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09:08:04

와그네리안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 2021년 JRA가 일본의 경마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2001년 ~ 2020년에 활약한 '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100두'를 선정
1위
딥 임팩트
2위
아몬드 아이
3위
오르페브르
4위
키타산 블랙
5위
보드카
6위
콘트레일
7위
골드 쉽
8위
티엠 오페라 오
9위
젠틸돈나
10위
로드 카날로아
11위
킹 카메하메하
12위
다이와 스칼렛
13위
오쥬 쵸산
14위
쿠로후네
15위
부에나 비스타
16위
데어링 택트
17위
리스 그라슈
18위
소다시
19위
키즈나
20위
세자리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21~100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1위
하츠 크라이
22위
심볼리 크리스 에스
23위
럭키 라일락
24위
크로노 제네시스
25위
모리스
26위
그란 알레그리아
27위
아그네스 타키온
28위
저스터웨이
29위
빅투아르 피사
30위
키세키
31위
두라멘테
32위
아그네스 디지털
33위
아파파네
34위
사토노 다이아몬드
35위
스테이 골드
36위
다이와 메이저
37위
정글 포켓
38위
에피파네이아
39위
피에르망
40위
드림 저니
41위
맨해튼 카페
42위
사투르날리아
43위
메이쇼 삼손
44위
월드 프리미어
45위
카네 히키리
46위
와그네리안
47위
나카야마 페스타
48위
네오 유니버스
49위
스윕 토쇼
50위
에이신 플래시
51위
어드마이어 그루브
52위
젠노 롭 로이
53위
히시 미라클
54위
탭 댄스 시티
55위
마카히키
56위
듀랜달
57위
레이 데 오로
58위
타니노 김렛
59위
버밀리언
60위
하프 스타
61위
아에롤리트
62위
마츠리다 고흐
63위
홋코 타루마에
64위
논코노 유메
65위
페노메노
66위
파인 모션
67위
인디 챔프
68위
메이쇼 도토
69위
렛츠 고 돈키
70위
카렌짱
71위
살리오스
72위
원 앤 온리
73위
마리알라이트
74위
컴퍼니
75위
놈코어
76위
레인보우 라인
77위
스틸 인 러브
78위
다논 더 키드
79위
러브즈 온리 유
80위
디어드러
81위
코파노 리키
82위
블래스트 원피스
공동 83위
로고타입 · 스와브 리처드
공동 85위
어드마이어 문
공동 85위
어드마이어 마스
87위
골드 알뤼르
88위
미키 퀸
89위
업 투 데이트
90위
러블리 데이
91위
에포카 도로
92위
스노우 드래곤
93위
알 아인
94위
스크린 히어로
95위
윈 브라이트
96위
이슬라 보니타
97위
모즈 애스콧
98위
야마닌 슈크르
공동 99위
에스포와르 시티 · 다논 프리미엄
}}}}}}}}}
설명 및 분류 · 드림 호스 2000 }}}}}}}}}

파일:Wagnerian_Horse.jpg
이름 ワグネリアン
Wagnerian
출생 2015년 2월 10일
죽음 2022년 1월 5일 (7세)
성별 수컷
털색 갈색 (鹿毛, 카게)
아비 딥 임팩트
어미 미스 앙코르(ミスアンコール)
외조부 킹 카메하메하
생산자 노던 팜
마주 카네코 마코토 홀딩스
조교사 토모미치 야스오 (릿토)
성적 17전 5승 (5-1-2-9)
총상금 5억 1243만 7000엔
주요
우승
G1 일본 더비(2018)
G2 고베신문배(2018)
G3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2017)
레이팅 WBRR L119 (2018)
상세 정보 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2. 혈통3. 생애
3.1. 2세(2017년)3.2. 3세(2018년)3.3. 4세~7세 (2019년~2022년)
4. 여담5. 경주 성적

[clearfix]

1. 개요

일본의 경주마, 후쿠나가 유이치의 기수 생활 20년만에 첫 더비 우승을 달성하게 해준 말이다. 마주는 아비 딥 임팩트의 마주로 알려져있는 카네코 마코토 홀딩스. 마명의 유래는 리하르트 바그너의 극성 팬을 뜻하는 바그네리안.

