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0:13:50

오원석/선수 경력/2024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오원석/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ce0e2d> 파일:오원석.png 관련 문서
오원석
Oh Wonseok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아마추어 시절
프로 경력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svg SK 와이번스
SK Wyverns
2020년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SSG 랜더스
SSG Landers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2019년 (U-18) · 2023년 APBC
평가
플레이 스타일 수상 경력
기타
별명 · 여담 · 분류
}}}}}}}}} ||
오원석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3년 2024년 2025년
파일:오원석 2024.jpg

1. 개요2. 시즌 전3. 페넌트 레이스
3.1. 전반기
3.1.1. 3월3.1.2. 4월3.1.3. 5월3.1.4. 6월3.1.5. 7월 (올스타전 이전)
3.2. 후반기
3.2.1. 8월3.2.2. 9월
4. 시즌 총평5. 시즌 후6. 승리 투수 일지

[clearfix]

1. 개요

SSG 랜더스 소속 좌완 투수 오원석2024 시즌을 정리한 문서.

2. 시즌 전

그동안 기회를 줘왔던 김원형 감독도 지난 시즌을 끝으로 경질되었기에 보직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숭용 감독이 밝히길 김광현, 로버트 더거, 로에니스 엘리아스는 선발 투수 로테이션에 포함되는 것이 확정되었으며 4,5선발 자리를 놓고 박종훈, 문승원, 송영진과 경쟁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1월 30일부터 2월 23일까지 미국 플로리다에서 열리는 1차 스프링캠프 참가 명단에 포함되었다.

스프링캠프가 진행되는 동안 문승원을 사실상 불펜으로 활용할거라 밝히며 남은 후보인 박종훈, 송영진과 4,5선발 자리를 놓고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1]

2월 15일 스프링캠프에서 실시한 첫 라이브 피칭에서 최고 144.9km/h, 평균 143.4km/h를 기록하였다. 관련 기사

현지 시간으로 2월 20일 스프링캠프에서 실시한 두 번째 홍백전에서 2이닝 무실점의 성적을 기록하였고 최고 구속은 146km/h를 기록하였다. 관련 기사

2월 25일부터 3월 7일까지 대만 자이에서 열리는 2차 스프링캠프 참가 명단에 포함되었다.

2월 28일 퉁이 라이온스와의 연습경기에서 불펜 투수로 등판해 2이닝 2피안타 1사사구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구단 기록지에 따르면 최고 구속은 147km/h, 최저 구속은 142km/h가 나왔다고 한다. 그리고 이날 경기 투수 MVP로 선정되었다. 관련 기사

이후 이숭용 감독이 오원석이 스프링캠프에서 너무 많은 투구를 해 앞으로 대만 구단들과의 연습경기에서는 등판 계획이 없음을 밝혔다.

2.1. 시범경기

3월 9일 롯데와의 시범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4⅔이닝 2피안타 1사사구 4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후 서울 시리즈 일정으로 인해 롯데와의 경기 이후 시범경기에 등판하지 않았다. 이숭용 감독이 김광현-엘리아스-더거-박종훈-오원석으로 선발 로테이션을 꾸리면서 선발진 합류에 성공하였다.

2.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서울 시리즈

파일:오원석 서울시리즈.jpg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 2.svg
<rowcolor=#fff> 경기 세이브 홀드 ERA 탈삼진 승률 이닝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투구수
1 0 0 0 0 0.00 2 - 2 1 0 0 25

3월 7일에 발표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서울 시리즈 평가전을 치루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엔트리에 포함되었다. 관련 기사

등번호는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이어 29번을 배정받았다.

3월 18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전에서 4회에 등판해 메이저 리그 거물급 타자인 무키 베츠, 제이슨 헤이워드를 삼진, 오타니 쇼헤이를 단 1구만에 잡아내며 엄청난 모습을 보여줬다. 5회에도 계속해서 등판해 삼자범퇴를 기록하며 2이닝 1피안타 무사사구 2탈삼진 무실점이라는 훌륭한 모습을 보여줬다. 이날 구속은 최고 149km/h를 기록하였다. 하이라이트

3. 페넌트 레이스

3.1. 전반기

3.1.1. 3월

23일 문학 롯데전에서 6회에 불펜 투수로 등판하여 만루 위기를 맞았으나 실점 없이 이닝을 종료하며 1이닝 1피안타 2사사구 1탈삼진 무실점으로 시즌 1호이자 1,070일 만에 홀드를 기록하였다.

28일 문학 한화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4이닝 5피안타(1피홈런) 3볼넷 2탈삼진 2실점을 기록하였고 투구수가 80개가 넘어가자 2:0으로 지고 있는 상황에서 내려갔다. 이후 후속 투수인 이로운이 추가로 5실점을 하며 승부가 완전히 기울어졌고 결국 패전 투수가 되었다.

