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22:08:11

우와사와 나오유키/선수 경력/2024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우와사와 나오유키/선수 경력
우와사와 나오유키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3년 2024년 2025년

1. 개요2. 시즌 전
2.1. 시범 경기
2.1.1. 2월 29일: ATL전 (홈) [ND]2.1.2. 3월 5일: BOS전 (원정) [ND]2.1.3. 3월 10일: BOS전 (원정) [패배]2.1.4. 3월 15일: BAL전 (홈) [ND]
3. 정규시즌
3.1. 4월
3.1.1. 4월 10일: SYR전 (AAA) (원정) [패배]3.1.2. 4월 16일: DUR전 (AAA) (홈) [승리]3.1.3. 4월 21일: DUR전 (AAA) (홈) [승리]3.1.4. 4월 28일: 메이저 리그 콜업
3.2. 5월
3.2.1. 5월 2일: SF전 <RP> () [ND]3.2.2. 5월 3일: MIN전 <RP> (원정) [ND]3.2.3. 5월 8일: 마이너 리그3.2.4. 5월 10일: BUF전 (AAA) (원정) [ND]3.2.5. 5월 16일: SWB전 <RP> (AAA) (홈) [ND]3.2.6. 5월 22일: NOR전 (AAA) (홈) [ND]3.2.7. 5월 28일: CLT전 (AAA) (원정) [패배]
3.3. 6월
3.3.1. 6월 2일: CLT전 <RP> (AAA) (원정) [ND]3.3.2. 6월 6일: ROC전 <RP> (AAA) (홈) [승리]3.3.3. 6월 12일: BUF전 <RP> (AAA) (원정) [패배]
3.4. 7월3.5. 8월3.6. 9월
4. 정규시즌 성적
4.1. MLB4.2. MiLB
5. 시즌 총평6. 관련 문서

1. 개요

보스턴 레드삭스 소속 우완 투수 우와사와 나오유키의 2024 시즌을 정리한 문서. 이 문서에 나오는 날짜는 한국 시간이라는 명시가 없다면 현지 시각(EDT)을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다.

2. 시즌 전

스프링 트레이닝 초청을 포함한 스플릿 계약을 맺었기 때문에 스프링 트레이닝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야 로스터에 합류할 수 있다. 다만, 레이스는 스프링 트레이닝 시작하면서 로스터에 세 자리[1][2]가 생기기 때문에 조금만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 로스터에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 우와사와 본인도 이런 레이스의 상황을 알고 계약했을 것으로 보인다.

오프시즌 동안 오키나와현 나고시 있는 퍼시픽리그 구단의 스프링 트레이닝 시설에서 훈련을 마치고 2월 10일 토요일 미국으로 출국한다고 한다. MLB 공인구에 적응하려고 노력했고, 스플리터를 연마했다고 한다. #

2.1. 시범 경기

파일:nao_rays_2024_st.jpg

2024년 2월 14일 스프링 트레이닝에 출석했다. #

2월 23일 첫 번째 라이브 피칭에서 타자들을 상대해 30구를 던지며 7~8개의 스윙 스트라이크를 기록했다. 카일 스나이더 투수 코치는 우와사와의 속구가 최고 91마일까지 나왔다고 말했는데, 작년 일본에서의 기록보다 약간 높은 수치였다. #

2.1.1. 2월 29일: ATL전 (홈)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ND 2 1 8 2 0 7 7
시범경기 첫 등판에서 세번째 투수로 출전해 2이닝 1K 8피안타(2피홈런) 7실점으로 신고식을 제대로 치렀다. 포레스트 월마르셀 오즈나에게 홈런을 맞았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본인 투구에 대해 개선할 곳이 많으며, 볼넷이 없던 점이 좋았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예전 동료였던 오타니의 결혼 발표에 놀랐고, 축하한다고 전했다. #

2.1.2. 3월 5일: BOS전 (원정)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ND 2 1 3 0 3 1 1
첫 투수로 나와 2이닝 1K 3피안타 1실점을 기록했다.

2.1.3. 3월 10일: BOS전 (원정) [패배]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1⅔ 4 1 1 4 5 5
세번째 투수로 나와 1.2이닝 4K 1피안타(1피홈런) 5실점을 기록했다. 세단 라파엘라에게 홈런을 맞았다.

3월 12일, 케빈 캐시 감독은 타지 브래들리가 개막 로스터에 합류하기 어려울 것이며 최소 2주 투구 중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우와사와는 5선발로 개막 로스터에 합류할 가능성이 생겼다.

