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7 10:15:52

우리정의당

(창당) 정의평화당
(당명 변경)

(당명 변경)
우리정의당 (해산)
<nopad> 파일:우리정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우리정의당 로고.png
신문지상 광고 및 정당 홍포 포스터에 활용된 로고
정의평화당 / 우리정의당 (1988)
<colcolor=#5870c0> 한문 명칭 <colbgcolor=#fff,#010101>正義平和黨 (정의평화당)
우리正義党 (우리정의당)
등록번호 제49호
등록일 1988년 3월 11일 (정의평화당)
당명 변경 1988년 3월 31일 (우리정의당)
해산일 1988년 4월 29일 (등록취소)
대표 김상철
국회의원
0석 / 270석 (0%)
당 색
군청색 (#5870c0)
스펙트럼 중도 ~ 중도우파
당원 수 3,894명
1. 개요2. 창당 과정3. 역사4. 역대 지도부5. 선거 결과6. 기타7. 둘러보기

1. 개요

우리정의당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 후보자를 냈던 군소 정당이다. 언론에서 사용한 약칭은 정의당이다.[1] 창당한 김상철의 이념적 성격이나, 신보수주의 이념을 내세운다는 언론 보도[2]로 보아 보수 정당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

2. 창당 과정

김상철[3] 당시 변호사가 '정의평화당'이라는 이름으로 1987년 12월 신당 창당을 선언하였고, 12월 29일 창당추진위원회를 발족하였다.# # 1988년 1월 16일 중앙당창당준비위원회가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되었다.

그렇게 정의평화당 당명으로 1988년 2월 15일 창당대회를 열었다. # 당대표를 중앙평의회 의장이라고 부르는 것이 특색이다.

창당 후 1988년 3월 31일 개칭하였다. # 총선을 20여일 앞두고 급히 당명을 개정한 것.

3. 역사

문 좀 열어주세요 - 맑은 샘물을 떠왔읍니다.
제13대 총선 당시 슬로건[4]
1988년에 치러진 13대 총선에 김상철, 백철 등의 후보자를 공천했으나 모두 낙선하였다. 당시 공보물상 탁한 파란색을 당색으로 사용하였다. 당내 포스터와 로고는 MBC 보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으나 해상도가 무척 낮다.

한편 당시 혁신세력이 참가한 한겨레민주당 측에서는 정의당(당시 명칭 정의평화당) 창당준비위원 33명 중에 절반이 우리 쪽으로 넘어올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 혁신을 표방하는 군소정당끼리 경쟁 관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결국 당선자를 못 내 1988년 4월 28일 등록취소되었다.[5]

4. 역대 지도부

  • 대표 김상철(1988년 3월 11일~1988년 4월 29일)

5. 선거 결과

연도 선거명 지역구 전국구 총 의석
1988 13대 0 / 224 (0%) 0 / 75 (0.1%) 0 / 299 (0%)

6. 기타

  • 15~17, 19대 국회의원을 지냈던 신기남새정치국민회의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하기 이전에 이 정당에 참여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자와 직업이 같은 인물이 창당발기인 명단에 있는데, 법조인대관에서 일치하는 인물은 국회의원 신기남 뿐이다.

7.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제5공화국 ~ 문민정부
(1981 ~ 1998)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제5공화국 이전
민주정의당 한국국민당
신민주공화당 정당등록취소 통일민주당*
민주자유당 민주당에서 분당
민주자유당 통일국민당 신정치개혁당
민주자유당 새한국당 신정치개혁당
신민당
민주당에 합당 신민당
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민주당※ 신한국당 자유민주연합
신한국당 국민신당
한나라당
* 3당 합당으로 보수정당에 합류
한나라당 창당으로 보수정당에 합류
문민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제1공-노태우) 진보정당(문민-이명박) 민주당계
}}}}}}}}} ||

[1] 정의평화당 시절부터 쭉 그래왔다. 존속 기간이 2개월도 안되지만 말이다. 이후의 정의당이 진보정당인 것을 생각하면 참 아이러니.[2] #[3] 훗날 문민정부 출범 직후 서울시장에 임명되었으나 7일 만에 사퇴한 바로 그 사람이다.[4] 김상철 후보자의 벽보 및 아래의 MBC 보도 영상에서 확인 가능하다.[5] 2014년 헌법재판소에서 총선 득표율 미만 정당 해산에 관한 규정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다.[6] 약칭을 '우리당'으로 썼던 열린우리당도 연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