3.1.2. 4월

3일 문학 두산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5이닝 6피안타(2피홈런) 2볼넷 5탈삼진 3실점을 기록하였다. 1,2회에 각각 김재환강승호에게 홈런을 맞으며 3실점을 하였고 이후 3회에도 만루 위기를 맞았으나 만루 위기를 무실점으로 넘겼다. 이후에는 안정감을 찾으며 4,5회를 안정적으로 마무리하고 6회에 조병현과 교체되었다. 패전 위기에 몰려있었으나 팀이 5회에 동점을 만드는데 성공하면서 N/D전을 기록하였다.

9일 문학 키움전에 선발 등판하여 5이닝 6피안타(1피홈런) 2볼넷 5탈삼진 5실점을 기록하며 부진하였다. 1회에 2아웃을 먼저 잡았지만 김혜성에게 볼넷을 준 후 최주환에게 홈런을 맞으며 2실점을 하였다. 이후 실점 없이 이닝을 소화하였으나 5회에만 무려 4안타를 허용하며 3실점을 하고 마운드를 내려갔다. 다행히 패전은 면했지만 평균자책점이 4.50에서 6.00으로 폭등하였다.

14일 수원 kt전에 선발 등판하여 5⅔이닝 5피안타 1볼넷 4탈삼진 1실점을 기록하며 시즌 첫 승을 신고하였다. 전반적으로 지난 경기에 비해 제구와 구위가 좋아진 모습을 보여주며 5⅔이닝을 소화하는 동안 큰 위기 없이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이후 강백호에게 안타를 맞은 뒤 6회 2아웃 책임 주자가 1루에 있는 상황에서 조병현과 교체되어 내려갔다. 후속 투수로 올라온 조병현이 오원석의 책임 주자를 불러들이며 총 1실점을 기록하였다. 이번 경기로 6.00이던 평균자책점을 4.79까지 내렸다.

21일 문학 LG전 더블헤더 2차전에 선발 등판하여 5이닝 7피안타 3볼넷 4탈삼진 3실점을 기록하였다. 지난 시즌 LG 상대로 무려 10.91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할만큼 LG 상대로 약했으나 이번 경기에서는 5이닝 동안 3실점만을 허용하면서 5선발로서의 역할을 잘 해내며 승리 투수 요건까지 달성하였다. 하지만 6회에 이로운이 동점을 허용하며 시즌 2승은 다음 기회로 미루게 되었다.

26일 문학 kt전에 선발 등판하여 5⅓이닝 8피안타 1볼넷 7탈삼진 2실점을 기록하였다. 5회까지 투구수 67개를 던지며 5이닝 4피안타 1볼넷 7K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승리 투수 요건을 달성하였고 추가로 시즌 첫 퀄리티 스타트 달성이 유력해 보였으나 4일 만의 등판으로 인해 체력적인 부담이 됐는지 6회에 투구수가 70개 넘어가자 구위가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고 결국 로하스박병호에게 적시타를 맞은 뒤 1사 주자 1,2루 상황에서 이로운과 교체되어 마운드에서 내려왔다. 후속 투수인 이로운이 장성우를 삼진 조용호를 땅볼로 처리하며 추가 실점은 하지 않고 승리 투수 요건도 지키게 되었다. 이후 팀이 역전 없이 2:5로 승리를 거두며 시즌 2승 달성에 성공하였다.

3.1.3. 5월

2일 대전 한화전에 선발 등판하여 4이닝 4피안타(1피홈런) 4사사구 3탈삼진 3실점을 기록하며 부진했다. 1회를 단 공 12개만을 던져서 삼자범퇴로 마무리하며 좋은 출발을 보였으나 2회부터 제구가 흔들리며 1실점을 하더니 3회에는 페라자에게 2점 홈런을 맞으며 추가로 2실점하였다. 이후 5회에 선두 타자인 최인호에게 볼넷을 허용하자 결국 마운드에서 내려가게 되었다. 이후 고효준이 실점 없이 이닝을 마무리하며 실점이 늘지는 않게 되었다.

8일 잠실 LG전에 선발 등판하여 5이닝 3피안타 5사사구 3탈삼진 6실점을 기록하며 부진했다. 4회까지 공 47개를 던져 4이닝 1실점을 기록하며 매우 좋은 활약을 보였지만 5회에 사사구 3개를 허용하며 1사만루 위기를 맞았고 문성주에게 싹쓸이 3루타를 맞으며 3실점하였다. 이후 폭투로 문성주를 불러 들이며 추가로 1실점하였고 6회에 선두 타자인 문보경에게 볼넷을 허용한 뒤 책임 주자 한 명을 남기고 이로운과 교체되었다. 이후 이로운이 오원석의 주자를 불러들이며 최종적으로 6실점을 기록하며 패전 투수가 됐고, LG 상대 개인 6연패를 기록하게 됐다.