2. 혈통

1대 2대 3대
<colbgcolor=#fff3e4,#331c00>딥 임팩트
ディープインパクト
2002
<colbgcolor=#ffffe4,#323300>선데이 사일런스
Sunday Silence
1986
파일:미국 국기.svg
헤일로
Halo
위싱 웰
Wishing Well
윈드 인 허 헤어
Wind in Her Hair
199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알자오
Alzao
버클리어
Burghclere
미스 앙코르
ミスアンコール
2006
킹 카메하메하
キングカメハメハ
2001
킹맘보
Kingmambo
맨패스
Manfath
브로드 어필
ブロードアピール
1994
파일:미국 국기.svg
브로드 러시
Broad Brush
밸리드 얼루어
Valid Allure
* -
일본에선 정말 흔하게 볼 수 있는 아비 딥 임팩트와 모부 킹 카메하메하의 조합이다. 특이한 사항이라면 외조모가 2000년 네기시 스테이크스에서 어마어마한 추입으로 1착했던 것으로 유명한 더트마 브로드 어필.

3. 생애

3.1. 2세(2017년)

7월 16일 주쿄 경마장에서 신마전을 통과했는데, 마지막 3펄롱을 32.6초라는 엄청난 타임으로 통과했다[1]. 이후 오픈전인 노지기쿠 스테이크스도 2마신 반 차이로 압승. 도쿄 스포츠 컵 2세 스테이크스에서도 3마신 차로 우승하며 2018년 클래식 최유력마로 자리잡았으나, 이미 능력은 충분히 입증했다는 판단으로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2]나 이해 G1으로 승격한 호프풀 스테이크스는 출전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방목에 들어간다.

3.2. 3세(2018년)

3전 3승으로 2세 시즌을 마친 와그네리안은 다음 목표를 클래식으로 두고, 사츠키상의 트라이얼 경주인 야요이상에 출주등록을 한다. 한편 최우수 2세마이자 역시나 3전 3승의 다논 프리미엄 역시 야요이상에 등록, 무패의 클래식 후보 둘이 야요이상에서 대결하게 된다. 야요이상에서 33.7초라는 우수한 라스트 3펄롱 기록을 보여주었으나, 아깝게도 다논 프리미엄에게 패배. 2착에 그친다.

사츠키상에서는 무려 3두나 대도주를 하는 하이페이스에서 페이스 배분에 실패. 선행조를 따라잡는데 실패하고 7착으로 대패하고 만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2018년 JRA GI/JpnI 대회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 논코노 유메 파인 니들 스와브 리처드 아몬드 아이 오쥬 쵸산 에포카 도로 레인보우 라인 케이아이 노티크 주르 폴레르 아몬드 아이 와그네리안 모즈 애스콧 미키 로켓 파인 니들 아몬드 아이 피에르망 레이 데 오로 그레이스풀 립 케이티 브레이브 앙주 데지르 리스 그라슈 스텔비오 아몬드 아이 르 방 스 레브 다논 판타지 어드마이어 마스 니혼 필로 바론 블래스트 원피스 사투르날리아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경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일명 '헤이세이 마지막 더비'로 치러진 5월 27일 일본 더비에서는 사츠키상에서의 참패와 17번이라는 외곽 게이트를 받은 탓으로 단승 12.5배의 5번 인기였다. 1번 인기는 사츠키상을 회피한 무패의 다논 프리미엄이었고, 2번 인기는 마이니치배를 승리하고 올라온 블래스트 원피스, 사츠키상마 에포카도로는 4번 인기였다.

게이트가 열리고, 와그네리안은 지금껏 고수했던 후방 대기가 아닌 선행책으로 작전을 바꿔 진행한다. 앞에 말이 없으면 불안해하는 와그네리안에게 선행책은 리스크가 있는 전법이었고 실제로 2코너 까지는 흥분한 기색을 보이기도 했으나, 후쿠나가가 침착하게 코즈믹 포스를 앞으로 보내주고 와그네리안을 코즈믹 포스 뒤로 붙여 안정을 찾을 수 있었다. 에포카도로가 선두를 잡은 전반 1000미터는 60.8초의 슬로우 페이스. 와그네리안은 최종 코너에서 코즈믹 포스의 배후에서 이탈하며 외곽으로 빠져나왔고, 선두의 에포카도로를 마킹하면서 똑같이 외곽으로 빠져나오던 블래스트 원피스의 진로를 봉쇄하며 에포카도로를 추격하기 시작했다.