3월 15일 오전, 제이크 오도리지가 레이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고 스프링 트레이닝에 초청받으며 7년만에 돌아왔고, 몇 시간 후 제프리 스프링스를 60일 IL에 등재하고 제이콥 웨그스펙을 40인 명단에 추가했다. 레이스의 5선발 경쟁에서 확실한 승자가 결정된 것은 아니나 웨그스펙이 40인 로스터에 먼저 진입한 것으로 보아 개막 후 웨그스펙이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일 경우에 제이콥 로페스, 제이크 오도리지, 우와사와 나오유키가 승격을 두고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브래들리의 부상으로 메이저 리그 승격에 희망이 보였던 우와사와의 앞날에는 먹구름이 드리웠다. #

2.1.4. 3월 15일: BAL전 (홈)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ND 4 3 4 0 1 1 1
선발 투수로 나와 4이닝 3K 4피안타 1실점을 기록했다.

3월 22일, 레이스는 우와사와를 포함한 6명[3]에게 개막일 명단에 포함하지 않을 것이라고 알리고 마이너 리그 캠프에 재배치했다. ##

마이너 통보 후, 계약에 포함되어 있는 '양도 조항'을 행사해 타 구단의 메이저 오퍼를 기다린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리고 27일, 보스턴 레드삭스와 트레이드가 성사되어 보스턴의 40인 로스터에 포함되었다. ## 정보에 혼란이 일어나 일본 현지에서는 메이저 리그에서 시즌을 시작한다는 등의 뉴스도 나왔으나, 결국 개막 로스터에는 들지 못하고 마이너 리그에서 시즌을 시작한다.

3. 정규시즌

3.1. 4월

3.1.1. 4월 10일: SYR전 (AAA) (원정) [패배]

파일:uwasawa_april_10_2024.jpg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5 5 4 1 1 3 3 79
뉴욕 메츠 산하 마이너 리그 팀 시라큐스 메츠전에 등판하여 5이닝 5K 3실점을 기록했다.

3.1.2. 4월 16일: DUR전 (AAA) (홈) [승리]

파일:uwasawa_april_16_2024.jpg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5 5 6 1 4 4 4 79
본인이 잠시 몸 담았던 탬파베이 레이스 산하 마이너 리그 팀 더럼 불스전에 등판하여 5이닝 5K 4실점을 기록했다. 경기 후 일본 스포츠지 스포츠닛폰과 인터뷰를 했다. #

3.1.3. 4월 21일: DUR전 (AAA) (홈) [승리]

파일:uwasawa_april_21_2024.jpg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5 7 5 0 1 1 1 79
지난 경기에 이어서 더럼 불스와 두 번째 맞대결을 펼쳤고 5이닝 7K 1실점을 기록, 더럼 불스 상대로만 2승을 챙겼다. 이전 두 등판과 다르게 실점은 줄고 삼진은 늘어서 안정적인 투구를 보였다. #

3.1.4. 4월 28일: 메이저 리그 콜업

4월 28일, 레드삭스는 우와사와를 26인 현역 로스터에 등재했다. 등번호는 39번으로 변경했다.

3.2. 5월

3.2.1. 5월 2일: SF전 <RP> () [ND]

파일:Naoyuki-Uwasawau_mlb_debut_for_redsox.webp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2 1 0 0 0 0 0 19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인터리그에서 2점차로 뒤지고 있는 상황에 추격조로 등판하여 메이저리그 데뷔전을 치렀고 2이닝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3.2.2. 5월 3일: MIN전 <RP> (원정)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2 2 2 0 2 1 1 43
1점차로 뒤진 7회말 무사에 주자 2, 3루를 남겨놓고 마운드를 내려온 선발 태너 하우크와 교체되어 또다시 추격조로 등판했다. 등판 후 곧바로 첫 타자를 4연속 볼로 출루시켜 만루를 채웠고 후속 타석에서 3루 주자를 홈에서 아웃시켜 실점없이 아웃카운트를 하나 늘렸으나 피치클락 위반으로 세 번째 타자를 볼넷으로 출루시키며 밀어내기 실점을 허용했다. 그리고 이어진 타석에서 적시 2루타를 맞아 남은 승계 주자와 본인의 허용 주자 한 명을 모두 홈으로 불러들이는 깔끔한 분식을 저질렀으며 8회에도 올라와 해당 이닝을 무실점으로 틀어막기는 했으나 결국 팀은 역전에 실패, 최근 기세를 올리고 있는 미네소타의 11연승 제물이 되었다.

