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울펜슈타인 시리즈|울펜슈타인 시리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color=#191919> 세계관 및 설정 | 세계관 · B.J. 블라즈코윅즈(주인공) · 장비 · 타임라인 |
시리즈 일람 | ||
<colbgcolor=#bdbdbd,#414141> | 클래식 타이틀 | |
| 클래식 타이틀 | |
| 적 · 무기 및 아이템 | |
| 등장인물 · 적 · 아이템 | |
| 아이템 · 툴레 메달 | |
| 등장인물 · 캠페인 · 아이템 · 적 · 퍼크 | |
| 캠페인 · 아이템 · 적 | |
| 등장인물 · 캠페인 · 아이템 · 적 · 퍼크 | |
| 등장인물 · 캠페인 | |
| 아이템 · 적 · 퍼크 | |
|
1. 국가, 대륙
1.1. 독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3제국(울펜슈타인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3제국(울펜슈타인 시리즈)#|]][[제3제국(울펜슈타인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 일본 제국
실제 역사와는 다르게 1946년에 발생한 레이테 만 해전에서 미국을 상대로 독일과 공동 승리를 거두었으나, 2년도 채 되지 않아 중국에서 패배하였다. 하지만 중국도 일본군을 물리친 지 4개월 만에 독일군의 공격을 받고 곧 독일에 무조건 항복했다. 이후 일본도 독일의 보호령이 됨과 동시에 식민지를 전부 넘겼다.1.3. 이탈리아
일본과 마찬가지로 독일과 같은 추축국의 일원이었으나 1949년에 독일에게 배신당하고 점령되었다.1.4. 미국
원 역사와는 다르게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레이테 만 해전에서 참패하고,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던 과학자들이 살해당하는 등 궁지에 돌리다가 결국 맨해튼에 원폭을 맞으면서 항복하고 만다.[1] 이후 독일의 식민지로 전락하였으며, 1961년에는 영어 사용이 금지되고 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해야 하는 '전환일'을 앞두는 등 나치 정권에 의해 독일 문화에 동화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1.5. 소련
1946년 12월에 항복하였다. 스탈린은 행방불명인 상태. 항복 이후에도 잔당이 계속 활동하고 있었으나 독일군은 판저훈트를 동원하며 진압했다.1.6. 한국
중국의 국공연합이 일본을 아시아 대륙에서 몰아내고 일본의 군사력과 경제력을 현저하게 약화시킨 상황에서 한국은 일본의 마지막 최전방 중 하나였다. 그러나 나치가 일본을 보호령으로 삼으면서 한반도는 일본령에서 독일령으로 넘어갔다. 1948년, 인천에서 나치에게 저항하는 봉기가 발생했으나 발터 하우저가 지휘하는 독일군에게 진압되었다. |
울펜슈타인에 등장한 한국에 관한 밈으로 잘 알려진 사진 |
1.7. 아프리카
아프리카는 나치가 지배하는 세계에서 마지막으로 분쟁이 벌어진 영토 중 하나이다.1957년 나치는 아프리카로 향하는 직항로로 지브롤터 해협을 가로지르는 지브롤터 다리를 건설하여 수천 명의 노예 노동자를 희생시켰다. 이 다리는 아프리카 전선의 나치 주요 보급선 역할을 했으며, 수천 명의 군인과 보급품을 투입하여 느리지만 꾸준한 아프리카 전역의 진격을 강화했다. 아프리카 저항군은 여전히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지만, 나치가 이 땅에 대량 학살 법치를 강요하면서 계속해서 입지를 잃고 있다. 작중 주요 인물들 중 한 명인 봄바테가 아프리카 저항군 출신이다.
2. 도시, 행성
2.1. 베를린
나치 독일의 수도. 우버 콘크리트를 활용해 망상에 가까운 계획이었던 세계수도 게르마니아가 실제 역사 속 계획보다 더 웅장하게 실현되었다. 베를린 시민들은 현 체제에 완전히 세뇌된 상태로 살아가고 있다.2.1.1. 아이젠발트 감옥
베를린에 위치한 감옥. 체포된 저항군 전사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근위병, 캄프훈트, 판저훈트가 지키고 있다.2.1.2. 크라이사우 서클 본부
저항군 세력 크라이사우 서클의 사령부. 진실 기념비 아래에 위치해 있었다. 프라우 엥겔이 이끄는 독일군 병력의 공격을 받아 현재는 버려진 상태.2.1.3. 비밀 경찰 본부
2.2. 뉴 올리언스
뉴 올리언스는 미국의 주요 항구이자 루이지애나 주에서 가장 큰 도시 및 대도시 지역이었다.1952년 이전에는 나치가 도시를 통제했지만,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면서 나치는 도시를 황폐화시키고1952년 5월에는 거대한 성벽을 건설하여 나치 정권의 눈 밖에 난 사람들을 격리시켰다. 1960년 9월, 허리케인 그레타가 뉴올리언스를 강타하면서 폐허가 되어 거의 살 수 없게 되었다.
