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7 09:09:05

울산프로야구단(가칭)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로고(가로형,유색배경).svgKBO 퓨처스리그
참가 구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북부리그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고양 히어로즈 엠블럼.svg
남부리그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상무 피닉스 야구단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참가 리그 미정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울산프로야구단
번외 구단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
* KBO 퓨처스리그는 한국야구위원회에 가입한 구단만이 참여할 수 있는 리그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을 비롯한 번외 구단과의 경기는 공식 기록에 반영하지 않는다.
과거 참가 구단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colbgcolor=#008c95,#008c95><colcolor=#fff,#fff> 울산 시민 야구단(가칭)
Ulsan Citizen Baseball Club(가칭)
정식 명칭 미정[1]
영문 명칭 미정
창단 미정([age()]주년)
구단 형태 시민 구단
운영 주체 울산광역시
구단주 김두겸[2]
감독 # 미정
주장 # 미정
홈구장 변천 울산 문수 야구장 (2026~ )
소속 리그 변천 남부리그 (2026~ )
상징색 미정
키트 스폰서 미정

1. 개요2. 역사
2.1. 창단 이전2.2. 2026 시즌
3. 유니폼4. 선수단
4.1. 코칭스태프4.2. 투수4.3. 포수4.4. 내야수4.5. 외야수
5. 홈구장6. 역대 감독7. 여담8. 둘러보기

1. 개요

울산광역시에서 운영할 예정인 시민 야구단. KBO 퓨처스리그에만 참가한다.

2. 역사

2.1. 창단 이전

2025년 10월 21일, 울산광역시 측에서 지역의 야구 저변 확대를 위해 1년 가까이 KBO와 함께 KBO 퓨처스리그에 참가하는 시립구단 창단을 준비하고 있었음이 알려졌으며 신생 구단은 선수 약 30명을 포함하여 50명 정도의 규모로 구성될 예정이다.# 후술하는 것처럼 외국인 선수를 영입하는 것은 물론, 미국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했던 해외파 선수가 뛸 예정이라고 밝혔다. #[3][4]

이후 11월 5일, 퓨처스리그 참가 협약을 체결하며 KBO와 함께 선수단 구성, 행정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또한 울산시의 참가로 퓨처스리그는 북부리그 5개 구단, 남부리그 6개 구단에서 북부 6개 구단, 남부 6개 구단으로 재편 후 울산의 경우 남부리그에 편성될 것으로 보인다.[5]

2.2. 2026 시즌

KBO 퓨처스리그에 참여하는 첫 시즌으로, KBO울산광역시뿐만 아니라 청주시를 비롯하여 여러 지자체 등에서 굉장히 주목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즌이다.[6]

계획상으로는 시즌 중 홈구장으로 사용될 울산 문수 야구장의 증축과 유스호스텔 건립이 예정되어있어 시즌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롯데 자이언츠의 제2 홈구장으로 사용하면서도 폭염 중 대비가 되지 않아 경기가 취소된 전적이 있는 만큼 그에 대한 대책도 마련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단 2026 시즌의 경우 울산 문수 야구장에서 총 58경기를 진행할 예정이다.

3. 유니폼

4. 선수단

4.1. 코칭스태프

코칭스태프
<rowcolor=#008c95,#008c95> 배번 이름 직책 부임 연도

4.2. 투수

투수
<rowcolor=#008c95,#008c95> 배번 이름 투타 입단 년도

4.3. 포수

포수
<rowcolor=#008c95,#008c95> 배번 이름 투타 입단 년도

4.4. 내야수

내야수
<rowcolor=#008c95,#008c95> 배번 이름 투타 입단 년도

4.5. 외야수

외야수
<rowcolor=#008c95,#008c95> 배번 이름 투타 입단 년도

5. 홈구장

메인 홈구장
파일:울산 문수 야구장 전경.jpg
울산 문수 야구장
(2026~)

6. 역대 감독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울산 시민 야구단 No.
○○○
○○○
(2026~ )

