대 -3%, 가장 가까운 적 군함의 방향이 표시됨.[Sidstp] 구축함 주함포 사거리 최대 +10%, 받는 포격 분산도 최대 +5%, 조타시간 +10%[SmOTW] 연막 확산 시간 최대 +8%, 연막 전개 시간 최대 +8%[ScIFlta] 잃은 내구도 1%당 구축하 주함포 회전 속도 최대 +0.06%도/초,[UnStop] 엔진 수리 시간 최대 -15%, 엔진이나 조타 장치가 작동 불능 상태더라도 제한적으로 기동할 수 있음, 적이 최대 7.5km 이내에 있을 시 피해 복구반 재사용 대기시간 -50%[RheBTch] 구축함 고폭탄 화재 유발 확률 최대 +3%, 구축함 고폭탄 공격력 -7%, 아군이 최대 3.5km 이내에 있을 시 구축함 주함포 발사 후 피탐지 시간 -30%[StfaSol] 구축함 최대 내구도 최대 +8%, 구축함 엔진 및 조타 장치 작동 불능 확률 최대 -60%, 적이 최대 5.5km 이내에 있을 시 초당 내구도 수리 속도 +0.5%(체력), 자동수리 발동 및 상한선 30%[53] 뱀파이어 II[짭레] 가장 가까운 적함 위치 표시[55] 전설 스킬 - 구축함 내구도 최대 8% 증가, 엔진 및 조타 장치 작동 불능 확률 최대 60% 감소, 적 군함이 최대 5.5km 이내에 있고 자함의 내구도가 30% 이하일 경우 초당 0.5% 속도로 30%까지 자동 수리[56] 주함포 재장전 시간 감소[57] 엔진/조타 장치 작동 불능 상태라도 제한적 기동 가능[58] 엔진과 조타가 고장나더라도 80% 성능 유지, PC 버전의 비상 기동과 같은 스킬[59] 받는 방사 피해 최대 8% 감소, 엔진이나 조타가 고장나더라도 제한적 기동 가능[60] 예지 시비르스키, 에리히 베이 두 함장 모두 16+4 기준[심즈] 군함 단계 당 내구도 최대 400씩 증가[예지] 모든 함종의 피탐지 거리 최대 4% 감소[베이] 구축함 피탐지 거리 최대 4% 감소[비상기동] 엔진과 조타가 고장나더라도 50% 성능 유지, 인게임 스킬 이름은 "저지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