3.2.3. 5월 8일: 마이너 리그

5월 8일, 레드삭스는 우와사와를 26인 현역 로스터에 제외하고 마이너로 이관했다.

3.2.4. 5월 10일: BUF전 (AAA) (원정)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4 2 5 1 1 3 3 60
마이너 강등 이틀 뒤 토론토 블루제이스 산하 마이너 리그 팀 버팔로 바이슨스를 상대로 선발 등판에 나섰으며 4이닝 2K 1피홈런 3실점을 기록했고 이닝을 추가로 소화하지 못한 채 교체되며 마운드를 내려왔다.

3.2.5. 5월 16일: SWB전 <RP> (AAA) (홈)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5 2 7 0 3 2 2 81
뉴욕 양키스 산하 마이너 리그 팀 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일라이더스와의 경기에서 2회에 아웃카운트를 하나도 잡지 못한 채 주자 두 명을 남기고 강판된 선발 블라디미르 구티에레스의 뒤를 이어 롱릴리프로 등판, 승계주자 분식을 시작으로 7개의 피안타와 3개의 사사구를 허용하는 등 타격전 양상 속에서 경기를 어렵게 풀어나갔고 교체되기까지 5이닝 2K 2실점의 개인 성적을 기록했다.

3.2.6. 5월 22일: NOR전 (AAA) (홈) [ND]

파일:uwasawa_may_22_2024.jpg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3 3 4 0 3 4 4 71
볼티모어 오리올스 산하 마이너 리그 팀 노폭 타이즈와의 경기에 선발로 출장했으나 볼넷을 남발하는 등 좋지 못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4실점을 허용했고 간신히 3이닝만을 소화한 채 패전 위기 상황 속에서 교체되었다. 그나마 타선이 짜낸 동점 덕에 위기에서 겨우 탈출.

3.2.7. 5월 28일: CLT전 (AAA) (원정) [패배]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4⅓ 4 5 2 2 5 5 83
시카고 화이트삭스 산하 마이너 리그 팀 샬럿 나이츠와의 원정 경기에 선발로 출장했으며 이번 경기에서도 피홈런을 2개 적립하는 형편없는 투구 내용을 보여주었다. 결국 최종 4⅓이닝 5K 5실점으로 5회를 다 못 채우고 중도 강판되었으며 경기 또한 역전 없이 종료되어 마이너 리그 시즌 2패째를 떠안고 5월 등판 일정을 마무리지었다.

아주 잠깐 동안의 메이저 리그 승격 시기를 제외하고 주로 마이너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보내는 동안 기록한 첫 두 달간의 개인 성적은 총 7경기에 출장해 31⅓이닝 2승 2패 28K ERA 6.32다. 이는 타고투저 성향이 짙은 AAA의 환경을 감안해도 결코 좋다고 볼 수 없는 성적표이며 메이저 리그 재승격을 노리는 입장에서는 명백한 악재로 이제는 선수 개인의 분발 뿐만 아니라 별도의 기적적인 각성까지 따라주어야 할 상황. 만약 이러한 부진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그때부터는 승격이 문제가 아니라 마이너 리그 로스터에서의 생존도 장담하지 못하는 위기 상황에 몰릴 수 있기에 향후 경기들에 필사적인 자세로 임해야 할 것이다.

3.3. 6월

3.3.1. 6월 2일: CLT전 <RP> (AAA) (원정) [ND]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ND 3 3 0 0 3 0 0 48
바로 직전 경기에서 패전을 기록했던 시카고 화이트삭스 산하 마이너 리그 팀 샬럿 나이츠를 상대로 당일 선발로 등판하여 3이닝을 소화하고 내려간 저스틴 헤이건맨의 뒤를 이은 롱릴리프로 등판, 지난 패배를 설욕할 기회가 주어졌다. 비록 3K 무피안타 3사사구(2볼넷 1사구)의 묘한 투구 내용을 보여주었지만 교체되기까지 3이닝 동안 무실점을 달성하여 그럭저럭 무난한 성과를 보여준 경기가 되었다.