14일 문학 삼성전에 선발 등판하여 6이닝 2피안타 2볼넷 7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며 올시즌 첫 번째 QS를 달성하였다. 1회부터 4회 2아웃까지는 퍼펙트 피칭을 펼쳤으며 4회 2아웃 이후 볼넷 2개를 허용하긴 했지만 이재현을 유격수 땅볼로 처리하며 실점 없이 이닝을 넘겼고 5회에도 2안타를 허용하며 위기를 맞았지만 류지혁의 안타성 타구를 고명준이 호수비로 잡아내며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이후 6회에는 구자욱, 맥키넌, 김영웅을 삼진, 투수 땅볼, 삼진으로 잡아내며 6회를 삼자범퇴로 마무리하였다. 팀이 2:9로 대승을 거두며 시즌 3승 달성에도 성공했다. 여담으로 이 승과 QS는 통산 삼성 상대로 거둔 첫 승이자 첫 QS였다.

19일 고척 키움전에 선발 등판하여 5이닝 5피안타(1피홈런) 3볼넷 4탈삼진 4실점으로 부진하였다. 4회까지는 무사사구에 이주형에게 허용한 홈런을 제외하면 1실점으로 잘 막았으나 5회에 선두 타자 김휘집에게 내준 볼넷을 시작으로 2피안타 3볼넷을 허용하며 3실점을 해 결국 무너졌다. 팀은 3:10으로 패배하며 오원석은 시즌 3패를 기록하게 되었다.

25일 문학 한화전에 선발 등판하여 4⅓이닝 4피안타 2볼넷 2탈삼진 1실점을 기록하였다. 3회까지는 무실점으로 막았으나 4회에 노시환에게 2루타, 안치홍에게 안타를 맞으며 무사 1,3루의 위기를 맞이했고 채은성에게 희생플라이를 허용하며 1실점하였다. 이후 5회에 장진혁을 1루수 땅볼로 잡은 뒤 최재훈에게 안타를 허용하였는데 이때 투구수가 91개에 이르자 최민준과 교체되어 마운드에서 내려갔다.

31일 고척 키움전에 선발 등판하여 6이닝 3피안타(1피홈런) 1볼넷 8탈삼진 2실점을 기록하며 시즌 2호 QS를 달성하였다. 1회부터 고영우, 도슨을 연속 삼진, 김혜성을 2루수 땅볼로 잡아내며 삼자범퇴를 기록했다. 2회에 제구가 흔들리며 2피안타 1볼넷을 허용하며 1실점하였으나 3회부터 5회까지 3이닝 동안 탈삼진 5개를 뽑아내면서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으며 퍼펙트로 키움의 타선을 막아냈다. 이후 6회에 김혜성에게 솔로 홈런을 맞으며 추가로 1실점했으나 흔들리지 않고 이닝을 종료하며 승리 투수 요건을 갖추고 마운드에서 내려갔다. 이후 팀이 4:2로 승리를 거두며 시즌 4승 달성에 성공하였다.

3.1.4. 6월

6일 문학 삼성전에 선발로 등판하여 5이닝 1피안타 6사사구 6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1회부터 삼자범퇴로 시작하여 2회에는 2아웃을 잡은 이후 볼넷과 안타를 허용했으나 이병헌을 투수 직선타로 처리하며 무실점으로 이닝을 종료했다. 3회에는 2아웃까지 잡은 이후 최경모가 포구 실책을 저지르며 출루를 허용했고 본인도 구자욱에게 볼넷을 허용하며 2사 1,2루의 위기를 맞았으나 박병호를 삼진으로 잡아내며 실점 없이 이닝을 종료하였다. 4회에는 본인이 제구가 크게 흔들리며 볼넷 2개와 사구 1개를 허용하며 1사 만루의 위기를 만들었다. 하지만 대타로 나온 강민호를 삼진, 김지찬을 1루수 땅볼로 처리하며 이번 위기 상황도 벗어났고 5회에는 큰 위기 없이 이닝을 종료하면서 실점 없이 승리 투수 요건을 갖춘 상태로 마운드에서 내려왔다. 팀이 역전 없이 0:4로 승리하며 시즌 5승 달성에 성공하였고 평균자책점도 4.34까지 내려갔다. 이날 구속은 최고 146.8km/h까지 나왔다고 한다.

3.1.5. 7월 (올스타전 이전)

3.2. 후반기

3.2.1. 8월

3.2.2. 9월

4. 시즌 총평

2024 시즌 최종 성적
<rowcolor=#000> 경기 선발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QS sWAR

5. 시즌 후

6. 승리 투수 일지

<rowcolor=#ffffff> 번호 날짜 상대팀 등판일지 패전 투수 결승타
1승 4월 14일 kt 5⅔이닝 1실점 엄상백 에레디아(1회 1사 1,2루서 좌전 안타)
2승 4월 26일 kt 5⅓이닝 2실점 엄상백 최지훈(3회 2사 2루서 우익수 2루타)
3승 5월 14일 삼성 6이닝 무실점 QS 원태인 하재훈(2회 1사 1루서 우중간 2루타)
4승 5월 31일 키움 6이닝 2실점 QS 김인범 박성한(1회 무사 1루서 우월 홈런)
5승 6월 6일 삼성 5이닝 무실점 이호성 에레디아(1회 2사 2루서 우전 안타)


[1] 하지만 박종훈에 부진이 계속되면 사실상 4선발은 오원석이 확정이다.