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16:37:00

용군단의 전령 나랄렉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원작의 나랄렉스}}}에 대한 내용은 [[나랄렉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나랄렉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나랄렉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불모의 땅 중립 전설}}}에 대한 내용은 [[대드루이드 나랄렉스]]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대드루이드 나랄렉스#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대드루이드 나랄렉스#|]]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원작의 나랄렉스: }}}[[나랄렉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나랄렉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나랄렉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불모의 땅 중립 전설: }}}[[대드루이드 나랄렉스]]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대드루이드 나랄렉스#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대드루이드 나랄렉스#|]]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상세3. 평가
3.1. 출시 전3.2. 출시 후
4. 기타5. 둘러보기 틀


1. 개요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중립=, 전설=, 하수인=, 확장팩=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한글명=용군단의 전령 나랄렉스, 일러명=용군단의 전령 나랄렉스(한글판), 영문명=Naralex\, Herald of the Flights,
비용=7, 공격력=7, 생명력=7,
효과=내 용족들의 비용이 (1)이 됩니다.,
플레이버한=낮잠 시간은 공식적으로 끝이 났다!,
플레이버영=Naptime is officially OVER!,
황금획득=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선술집 패스 구매 후 보상의 길 55 레벨 달성,
황금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webms/EDR_844.webm,
간판=,
간판획득=상점에서 산수화 간판 나랄렉스 묶음 상품을 구매,
간판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sig_webms/EDR_844.webm,
다이아=,
다이아획득=상점에서 다이아몬드 나랄렉스 묶음 상품을 구매 (상세 내역 후술),
다이아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dia_webms/EDR_844.webm)]
소환: 쏜살같이 날아가라! (Go forth on swift wings!)
공격: 자연을 위해 싸워라! (Fight for the wilds!)

2. 상세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의 중립 전설 카드. 불모의 땅을 되살리기 위해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들어갔으나 에메랄드의 악몽에 휩싸여 잠들어버린 나랄렉스다. 대드루이드 나랄렉스 이후 2번째 출연으로, 대드루이드 나랄렉스가 통곡의 동굴의 스토리를 반영했다면 이 카드는 용군단 이후의 모습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내 용족들의 비용을 (1)로 만드는, 칼지느러미의 용족 버전 효과를 지니고 나왔다. 하지만 1코가 되어봤자 원래부터 코스트나 스탯치가 높지 않고, 몇 장만으로는 변수 창출이 어려웠던 멀록과 다르게, 용족들은 코스트, 스탯, 밸류가 높은 카드가 많기 때문에 꽤나 파격적인 효과이다. 당장 에메랄드의 위상 이세라를 내고 가시살이 비룡 2장과, 시간조율자 자리미를 내기만 해도 최대 83 데미지를 상대 영웅에게 입힐 수 있다.[1] 고작 8코스트 콤보 치고는 굉장히 큰 기대값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용군단의 전령 나랄렉스 카드는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고,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확장팩 보상의 길 기간 동안 레벨 20을 달성하면 해금된다.

이번 확장팩에 등장한 녹색용군단 전설 카드들인 메리스라에메랄드의 위상 이세라와 잘 어울린다. 이세라와 함께 큰 용족들을 여럿 낼 수도, 메리스라로 소환한 큰 용족들을 부활시킬 수도 있다.

3. 평가

3.1. 출시 전

용족 덱, 그중에도 빅덱에서 쓰일 만한 카드. 모든 직업이 8턴에 이 카드를 먼저 내고, 에메랄드의 위상 이세라를 내서, 전투의 함성으로 마나 수정을 3개나 얻고 용족을 3장 더 내거나, 3마나 이하의 카드를 쓰는 콤보가 가능하다.

드루이드와 전사의 경우 새로운 경지가 존재하기에 더 이른 타이밍에 콤보를 사용할 수 있고, 주술사는 울림블록시니가 여전히 정규에 남아있고 빅술사 지원 카드인 메리스라온아라가 출시되기 때문에 6턴 블록시니 & 7턴 울림&이세라로 마나를 펌핑하면서 이 카드로 거대한 웨이브를 만들고, 이후에 메리스라로 다시 웨이브를 만드는 통곡의 벽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사제의 경우 1코스트로 시간 조율자 자리미를 냄으로써 앞서 낸 용들과 나랄렉스에게 모조리 돌진을 부여할 수 있는 막강한 시너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3.2. 출시 후

확장팩 출시 초기에는 자리미 사제가 잘 정제되지 않아 잘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 후에 출시 전 예상처럼 자리미 사제에서 필수로 기용되고 있다. 자리가 없더라도 7~8턴[2]에 가시살이 비룡 둘과 함께 깔리는 것만 해도 충분히 위협적이며, 시간 조율자 자리미 스택이 다 찼다면 사실상 OTK가 된다.

4. 기타

이 카드의 다이아몬드 묶음을 구매하는 방법이 굉장히 복잡했는데, 상점에서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대형 묶음 상품 예약 구매(8,000 룬석)와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묶음 상품 예약 구매(5,000 룬석)를 전부 구입한 다음 다음 날 상점에 들어가야만 다이아몬드 나랄렉스 묶음 상품(5,000 룬석)이 등장하는 구조였다. 즉 이론 상 다이아 카드를 얻기 위한 룬석이 무려 18,000이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마자 갈수록 진화하는 블리자드의 상술에 유저들이 혀를 내둘렀다.

5. 둘러보기 틀

파일:꿈속워터마크.png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중립 카드
파일:하스스톤_일반.png
파일:하스스톤_희귀.png
파일:하스스톤_특급.png
파일:하스스톤_전설.png
직업 카드 / 전체 카드일람

[1] 자리미를 낸 턴에 1체력 하수인 2기를 비룡으로 잡고 11데미지 x2 + 추가 턴에 하수인들로 적 영웅 공격(나랄렉스 7+이세라 4+비룡 12x2+자리미 4) + 턴 종료 시에 비룡의 효과로 11데미지 x2. 특히 연마 법사와의 매치업이라면 상대가 1/1짜리 위습을 깔아대기 때문에 이런 최대 기대값이 아예 허황된 얘기는 아니다.[2] 에메랄드의 위상 이세라로 7턴 동전/8턴에 3펌핑을 하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