7. 여담

  • 울산광역시는 전국 6개 광역시 중 유일하게 야구단이 존재하지 않는 지자체였으나[8], 이 구단 창단으로 어느 정도는 아쉬움을 덜 수 있게 되었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8c95>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관련 문서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8c95><colcolor=#fff> 기관 울산광역시청 · 산하 기관
기초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 기초자치단체장(2기 · 3기 · 4기 · 5기 · 6기 · 7기) · 구청 · 기초자치의회
도로 도로 · 울산광역시도
대중교통 동남권 광역전철 · 울산 도시철도 · 버스 · 버스 터미널
주거 공동주택
교육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과학고 · 과학중점고) · 각종학교 · 특수학교 · 대학교
시설 병원 · 공공도서관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008b95><tablewidth=250><tablebgcolor=#008b95>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KBO 퓨처스리그 K리그1 한국프로농구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울산 HD FC 엠블럼.svg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울산프로야구단(가칭) 울산 HD FC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울산광역시 연고 기타 구단 보기
}}}}}}}}} ||

[1] 공식 구단명은 추후 공모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다.[2] 울산광역시장[3] 정황상 해당 선수는 최지만으로 추정된다. 다만 부상으로 인해 의병 제대한 상황인 만큼 최지만이 영입된다고 하더라도 정상적인 풀 시즌 소화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최지만이 아니라면 박효준일 가능성도 있으나, 박효준은 여권 반납 관련 항소심 판결 이후 공식적인 경로로는 어떤 상황인지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애슬레틱스와의 계약 관계가 끝났는지도 명확하지 않으며, 영주권 취득설도 있으나 역시 확실하지 않다.) 소송이 아직 진행 중이라면 축구의 석현준의 예를 봤을 때 입단이 불가능할 전망이다.[4] 또한 선수를 어디서 수급하는지, 창단 멤버는 누구인지에 대한 정보도 알려지지 않았다.[5] 아마도 익산 국가대표 야구훈련장을 사용하는 것에 더해 추후 수도권으로의 연고지 이전 가능성이 있는 kt wiz 2군이 북부리그로 합류할 것으로 예상된다. 혹은 익산보다 더 북쪽에 위치한 문경 상무 야구장을 사용하는 상무 피닉스 야구단이 북부리그로 재편성될 가능성도 있다. (문경이 경북에서도 최북단에 위치하고 중부내륙고속도로가 인근에 있어 의외로 수도권 접근성이 나쁘지 않다. 이천에 위치한 LG, 두산 2군 구장에서는 익산이나 서산보다도 가깝고 타 구장들에서도 익산보다는 문경이 조금 더 가깝다.) 이 경우 연고지 이전으로 남부리그로 재편성된 2013년 이후 13년만에 북부리그로 복귀하게 된다.[6] 청주시, 포항시, 전주시와 같이 제2 야구장급의 구장을 보유 중인 지자체 등에서 울산시의 모습을 보고 추후 시민 구단을 창단하여 퓨처스리그에 참여할 가능성도 점쳐지며, 성남종합운동장 주경기장의 리모델링으로 새로운 1군급 구장이 생길 예정인 성남시 역시 관심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7] 과거 번외 경기 형식으로 참여한 고양 원더스가 존재하기는 하나 시민 구단이 아닌 독립야구단이었다. 거기다가 고양 원더스는 공식적인 참여 구단으로 인정받지 못한 것이 팀 해체의 원인 중 하나인 만큼 공식적인 참여 구단으로는 이 팀이 최초이다.[8] 부산광역시 - 롯데 자이언츠, 대구광역시 - 삼성 라이온즈, 대전광역시 - 한화 이글스, 광주광역시 - KIA 타이거즈, 인천광역시 - SSG 랜더스까지 다른 5개의 광역시는 모두 프로야구단을 보유 중이다.[9] 타 구단의 외국인 선수들도 2군에서 뛸 수 있으며, 시즌 중 교체 시 컨디션 관리 차원에서 몇 차례 등판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