최종 200미터에서 힘이 다한 코즈믹 포스는 탈락하고 마지막 100미터를 남긴 상황에서 도망치는 에포카도로와 따라붙는 와그네리안의 1대 1 대결이 되었는데, 최종 50미터를 채 남기지 않은 지점에서 끝내 에포카도로를 따라잡는데 성공한 와그네리안은 반 마신 차로 1착. 일본 더비를 우승했다. 기수 후쿠나가 유이치는 19번의 도전 끝에 드디어 더비 재패. 토모미치 야스오 조교사는 2016년의 마카히키 이후 2번째로 더비마를 배출했고, 마주 카네코 마코토는 더비 4승째로 개인 마주 최고 기록을 자체 갱신했다. 또한 생산농장인 노던팜은 9번째 더비 승리와 더비 4연승이라는 쾌거를 이루게 되었다.

주쿄 경마장에서 데뷔한 말이 더비 우승을 하는 것은 1992년 미호노 부르봉에 이어 27년 만이었다.

이후 고베 신문배에 출전하지만 주전 기수인 후쿠나가 유이치가 낙마 후 말에 걷어차여 두개골 골절이라는 중상을 입는 바람에 조교기승을 해주던 후지오카 코타 기수가 대타로 기승, 에타리오와의 3차전에서 다시 승리. 중상 3승을 기록하게 된다.

이후 킷카상은 패스하고 천황상(가을)에 출전할 계획이었지만 말의 피로가 풀리지 않아 계획을 백지화. 연내 휴식으로 가닥을 잡고 방목에 들어가게 된다.

3.3. 4세~7세 (2019년~2022년)

이후 와그네리안은 오사카배를 시작으로 무려 10연패를 쌓으며, 다시는 1착을 하지 못했다. 그나마도 2019년에는 게시판 안쪽으로는 들어왔으나 이후로는 게시판 밖으로 나가는 일이 더 많아졌고, 2021년 11월 재팬 컵에서는 18착 꼴지를 하게 된다.

재팬컵 직후 간 질환 판정을 받고 릿토 트레이닝 센터 경주마 진료소에 입원한다. 일시 호전되어 다시 방목을 하나 했지만 연말에 다시 증상이 악화되며 재입원, 해를 넘기고 얼마 되지 않은 2022년 1월 5일, 원인 불명인 채로 사망했다.

사망 후 부검으로 담석증[3]에 의한 다발성 장기부전임이 밝혀졌는데, JRA 등록마가 담석증으로 죽은 것은 와그네리안이 최초였다.

클래식, 그것도 일본 더비 우승마가 은퇴하지 못하고 죽은 것은 그레이드제 시행 이후 최초였고,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도 1965년 키스톤[4] 이후 무려 57년만에 일어난 비극이었다.

4. 여담

  • 일본 더비 당시, 상처가 많은 안쪽의 잔디를 울타리 밖으로 빼낸[5]지 2일밖에 안 되는 상황이라, 인코스가 극도로 유리할 거라 생각한 기수 후쿠나가는 안쪽 게이트에 추첨될거라고 멋대로 망상한 뒤 이미지 트레이닝을 하고 있었는데, 역으로 최외곽에 당첨되고 최유력마인 다논 프리미엄이 1번에 당첨되면서 크게 낙담했다고 한다.
  • 핑크색 8번 프레임 더비마는 2001년 정글 포켓 이래 17년만, 17번 마번의 우승은 1994년 나리타 브라이언 이후 24년만이었다.