현재, 호튼이 이끄는 저항군이 뉴올리언스를 거점으로 삼고있다.
점령된 미국 영토의 변화와 독일화의 일환으로. 엥겔 장군은 대규모 병력을 파견하여 거리를 순찰했으며, 허리케인 그레타 이후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한다는 명목으로 게토의 생존 주민들을 정화하고 뉴올리언스 저항 세포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었다. 나치의 미국 점령을 기념하기 위해 게토 뉴올리언스를 쇼케이스 계획 도시인 뉴올리언스로 탈바꿈시키는 선전 계획이 발표되었다.
2.3. 시카고
2.4. 뉴욕
2차 대전 막바지에 독일의 원자폭탄을 맞고 방사능 폐허가 된 상태다.2.5. 뉴 파리
뉴 파리는 1980년 현재 나치 독일의 핵심 구성 영토 중 하나인 프랑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다.센 강으로 양분된 예술과 문화의 중심지였던 나치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도시를 독일화하여 독일 정착민들을 오래된 지역으로 소개하는 동시에 도시의 전반적인 인프라를 그들의 필요에 맞게 변화시켰다. 이 도시는 이전에 나치 장군 로타르 브란트가 지배하고 있었지만, 베를린에서 나치 정권에 대한 그의 행동에 따라 빙클러 장군이 후임으로 임명되었다.
2.6. 금성
태양에서 두 번째 행성. 달을 식민지화한 나치는 금성도 식민지화하기 시작했으며, 대기 상층부에 지구와 비슷한 거대한 부유 도시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대기 기지는 대기 기지 바로 아래에 있는 행성 표면에 위치한 두 번째 기지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보인다.조립 규모를 고려할 때 나치가 달에 도달한 후 대규모 우주 비행 임무를 처음 시작한 1951년 이후 어느 시점에 기지 건설이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기지의 상부는 아돌프 히틀러가 직접 거주했던 대기권에서 멀리 떨어진 도시처럼 모델링되어 있다.
표면적으로는 52구역이 파괴된 후 이곳으로 이전한 오버코만도가 있다. 달 기지와 달리 금성 시설의 보안은 우주 해병대가 아닌 일반 병사들이 유지하는데, 이는 B.J.의 과거 달 기지 난동으로 인해 독일 우주 해병대 대부분이 고갈되어 나치가 특수 인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병사를 재배치해야 했기 때문이다.
2.7. 달
나치 달 기지가 건설되는 지구의 위성이다. 여러 기밀 군사 정보들이 보관되어 있었으나 블라즈코윅스에게 털렸다.3. 지역(장소)
- 벨리카 수용소
- 다트 이슈드 금고 (Da'at Yichud Safe)
울펜슈타인에서 볼 수 있는 비밀스러운 고대 장소. 다트 이슈드로 알려진 고대 사회에서 사용했던 많은 금고 중 하나
- 데스헤드 기지
- 아이젠발트 감옥
-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 지브롤터 다리
- 런던 나우티카
런던에 세워진 대형 나치 연구시설. 우주 박물관도 존재한다.
- 메스키트
- 진실의 기념비
- 문베이스 원(Moon Base One)
- 뉴 올리언스
- 말라비스(Maławieś) 정신병원
폴란드에 위치한 정신병원. 아냐 올리바의 가족이 운영하던 곳이었다. 빌헬름 슈트라세가 이 곳에서 실험용으로 쓸 환자들을 끌고갔다. 블라즈코비츠는 머리 부상으로 식물인간 상태가 된 채 이 곳에서 1960년까지 살다가 깨어나 독일군들을 모조리 쓸어버린 뒤 아냐를 구출해 빠져나갔다.
4. 배경(역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울펜슈타인 시리즈/타임라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울펜슈타인 시리즈/타임라인#|]][[울펜슈타인 시리즈/타임라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이후 러시모어 산은 독일군에게 폭파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