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14:10:25

우간다 민족해방전선

우간다 민족해방전선
Uganda National Liberation Front
<colbgcolor=#da251d><colcolor=#fff> 본부 탄자니아 킬리만자로주 모시
목적 이디 아민의 축출
결성 1979년 3월 26일
이념 반(反) 이디 아민
주요
인물
밀턴 오보테
요웨리 무세베니
참전 우간다-탄자니아 전쟁
우간다 내전
관계
동맹 국가 및 세력 적대 국가 및 세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탄자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탄자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탄자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케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케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케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잠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잠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잠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우간다 국기.svg 이디 아민 치하 우간다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타

1. 개요2. 결성3. 운영

1. 개요

이디 아민의 축출을 목표로 창설된 단체. 우간다에서 추방된 인사들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우간다 민족해방군(Uganda National Liberation Army, UNLA)을 통해 우간다-탄자니아 전쟁, 우간다 내전 등에 참여했다.

2. 결성

1979년 3월 24일부터 26일까지 탄자니아 킬리만자로주 모시에서 28개의 반 이디 아민 단체가 모여 회의한 끝에 결성되었다.
밀턴 오보테 대통령이 이끌었던 우간다 인민회의, 키코시 말룸[1]가 중심이 되었으며, 그 외에도 요웨리 무세베니의 FRONASA, 아케나 포조크의 SUM 등이 있었다.

3. 운영

유수프 룰레를 의장으로 하는 11인 회의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28개의 단체의 대표자가 참여한 NCC라는 회의도 있었다.
우간다-탄자니아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1979년 4월 11일 이디 아민의 축출에 성공하였다.
뒤이어 새로운 우간다 정부가 수립되자 유수프 룰레가 대통령으로 추대되었다. 하지만 내부 알력 다툼으로 같은 해 6월 룰레는 물러났고, 고드프리 비나이사는 12개월 간 재임하였으나 잦은 실정으로 파울로 무왕가에 의해 축출되었다.
결국 우간다 정부의 결속을 위해 밀턴 오보테가 단일 후보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민족해방전선의 반-이디아민 전쟁은 끝을 내리게 되었다.

이후 우간다 민족해방전선의 각 단체들은 오보테의 우간다 인민회의를 견제하는데 더욱 주력했고 훗날 요웨리 무세베니의 쿠데타로 완전히 막을 내린다.
[1] 직역하면 특수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