5. 경주 성적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68300><rowbgcolor=#268300><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fff><width=3%> 경주일 || 경마장 ||
경기명
||<width=3%> 등급 ||
트랙
||<width=3%> 배당 ||<width=3%>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
(2착마) ||
<rowcolor=#ffffff> 2017년 (2세)
7.16 주쿄 2세 신마 잔디 2000m 4.0 1 1착 후쿠나가 유이치 (헨리 바로즈)
9.16 한신 노지기쿠 스테이크스 OP 잔디 1800m 1.9 1 1착 (델로스)
11.18 도쿄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 GIII 잔디 1800m 1.4 1 1착 (루카스)
<rowcolor=#ffffff> 2018년 (3세)
3.4 나카야마 야요이상 GII 잔디 2000m 3.6 2 2착 후쿠나가 유이치 다논 프리미엄
4.15 나카야마 사츠키상 GI 잔디 2000m 3.5 1 7착 에포카 도로
5.27 도쿄 도쿄 우준 (일본 더비) GI 잔디 2400m 12.5 5 1착 (에포카 도로)
9.23 한신 고베신문배 GII 잔디 2400m 2.7 2 1착 후지오카 코타 (에타리오)
<rowcolor=#ffffff> 2019년 (4세)
3.31 교토 오사카배 GI 잔디 2000m 8.2 4 3착 후쿠나가 유이치 알 아인
8.18 삿포로 삿포로 기념 GII 잔디 2000m 3.7 2 4착 블래스트 원피스
10.27 도쿄 천황상(가을) GI 잔디 2000m 18.7 4 5착 아몬드 아이
11.24 도쿄 재팬 컵 GI 잔디 2000m 4.3 2 3착 카와다 유가 스와브 리처드
<rowcolor=#ffffff> 2020년 (5세)
4.5 한신 오사카배 GI 잔디 2000m 5.2 5 5착 후쿠나가 유이치 럭키 라일락
6.28 한신 타카라즈카 기념 GI 잔디 2200m 19.8 7 13착 크로노 제네시스
<rowcolor=#ffffff> 2021년 (6세)
2.14 한신 교토 기념 GII 잔디 2200m 6.4 2 5착 타케 유타카 러브즈 온리 유
4.4 한신 오사카배 GI 잔디 2000m 49.8 5 12착 요시다 하야토 (레이 파팔레)
10.23 도쿄 후지 스테이크스 GII 잔디 1600m 9.4 4 6착 후쿠나가 유이치 송라인
11.28 도쿄 재팬 컵 GI 잔디 2400m 94.6 13 18착 토사키 케이타 콘트레일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도쿄 우준|도쿄 우준 (일본 더비)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GI"]]'''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
1932
와카타카
1933
카부토야마
1934
프레이 모어
1935
거버너
1936
토쿠마사
1937
히사토모암컷
1938
스게누마
1939
쿠모하타
1940
이에류
1941
세인트 라이트
1942
미나미 호마레
1943
쿠리후지암컷
1944
카이소 ~~
1945 · 1946
없음~~
1947
마츠 미도리
1948
미하루 오
1949
타치카제
1950
쿠모노 하나
1951
토키노 미노루
1952
쿠리노 하나
1953
보스터니안
1954
골든 웨이브
1955
오토키츠
1956
하쿠치카라
1957
히카루 메이지
1958
다이고 호마레
1959
코마츠 히카리
1960
코다마
1961
하쿠쇼
1962
페어 윈
1963
메이즈이
1964
신잔
1965
키스톤
1966
테이토 오
1967
아사 덴코
1968
타니노 해로모어
1969
다이신 볼가드
1970
타니노 무티에
1971
히카루 이마이
1972
롱 에이스
1973
타케 호프
1974
커널 랜서
1975
카부라야 오
1976
클라임 카이저
1977
럭키 룰러
1978
사쿠라 쇼리
1979
카츠라노 하이세이코
1980
오펙 호스
1981
카츠 탑 에이스
1982
뱀부 아틀라스
1983
미스터 시비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 지정 후
1984
심볼리 루돌프
1985
시리우스 심볼리
1986
다이나 걸리버
1987
메리 나이스
1988
사쿠라 치요노 오
1989
위너즈 서클
1990
아이네스 후진
1991
토카이 테이오
1992
미호노 부르봉
1993
위닝 티켓
1994
나리타 브라이언
1995
타야스 츠요시
1996
후사이치 콩코르드
1997
서니 브라이언
1998
스페셜 위크
1999
어드마이어 베가
2000
아그네스 플라이트