3.3.2. 6월 6일: ROC전 <RP> (AAA) (홈) [승리]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3 1 4 0 2 1 1 52
워싱턴 내셔널스 산하 마이너 리그 팀 로체스터 레드윙스[4]와의 홈 경기에서 당일 선발로 등판해 4이닝 3K 3실점을 기록하고 내려간 잭 펜로드의 뒤를 이어 2경기 연속 롱릴리프로 투입되었다. 등판 결과 3이닝 1K 1실점을 기록하고 교체되었으며 팀의 대량득점에 힘입어 오래간만에 승리를 따내 마이너 시즌 3승째를 달성했다.

3.3.3. 6월 12일: BUF전 <RP> (AAA) (원정) [패배]

<rowcolor=#FFF>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투구수
0⅓ 1 1 0 4 3 3 27
한 달만에 다시 성사된 토론토 블루제이스 산하 마이너 리그 팀 버팔로 바이슨스와의 원정 경기로 6회까지 2-2 동점으로 팽팽하게 맞붙던 상황에서 중간 계투로 7회에 등판했다. 그러나 첫 두 타석에서 전혀 제구가 되지 않는 투구로 8연속 볼을 던지며 두 타자를 연달아 볼넷으로 출루시켰고 다음 타자를 삼구 삼진으로 돌려세우기는 했으나 네 번째 타석에서도 볼넷을 허용하며 1사 만루 위기 상황을 스스로 초래했다. 그리고 이어진 다섯 번째 타석에서마저 또 볼넷을 내주며 밀어내기로 실점을 허용했고 그 다음 타석에서 주자 두 명을 홈으로 불러들이는 안타를 맞아 3실점째를 추가로 허용, 한 이닝동안 타자 한 명만을 겨우 잡아낸 채 경기를 말아먹는 답없는 모습을 보여주며 마운드에서 강판되었다. 결국 역전없이 경기가 끝나며 패배의 원흉이 되었고 마이너 시즌 3패째를 기록했다.

6월에 들어서고 이날 경기까지 포함 3경기 연속으로 선발이 아닌 불펜으로 경기에 투입되어 등판하고 있는데 이 불펜에서조차 갈수록 경쟁력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에 선수의 앞날에 점점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3.4. 7월

3.5. 8월

3.6. 9월

4. 정규시즌 성적

4.1. MLB

<rowcolor=#FFFFFF> 일자 상대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5/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ND 2 1 0 0 0 0 0
5/3 미네소타 트윈스 ND 2 2 2 0 2 1 1
5월 전체 - 2G 4이닝 0승 0패 ERA 2.25 3K WHIP 1.00
시즌 전체 - 2G 4이닝 0승 0패 ERA 2.25 3K WHIP 1.00

4.2. MiLB

<rowcolor=#FFFFFF> 일자 상대 승/패 이닝 탈삼진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실점 자책점
4/10 시라큐스 메츠 5 5 4 1 1 3 3
4/16 더럼 불스 5 5 6 1 4 4 4
4/21 더럼 불스 5 7 5 0 1 1 1
4월 전체 - 3G 15이닝 2승 1패 ERA 4.80 17K WHIP 1.27
5/10 버팔로 바이슨스 ND 4 2 5 1 1 3 3
5/16 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일라이더스
ND 5 2 7 0 3 2 2
5/22 노폭 타이즈 ND 3 3 4 0 3 4 4
5/28 샬럿 나이츠 4⅓ 4 5 2 2 5 5
5월 전체 - 4G 16⅓이닝 0승 1패 ERA 7.71 11K WHIP 1.84
6/2 샬럿 나이츠 ND 3 3 0 0 3 0 0
6/6 로체스터 레드윙스 3 1 4 0 2 1 1
6/12 버팔로 바이슨스 0⅓ 1 1 0 4 3 3
6월 전체 - 3G 6⅓이닝 1승 1패 ERA 5.68 5K WHIP 2.05
시즌 전체 - 10G 37⅔이닝 3승 3패 ERA 6.21 33K WHIP 1.65

5. 시즌 총평

6. 관련 문서



[1] 3명의 선수(셰인 맥클래너핸, 드루 래스머센, 제프리 스프링스)가 60일 부상자 명단 등재 예정이다.[2] 또한, 레이스가 완더 프랑코를 출전 제한 명단에 등재하면 네 자리까지 생길 수 있다.[3] 외야수 제이크 맹엄, 구원투수 조 레코드와 버치 스미스 그리고 포수 롭 브랜틀리프란시스코 메히아[4] 과거 박병호가 미국 진출 후 2년간 몸담았던 그 팀이다. 미네소타와의 계약은 2020년을 끝으로 종료되었고 2021년부터는 워싱턴을 새로운 파트너로 삼아 동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