2001
정글 포켓
2002
타니노 김렛
2003
네오 유니버스
2004
킹 카메하메하
2005
딥 임팩트
2006
메이쇼 삼손
2007
보드카암컷
2008
딥 스카이
2009
로지 유니버스
국제 GI 지정 후
2010
에이신 플래시
2011
오르페브르
2012
딥 브릴란테
2013
키즈나
2014
원 앤 온리
2015
두라멘테
2016
마카히키
2017
레이 데 오로
2018
와그네리안
2019
로저 바로즈
2020
콘트레일
2021
샤흐리야르
2022
두 듀스
2023
타스티에라
2024
다논 데사일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고베신문배|고베신문배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GII"]]'''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
1953
와카쿠사
1954
다이나나 호슈
1955
켄슌
1956
토사 모어
1957
미스 온워드
1958
타카하루
1959
하츠라이
1960
퀸 온워드
1961
스기히메
1962
류 포렐
1963
코라이 오
1964
온워드 세컨드
1965
다이 코터
1966
하드 잇
1967
후지 에이스
1968
다이이치 오
1969
우추 오
1970
뉴 페가수스
1971
니혼 필로 무티에
1972
타이 템
1973
호슈 리치
1974
키타노 카치도키
1975
토후쿠 호프
1976
토쇼 보이
1977
아이노 크레스핀
1978
뱀브턴 코트
1979
네하이 제트
1980
노스 거스트
1981
아그네스 테스코
1982
하기노 카무이 오
1983
스즈카 코반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1984
다이젠 실버
1985
스피드 히어로
1986
타케노 코마요시
중앙 GII 승격 후
1987
맥스 뷰티
1988
야에노 다이아
1989
오사이치 조지
1990
센터 쇼카츠
1991
롱 타이틀
1992
쿄에이 보우건
1993
비와 하야히데
1994
스타 맨
1995
타니노 크리에이트
1996
시로키타 크로스
1997
마치카네 후쿠키타루
1998
카네토시 거버너
1999
오스미 브라이트
2000
후사이치 소닉
2001
에어 에미넴
2002
심볼리 크리스 에스
2003
젠노 롭 로이
2004
킹 카메하메하
2005
딥 임팩트
2006
드림 패스포트
2007
드림 저니
2008
딥 스카이
2009
이 코 피코
국제 GII 지정 후
2010
로즈 킹덤
2011
오르페브르
2012
골드 쉽
2013
에피파네이아
2014
원 앤 온리
2015
리어 팔
2016
사토노 다이아몬드
2017
레이 데 오로
2018
와그네리안
2019
사투르날리아
2020
콘트레일
2021
스텔라 벨로체
2022
저스틴 팰리스
2023
사토노 글란츠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도쿄스포츠배 2세 스테이크스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GIII"]]'''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
중상 승격, 중앙 GIII 지정 후
1996
갓스피드
1997
킹 헤일로
1998
어드마이어 코진
1999
조텐 브레이브
2000
타가노 테이오
2001
어드마이어 맥스
2002
블루 일레븐
2003
어드마이어 빅
2004
스무스 바리톤
2005
후사이치 리샤르
2006
후사이치 호오
2007
후사이치 어설트
2008
나카야마 페스타
2009
로즈 킹덤
국제 GIII 지정 후
2010
사다무 파텍
2011
딥 브릴란테
2012
코디노
2013
이슬라 보니타
2014
사토노 크라운
2015
스마트 오딘
2016
블레스 저니
2017
와그네리안
2018
니시노 데이지
2019
콘트레일
2020
다논 더 키드
국제 GII 승격 후
2021
이퀴녹스
2022
가스트리크
2023
슈트라우스
}}}}}}}}}


[1] 2016년 CBC상에서 레드 팔크스가 세운 32.7초를 넘어서는 것으로, 주쿄 경마장 역사상 가장 빠른 마지막 3펄롱 주파 타임이다.[2] 이 해의 우승마는 역시나 3연승으로 G1까지 승리하고 최우수 2세마에 선발된 다논 프리미엄이었다.[3] 계란 크기의 담석이 담관을 완전히 막고 있었다고 한다.[4] 클래식 2년 후 한신대상전 도중 좌전지관절 탈구로 인해 예후불량으로 안락사했다. 사고 후 낙마하여 의식을 잃고 쓰러진 기수를 향해 다리를 절며 걸어가서 기수가 일어날 수 있게 돕는 장면이 유명하다.[5] 일본 경마장은 가변식 울타리를 채용해서 울타리를 외곽으로 옮겨가며 상처가 많이 생기는 내측 잔디를 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